cookie

Мы используем файлы cookie для улучшения сервиса. Нажав кнопку «Принять все», вы соглашаетесь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cookies.

avatar

마산창투

성장하는 산업의 핵심 기업에 투자 부는 올바른 습관이 반복된 결과 매수, 매도 추천아님 유통 채널을 지양 개인적인 욕심으로 운영하는 채널 채널에서 언급하는 섹터, 종목들은 포트폴리오에 보유하거나 보유할 수도 있음

Больше
Рекламные посты
1 598
Подписчики
+524 часа
+387 дней
+24930 дней
Время активного постинга

Загрузка данных...

Find out who reads your channel

This graph will show you who besides your subscribers reads your channel and learn about other sources of traffic.
Views Sources
Анализ публикаций
ПостыПросмотры
Поделились
Динамика просмотров
01
#알테오젠 이효석 아카데미 갓민용 핵심요약 1. 지금이 기회다 2.임상 3상 성공은 확정이고 유효성이 얼마나 좋게 나오느냐만 확인하면 된다 3. ADC SC계약은 6-8월 사이에 나올것으로 예상 *이효석님 계속 놀람
1369Loading...
02
마지막 3부입니다! 띄엄띄엄 올리면 기다리다 지치실 것 같아서 바로바로 올렸으니 얼른 팔로우업하세용 ㅎㅎ 삼성바이오, 셀트리온 뒤를 이을 차세대 바이오 대장주는 '여기'⎮신한투자증권 엄민용 연구위원 [알테오젠 3부] https://youtu.be/YAk16_Niwz4 1부 https://youtu.be/O789YgAxkL8?si=h3yWMAJ5zsRfobst 2부 https://youtu.be/2h1NRws2C-w
2213Loading...
03
S&P500, 나스닥 신고가 행진 '준비' - 미국에서는 야간선물이 진행 중이고 한국에서는 데이마켓 거래가 진행 중입니다. S&P500 선물(미니) +0.2%, 나스닥 선물(미니) +0.5% 상승 중입니다. 엔비디아가 +7.7% 상승하며 $140를 돌파한 상태이고 델이 +8.8% 상승하며 $154 기록 중입니다. *오후 1시 10분 기준 - 델 CEO인 마이클 델은 엔비디아 칩을 이용해 xAI의 AI factory를 만들고 있다는 트윗을 남겼습니다. - 그록(Grok)은 xAI의 생성형 AI 챗봇으로 OpenAI의 ChatGPT와 경쟁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2312Loading...
04
※ AI발 에너지 대란과 태양광+ESS+가스발전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AI산업이 급성장하면서 전력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황입니다. AI로 인해 전력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전력공급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고, 원전/SMR과 같은 전력원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원전/SMR이 훌륭한 무탄소 전력원이기는 하지만, 지금 당장 급증하는 전력수요를 충당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지금 당장 필요한 전력을 가장 빠르게 공급하는 방법은 원전/SMR보다는 태양광+ESS+가스발전 결합이 좀 더 현실성 있어 보입니다. ● 원전/SMR의 문제점 원전/SMR의 문제점은 데이터센터는 지금 당장 필요한데 원전/SMR의 공사기간(특히 대형원전)과 상업화(SMR)까지의 기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입니다. 대형원전은 설계부터 원전가동까지 최소 8년이상이 필요합니다. 또한 건설예정기간을 초과하는 경우가 매우 많은데(특히 서구권), 프랑스 아레바사는 핀란드에서 원전건설을 13년이상 지연시켰고, 프라망빌 원전도 10년이상 지연시켰습니다. 미국 웨스팅하우스도 보글3,4호기를 원래 계획보다 6년이상지연시켰고, 서머2,3호기도 6년을 지연한 끝에 건설을 포기하였습니다. 그나마 한국이 UAE에 원전을 지을 때 공기내인 10년만에 성공적으로 건설하였습니다. UAE 원전은 2009년에 수주를 받아, 2020년 8월 19일에 1호기가 전기 송전을 시작하였습니다. 즉, 대형원전은 공사기간이 너무나도 길기 때문에 지금 신규원전을 계획한다고 해도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지금 당장 폭증하는 전력수요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기가 어렵습니다. SMR은 모듈화를 통해 대형원전의 오랜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문제는 아직 상업화가 안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미국의 뉴스케일이 SMR의 상업화에 가장 근접해 있는 기업인데, 뉴스케일은 2013년 미국 정부로부터 국책과제로 선정된 이후, 2017년 NRC(미국 원자력 규제위원회)에서 DCA(SMR 설계 인증)을 신청하여, 2020년 NRC의 DCA를 받음으로써 상업발전의 근간을 마련하였습니다. 2022년에 발표되었던 SMR의 상업화 계획을 보면, 2024년 부지여건을 반영한 건설 및 운영 인허가건을 제출하고(아직 미제출), 2026년 승인을 받고 착공하여 2029년 미국에서 첫 원자로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뉴스케일의 계획대로 된다 해도 SMR이 첫번째 가동(송전 시작)에 들어가는 때는 2030년 이후입니다. 하지만 2022년 뉴스케일의 계획도 상업성 문제로 계속해서 뒤로 미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처럼 원전/SMR이 지금 당장 급증하는 전력을 충당하기에는 너무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 태양광+ESS+가스발전 현실적으로 가장 빠르게 미국에서 전력을 공급을 해줄 수 있는 전력원은 태양광입니다. 태양광은 공사기간(유틸리티 규모)이 1년으로 매우 짧기 때문에 즉각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한 전력원입니다. 하지만 태양광은 신재생에너지의 문제인 간헐성과 경직성 때문에 보조전력원이 반드시 필요하며 ESS와 가스발전과 함께 진행되어야 합니다. 태양광 발전이 되지 않는 시기(주로 밤시간대)에 ESS통해 전력을 공급하고 기후 문제로 인하여 장기간 태양광 발전이 어려운 경우 가스발전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이 현재로서는 전력공급을 가장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방법입니다. (무탄소 전력원 기준) 서브발전용으로 사용되는 중소규모(50Mw – 200Mw)규모의 가스발전소는 1-2년의 공사기간으로 발전이 가능하며, 지리적 제약도 대형발전보다 덜 받습니다. 또한 출력조절(자동부하추종능력)이 매우 우수한 발전원으로 태양광발전의 간헐성을 매우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가스발전(LNG복합발전)은 신재생에너지의 가장 이상적인 보완발전원이 되어줍니다. 한국에서도 지난 정부 대규모 LNG복합발전 건설 계획을 세웠던 이유도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미국에서 가장 저렴한 발전원인 태양광을 근간으로 ESS와 가스발전이 결합된다면 가장 현실적이고, 이상적인 전력공급확대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https://view.asiae.co.kr/article/2024042222293747738 https://blog.naver.com/nihil76/222750220705
19713Loading...
05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9/0002881530
2402Loading...
06
출처: 6해치 운영자님(https://t.me/hatcherysix) [ IR Q&A 정리 ] - 민감 정보 제외 Q) 고용량 아일리아 시밀러 포함해서 계약이 나오면 계약금액 훨씬 더 큰 금액이나오나? A) 계약 마일스톤, SF도 당연히 커질 수 밖에 없다. 기존 계약한 업체들은 계약조항이 우선협상권을 가지고 있는 정도 그 업체들도 고용량 추가협상 진행 중 파이는 커진다. (계약규모는 커진다) Q) 미국에서 특허소송 관련해서 특허노이즈 명확한 설명 가능? A) 아일리아 PFS 팩트는 어떠한 자세한 설명은 못드리지만, 좀 전에 프랑스가 고용량 패키지로 시밀러 나온다고 했지않나 PFS로.. Q) 오리지날대비 70% 수준 판가여도 OPM 70~80%나온다는 얘기? A) 판가가 70% 떨어지면 50~60% OPM 로 떨어지겠지만, 초기에는 70~80% OPM 가능하다는 얘기 Q) 에스패스 . 세마글루타이드 특허 이슈 부각되면? A) 중국은 문제없고, 미국은 특허연장이 들어가버리면 그거는 우리가 어떻게 뭘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님. 최대 미국은 30~31년까지 보고있다. 그리고 제형특허소송이 들어올 가능성은 제로다. 물질 자체가 다르다. SNAC이랑 원물질을 아예 100% 다른 물질로 하기에 제형특허는 회피 완료. Q) 세마글루타이드 경구용 BE STUDY 결과는 언제? A) 올해 12월 ~ 늦어도 내년 1월에 나온다 Q) 세마글루타이드 에스패스 계약 나온다고 하면 계약금액은? 사이즈.. A) 밝히기 어렵다. 40조 시장 타겟에서 MS 몇프로 가져오고 거기서 나눠 갖지 않겠나. Q) 미국 아일리아시밀러 최악의 상황 마일란 승소.. 경쟁사도 PFS로도 진출가능한건가? A) 만약 마일란이 승소해서 27년에 판매가 된다하면 시기적으로 가능하다고 봐야하지않을까 함. 황반변성 PFS를 생산할 수 있는 site는 전세계 얼마 안됨. 우리나라에는 없다. ​Q) 이 경쟁사 (아일리아시밀러) 대비 우리가 왜 경쟁력을 갖나 A) PFS 아일리아를 원스탑으로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이 거의 없다. 그게 차이 ​Q) 865특허 마일란이 이기면 다같이 진출 24년? A) 다 같이는 힘들듯. 이 문제의 KEY는 아일리아의 PFS . 최악의 경우에도 미국시장에 PFS를 내놓을 회사가 과연 있을까라는 의구심 있다 ​Q) 소송결과에 따른 대응책이 다 있나? A) 예 다 있다. 미국시장은 보험등재 여부가 중요하다. 저희 파트너사는 그 부분 부족함이 없다고 검증 완료 계약시기가 865 특허 결과하고는 상관없다. 계약은 되는데 소송결과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건 마케팅전략이나 세일즈전략이다. 지금 독자적인 영업조직을 가지고 있지 않은 회사중에 아일리아 시밀러 허가신청 들어간 회사는 우리밖에없고 해외 파트너사랑 계약을 한 회사는 전무하다. 최악의 경우에도 미국시장에 PFS를 내놓을 회사가 과연 있을까라는 의구심 있다
92524Loading...
07
#에코앤드림 #전구체 전구체 산업 현황 전구체란 화학 반응을 통해 A라는 물질을 만들 때, 최종 물질인 A가 되기 바로 이전 단계의 물질임 이 화합물에 탄산리튬 혹은 수산화리튬을 섞으면 최종 물질인 양극재가 됨 1kWH의 배터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약 1.4kg의 양극재가 필요함. 보통 양극재와 전구체는 1:0.85 ~ 1:0.95의 비율로 혼합되기 때문에 1kWh의 배터리를 생산할 때는 1.19 ~ 1.33kg의 전구체가 필요 양극재와 전구체의 투입량은 비슷한데 반해, 전구체의 공급 부족 현상이 유독 부각되고 있는 이유는 2가지임 1) 국내 양극재 업체들의 CAPA 증설 대비 국내 전구체 업체들의 CAPA 부족은 심화될 전망 양극재 1만톤 당 전구체 0.9만톤이 필요한 점을 고려했을 때, '27년까지 전구체 수요 대비 공급 부족은 현재 73.7만톤 » 83.9만톤까지 증가함 또한, 최근 전기차 수요 둔화에 따라 셀, 소재 업체들의 과잉 증설 우려가 제가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구체 초과 수요는 현재 80.7만톤 » '27년 106.5만톤까지 확대될 전망 2) IRA 시행에 따른 중국 업체들의 후퇴도 전구체 공급 부족의 원인 '23년 기준, 중국의 전구체 생산 능력은 글로벌 전체 시장의 약 90%를 차지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양극재 업체들의 중국산 전구체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상황. CNGR, GEM, Huayo Cobalt, Brunp까지 4대 업체의 현재 CAPA는 100톤으로, 양극재 125톤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임 이에 국내 양극재 업체들은 전구체를 중국으로부터 조달해봤지만, '22년 8월 미국의 IRA 법안 발표 후 중국을 배터리 밸류체인에서 제외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며 전구체 국산화 필요성이 대두 IRA에 따른 FEOC 조항을 고려하지 않고, 전기차 시장이 본격적으로 확대되는 '25년 글로벌 전구체 수요-공급 전망을 비교해도 수요 219만톤, 공급 190만톤으로 여전히 공급 부족
55712Loading...
08
#카페24 진짜 유튜브쇼핑이 온다 TAM 확장을 즐길 때 유튜브쇼핑 전용 스토어 출시로 카페24 GMV 성장 가시성이 더욱 높아짐 유튜브쇼핑 GMV가 얼마나 빠른 속도로 올라올지 예측하기 어렵지만, 유튜브가 국내 이커머스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력이 계속 커질 것임은 자명 단기 밸류에이션 부담보다는 TAM 확장을 즐길 때 유튜브쇼핑 전용 스토어란? 6/19 세계 최초로 유튜브쇼핑 전용 스토어 기능 오픈. 전반적으로 해외 틱톡샵/네이버 스마트스토어와 유사한 형태 [이용자] 쇼핑 동성인 외부 링크 » 유튜브 웹/앱내로 확장. 페이지 이탈 없이 웹/앱내에서 주소, 결제정보 등만 입력하면 상품 바로 주문 가능 [판매자] 복잡한 개발이나 디자인 작업 없는 스토어 개설 및 간편한 상품/주문/배송관리. 유튜브 영상 태그 및 크리에이터 협업 용이 기존 외부링크 방식 대비 유튜브쇼핑 전용 스토어 확산 빠를 것으로 기대. 도입 간편할 뿐더러 판매자-크리에이터 니즈 일치 [판매자] 크리에이터 협업시 우수한 구매전환율 [크리에이터] 유튜브 수익화에 적극적. 6/4 도입한 쿠팡 제휴 프로그램 이용 사례 증가
4368Loading...
09
#조선 #HD한국조선해양 바쁜데, 또 컨테이너선 투자도 돌아옴 HD한국조선해양은 CMA-CGM의 16,000-TEU 12C척, 8,000 TEU 8척의 20척, 최소 35억 달러 LOI를 체결. 울산과 목포 몫은 아직 미확인 컨테이너선 신조시장은 코로나에서 비롯된 '21~'22년의 슈퍼사이클(450~280만 TEU 발주) 이후, '23년에 150만 TEU, 그리고 올해 5월까지 30만 TEU 발주에 그침. 그러나 홍해 사태 등으로 항로가 길어지고 운임과 중고선가가 반등하며, 선대 리뉴얼이 앞당겨지는 상황 한국 대형조선사들도 LNG선, 가스선 중심에서, VLCC는 선별수주로 많지 않고, 컨테이너는 별로 기대 없던 상황이었음. 이번에 꾸준한 컨테이너 교체 발주를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어서 대단히 긍정적. 또한 CMA-CGM 외에 Hapag-Lloyd, Zim, MSC, AP Moller-Maersk, Cosco 등 여타 Liner들도 신조투자를 추진 중인 것으로 외신은 전함 신조선가 상승: 16,000 TEU가 200백만달러 이상인 것으로 전함. 비슷한 선형을 '23년에 HD현대중공업-양밍이 187.4백만달러, 삼성중공업-Evergreen은 193.9백만달러여서 +5% 상승. 8,000TEU의 계약 산가도 140백만달러인데, '23년에 HD현대삼호-HMM 9,000-TEU(메탄올 D/F) 124.3백만달러 대비 +10% 이상 높음. 이에 '25년 실적보다 지금 수주한 물량이 건조되는 '26년에 마진 개선을 기대할 수 있음 '27년~'28년 인도물이어서, 이번 수주로서 HD한국조선해양의 대형조선사 '27년 인도 슬롯은 소진. Seller's Market이 더 강화. 향후 신조선가 상승세 계속 살아 있음 올해 조선사들의 수주는 5월까지 180억달러, ADNOC 14척 35억달러 추가, 그리고 이번 CMA-CGM 35억달러로 250억달러에 달함. 올해 수주도 매출(300억달러)를 넘기는게 확실시
2914Loading...
10
#HBM HBM 수급 점검 공급의 변수는 역시 삼성전자 HBM 공급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는 결국 삼성전자의 CAPA와 엔비디아 진입 여부일 것임. '24년 HBM 공급 부족의 주된 이유는 삼성전자가 SK하이닉스와 동일 수준의 HBM CAPA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엔비디아에 공급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임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 내 HBM3E 엔비디아 인증을 목표로 하고 있음. 삼성전자가 계획대로 엔비디아에 인증을 완료하고, CAPA 확장과 수율 개선을 해 나간다면 본격적으로 공급을 늘리는 '25년 하반기부터는 HBM 공급은 과잉상태가 될 수도 있음 HBM CAPA를 무한정 늘리면 안되는 이유 지금부터 HBM CAPA 투자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는 이유는 HBM을 제외한 범용 HBM CAPA가 너무 많이 줄었기 때문임. 감산 전인 '22년 분기 DRAM 3사의 웨이퍼 인풋 총합은 1,415K장 이후 감산의 영향으로 '23년 3분기 1,078K장까지 낮아졌다가 '24년 4분기 1,465K장으로 감산 전 수준을 회복할 전망 그러나 이 기간 내 HBM CAPA가 늘어난 것을 감안하면 가동률 회복에도 불구하고 범용 DRAM 웨이퍼 인풋은 오히려 줄어들 것으로 추정 '24년 4분기 DRAM 3사의 HBM 웨이퍼 인풋 추정치 총합은 265K장임. 이를 제외한 범용 DRAM 웨이퍼 인풋은 1,200KK장으로 여전히 감산 전인 '22년 3분기보다 낮음 IT 수요가 점진적으로 회복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범용 DRAM CAPA를 이 이상 줄이는 것은 위험한 선택일 수 있음. 전술하였듯이 HBM은 삼성전자의 CAPA 상황에 따라 공급과잉이 될 수 있고, 범용 DRAM CAPA가 너무 많이 줄어듬 DRAM 공급사 입장에서 이제부터는 HBM CAPA를 급격히 늘리기보다 DRAM CAPA 증설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현실적 선택임
41811Loading...
11
#AMAZON 아마존은 독일 내 증가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와 소매 상품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11 billion 투자를 발표 이 중 88%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를 확장하는 데 사용될 예정 ===================================== Amazon invests $11 billion to expand cloud and logistics in Germany https://www.reuters.com/technology/amazon-invests-11-billion-expand-cloud-logistics-germany-2024-06-19/
3130Loading...
12
#UK 영국은 '21년 이후 처음으로 인플레이션 수치가 2% 대로 복귀 7월 4일 영국 선거 예정 ==================================== UK inflation drops to 2% target for first time since 2021 https://www.reuters.com/markets/europe/uk-inflation-returns-target-first-time-since-2021-2024-06-19/
3050Loading...
13
#EU 프랑스 극우파 리더인 Bardella가 NATO에서 탈퇴하는 건 맞지 않다고 언급하며 선거를 앞두고 온화해진 스탠스로 변경 과거 프랑스는 NATO에서 탈퇴해야한다고 언급한 적이 있음 프랑스는 6월 30일과 7월 7일 두 차례에 걸친 의회 선거가 기다리고 있음 ========================== Far-right leader Bardella backpedals on taking France out of NATO strategic military command https://apnews.com/article/france-election-jordan-bardella-nato-37ddf1a661df6d10441d33dcad6c3bf4
3161Loading...
14
#Onsemi 온세미컨덕터는 체코에 $2 billion 을 투자하여 반도체 공장을 건립하기로 결정 해당 공장에서는 전기자동차, AI 데이터센터, 재생에너지에 사용될 반도체가 생산될 예정 ====================================== US chipmaker onsemi will invest $2 billion in a chip production facility in the Czech Republic https://apnews.com/article/onsemi-investment-czech-chips-9bae60b1397ffa0a3866a241eee8b4d9
3161Loading...
15
3D DRAM에도 하이브리드 본딩이 적용된다는 기사 관련 첨언드리면,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은 현재 3D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NAND에서 먼저 채용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이미 중국 YMTC가 128단 3D NAND부터 Xtacking이라는 이름으로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을 적용했습니다. 페리 영역과 셀 영역을 별도의 웨이퍼에서 제작 후 두 웨이퍼를 하이브리드 본딩으로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20-21년 이 기술이 알려졌을 때만 해도 원가가 중요한 메모리 반도체에 웨이퍼 두 장을 쓰는 건 “어리석은 일”로 여겨졌는데 기술적 한계가 오니 결국 이 방식이 널리 도입될 것으로 보입니다. 후공정에서의 하이브리드 본딩은 비용적 부담으로 아직 널리 도입되지 않고 있으나 성능에 대한 요구사항이 강해질수록 궁극적으로는 하이브리드 본딩을 도입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https://www.techinsights.com/ko/node/49536
2525Loading...
16
#토비스 상방이 열렸다 - 멈추지 않는 성장궤도 카지노용, 전장용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전기차 충전 컨트롤러 제조 업체 1. 카지노 게이밍 및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산업용 모니터 2. 전장·스마트폰용 TFT-LCD 모듈을 제조 '20년부터 전장용 디스플레이 모듈 사업에 진출, 글로벌 Tier 1 전장 부품 업체 및 글로벌 패널 업체를 고객사로 보유 '23년 글로쿼드텍(전기차 충전 컨트롤러)를 인수하며 전장 사업 다각화 전장 사업 본격 이익 구간 돌입, 외형성장과 숭기성 개선이 동시에 진행 '24년 연간 매출액 6,328억원(+41% YoY), 영업이익 533억원(+108% YoY)을 전망 전장 사업의 조기 BEP 달성으로 연간 EPS 추정치가 지속 상승. 높은 외형 성장세에 따라 멀티플과 EPS가 동시에 증가하는 구간. 이익률 추가 개선 여력과 산업 환경 개선, 높은 외형성장 지속 1) 이익률 개선 룸이 충분: 하반기 성수기에 진입하지 않았고, 자회사의 높은 이익률(클로쿼드텍 '23년 NPM 38%)도 가세하지 않았음. 1분기 출발도 좋음 2) 외부환경도 우호적: 기존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했던 중국 대련 공장의 경우, 중국 내수 자동차 판매량 회복세 및 인기 볼륨 모델 수주로 가동률 상승 중 (전장 가동률: 1Q23 47% » 1Q24 62%), (1Q23 40억 적자 » 1Q24 15억 흑전) 국내 공장은 고객사 볼륨 모델(K5, 쏘렌토, 카니발 F/L) 위주로 가동률이 빠르게 상승 중. 추가 모델 수주 가능성도 충분. '25년 말부터는 글로벌 신규 고객사향 납품도 시작됨 3) 외형성장이 계속: 현재 국내 서천공장은 공장룸 1층만 사용하여 2개 라인을 가동 중(1, 2라인/ 연 2,000억원 CAPA) 연내 스텔란티스향 3라인 가동이 시작됨 고객사 추가 확보 및 수주 모델이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내년 상반기 까지 서천 공장 2층에 1개 라인 추가 증설(1라인 / 연 1,500억원 CAPA)를 준비 중 이미 올해 상반기까지 볼륨 모델 2종이 추가되어 CAPA가 부족
3848Loading...
17
#SK하이닉스 두려울 것이 없다 TP 265,000원으로 상향 상향 배경은 1) 2Q24부터 8단 HBM3E 공급 온기 반영에 따른 DRAM 이익률 증가 2) eSSD 수요 증가로 NAND 실적 개선이 나타나며 '24년/'25년 실적 추정치 상향 조정 '24년 영업이익 21.6조원, '25년 31.9조원으로 다시 한번 실적 서프라이즈 SK하이닉스의 2Q 매출액 16.3조원(YoY +124%), 영업이익 5.0조원(YoY 흑전. OPM 31%)로 컨센서스(4.7조원)을 상회한 실적 예상. 2Q24 DRAM과 NAND 매출액은 각각 10.5조원, 5.2조원으로 전년대비 +134%, +135% 증가. 2Q24 DRAM B/G +16%, ASP +14%, 2Q24 NAND B/G flat, ASP +16%로 추정. DRAM과 NAND 가격 상승이 2분기에도 이어짐 DRAM은 '24년 3월부터 출하한 8단 HBM3E가 온기로 반영되며 영업이익 4.2조원, OPM 40%로 전분기 대비 +9%p 증가 예상. HBM, DDR5와 같은 고부가 제품 공급 확대로 '24년/'25년 연간 DRAM 영업이익은 18.4조원, 27.9조원으로 증가 추정 특히 HBM3E는 전작 대비 가격 프리미엄이 존재하며, 동사는 HBM3E를 선두로 공급하였기 때문에 HBM 매출은 '25년에도 성장세가 있을 것 AI 수혜가 NAND까지 확산되고 있음. AI서버 및 스토리지에 탑재되는 고용량 QLC eSSD 수요가 늘어나는 가운데, eSSD 솔루션에 강점을 가진 솔리다임의 수익성 개선이 NAND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 여전히 NAND향 재고평가손실 환입 규모가 일부 남아있으며, NAND 업황 회복으로 영업이익률은 15.6%로 전분기 대비 +2.6%P 개선된 것으로 판단. 기존의 HDD를 대체하기 위한 eSSD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25년 cSSD 수요 회복까지 더해지며 중장기 성장 모멘텀 보유
1 22213Loading...
18
#오픈엣지테크놀로지 메모리 강국에서 피어난 메모리 IP사 기업개요 반도체 IP기업임. 글로벌 D램 3사, 국내외 디자인하우스, 팹리스들에 IP를 제공 중 1) 메모리 시스템 솔루션 IP (ORBIT 라인) 2) 차량용 엣지 디바이스 특화 NPU (ENLIGHT 라인) 크게 두 종류의 IP를 제공 ORBIT 라인에서는 PHY를 주력으로 컨트롤러, 인터커넥트 IP를 제공. 국내 IDM사 출신의 인력으로 프로세서와 메모리 간 최적화 전문성이 뛰어남. ENLIGHT 라인은 엣지 디바이스 전력 및 공간 효율 개선에 필요한 IP임. 자율주행 차량 및 AI SW 고도화에 따라 다양한 스팩의 디바이스에 탑재가 가능 공정 미세화, 메모리 고도화로 ORBIT 입지 상승 중 반도체 IP 시장은 50개 내외의 기업들이 3천개 이상의 팹리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점 시장임 IP 업체별로 특화된 영역이 다르며 시놉시스와 케이던스 1, 2위 업체가 많은 분야를 담당 중. 메모리 솔루션도 두 업체가 최선단 설계를 담당. 두 기업이 파운드리사의 최선단 공정향 IP 개발이 이루어지고 나면 하위 단수 개발 니즈가 떨어짐 여기서 메모리 표준이 바뀌게 되면 차선단 공정 (현재 8~14나노)에 대해서는 IP개발의 기회가 생기게 되는 것임. 동사는 이런 식으로 생긴 부족 IP 블락을 채워가면서 두 파운드리 모두에서 입지를 키워나가며 고객사를 확보 중 파운드리 미세화만큼 메모리의 고도화도 지속 중임. 칩렛, Customized 메모리, CXL, PIM 등 변화에 맞추어 관련 IP 고도화는 필연적임 현재 CXL 컨트롤러, PIM 전용 메모리 시스템, 칩렛 전용 멀티다이 인터커넥트 IP 공급을 준비 중. 메모리 커스터마이징에 따라 열리는 시장은 기존 프로세스 IP사 대비 칩 수량이 더 많을 것으로 전망됨
1 23113Loading...
19
#대한광통신 AI 시대, 통신은 충분히 준비되었나요? 인공지능의 확산, 광섬유 소비도 늘린다 인공지능 전성시대를 맞아 반도체의 성능과 수급, 안정적인 전력 공급의 중요성 등이 시장에서 크게 부각. 이와 더불어 앞으로는 더 많은 데이터를 안전하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통신 인프라에 대한 관심이 커질 것으로 예상 인공지능 전용 데이터센터 구축을 추진하는 글로벌 기업들의 사례로 살펴보면, 기존 데이터센터와 달리 인공지능 전용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경우 광통신망의 비중이 약 5배~8배 증가할 것으로 보임 여기서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우리나라나 일본을 제외한 주요 선진국들의 기본적인 광통신망 구축 비율이 현저히 낮은 수준이라는 것 인공지능뿐만 아니라 통신인프라 재정비에 대한 필요성은 다양함. 고주파수 대역의 5G 통신서비스 시현과 6G 기술 개발, 양자암호통신 활용 등을 고려한다면 기본적인 광통신망 구축 및 확대는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임 글로벌 경쟁력 갖춘 대한광통신 현재 글로벌 광섬유 및 광케이블 시장에서 대한광통신의 위치는 매우 유리하다는 판단임. 과거 '18년~'19년 광섬유 가격의 폭락을 이끌었던 중국산 광섬유/광케이블은 지정학적 갈등 및 무역분쟁 심화 등으로 경쟁력을 잃고 있음 이 경우 양질의 광섬유 모재(Preform)와 광섬유, 광케이블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과 설비, 경험을 보유한 기업은 미국의 Corning, 일본의 Sumitomo, 우리나라의 대한광통신 정도가 사실상 전부 현재 시장 진출 모색, 이익 레버리지 확대 기대 자회사 티에프로네트웍스(지분율 100%)는 OPGW와 산업용 전력 케이블 등을 생산하는데, 해마다 유의미한 실적 성장을 이어가고 있음 통신/전력 케이블의 수요가 전세계적으로 증가 중이기 떄문. 수요는 늘어나고 있지만 사실 더 중요한 포인트는 자국 생산+자국 소비 기조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임 따라서 대한광통신도 현재 생산/판매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임
52114Loading...
20
#대한광통신 AI 시대, 통신은 충분히 준비되었나요? 인공지능의 확산, 광섬유 소비도 늘린다
10Loading...
21
엔비디아 기념비적인 날 ====================================== AI fever drives Nvidia’s rise to world’s most valuable company https://www.reuters.com/technology/artificial-intelligence/ai-fever-drives-nvidias-rise-worlds-most-valuable-company-2024-06-18/
3852Loading...
22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는 4Q24 조지아 공장에서 아이오닉5 EV 생산 예정 이는, 기존 '25년 생산예정이던 계획을 앞당긴 것으로 보조금을 활용할 목적인 것으로 알려짐 생산된 차량은 '25년에 본격적으로 판매될 계획 ==================================== Hyundai to start manufacturing IONIQ 5 electric SUVs at new Georgia plant this fall https://apnews.com/article/hyundai-georgia-electric-vehicles-ioniq-f23b027d9d36e569f77e9d92c529b6c1
3811Loading...
23
#Google 구글, 오하이오 데이테센터에 23억 달러 추가 투자 =================================== Google to invest another $2.3 billion into Ohio data centers https://apnews.com/article/google-ohio-data-centers-technology-a5211f5051f37e7a91b4f75065c60dd1
5973Loading...
24
2024.06.18 15:48:10 기업명: 뷰노(시가총액: 3,814억) 보고서명: 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취득결정 취득회사 : VUNO MED INC (미국) 주요사업 :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취득금액 : 30억 자본대비 : 59.68% - 취득 후 지분율 : 100% 예정일자 : 2024-06-26 취득목적 : - 미국 FDA 임상 및 인허가 진행 - 본격적인 북미시장 진출을 위한 영업망 구축 - Key Opinion 확보를 통한 기업가치 극대화 * 취득방법 현금취득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618900306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38220
3002Loading...
25
Qualcomm의 Snapdragon X Elite 칩을 탑재한 노트북 제품들이 출시되기 시작. AMD의 Strix Point와 Intel의 Lunar Lake는 3분기 출시되며 AI PC 시장 경쟁이 심화될 전망 뉴스: https://wccftech.com/qualcomm-snapdragon-x-laptops-available-first-fully-microsoft-copilot-compliant-ai-pcs/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3372Loading...
26
이거 안 오르는 게 이상했는데 블록딜 공시 이후 후반영 느낌
4531Loading...
27
[KIS] 원익IPS (240810) spot call note summary 최근에 진행한 원익IPS (240810) spot call note를 첨부와 같이 송부드리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Key Takeaway로는; 1) 예상보다 좋은 디램 비중 (50% 후반), 2) HBM 장비 매출 추가 (작년 100억대 매출 -> 올해 600백억 수준), 3) commodity DRAM향 수주 환경 개선 (2분기부터 수주 가시성 개선, 특히 중화권 수주 증가), 4) NAND V9 신규 설비 증가 (올해 3~4분기 예정, ALD 신규 공정 추가로 10k 당 600~700억 vs 기존 100억), 5) 디스플레이 장비 올해 하반기 집중 (국내향 비중이 60%로 크게 증가) 6) 계단식으로 회복하는 분기 실적 (하반기 turnaround 예상) 으로 정리 됩니다. 반도체 장비 laggard play로 mid-long term view로 좋아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35312Loading...
28
※ LiPF6의 원가구성 및 제조공정, 원재료구성 이른 오전에 LiPF6의 원가구성에 대해서 문의를 하시는 분이 있어 관련된 내용을 좀 더 자세하게 말씀드리면, (현재 액상법과 고체법 LiPF6 제조에 대해 스터디를 하던 중 이전 자료를 올렸으며 이로 인해 LiPF6원가 구성에 대한 혼돈이 초래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LiPF6는 제조방식이 다양하며 각 제조사마다 원재료 구성 및 조성방법, 제조공법이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사용되는 원재료 및 구성비율, 제조원가가 제각각 입니다. 최종 결과물의 차이는 크지 않지만 그 과정에서 수율이나 원가경쟁력이 업체마다 차이가 많이 나며 이것이 해당 업체들의 핵심경쟁력이 됩니다. 반제품 상태가 액상인 액상형이 있고, 고체인 결정형(고체형)이 있으며,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유기용매법(PF5와 Li를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만듦), 리튬을 무수불화수소에서 녹여 PF5 가스를 주입하여 생산하는 불화수소용매법로도 제조공법이 나뉘며, 원재료도 불화리튬, 무수불화수소, 오염화인(또는 삼염화인),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LiPF6를 만들기도 하고, 탄산리튬, 무수불화수소, 폴리인산, 발연황산을 사용하여 LiPF6를 만들 수 있으며, 또는 탄산리튬, 무수불화수소, 오염화인(또는 삼염화인),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LiPF6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회사마다 다양한 제조방법 및 원소재 조합비율이 있습니다. 이처럼 LiPF6의 제조방법과 공정 그리고 원재료 구성은 매우 다양하며, 이는 각 업체들의 경쟁력의 차이이기도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경쟁력은 고객사의 요구사항에 맞는(Spec-in) 품질을 가장 낮은 가격에 만들 수 있는 원가경쟁력입니다. LiPF6의 원가비중 중 가장 높은 부분을 차지하고 필수적인 원재료는 탄산리튬인데 원가 비중은 탄산리튬의 가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탄산리튬 가격이 높게 형성되면, 탄산리튬의 원가비중이 높아지게 되는 것은 당연합니다. 다만 탄산리튬 뿐 아니라 다른 소재들도 공급과잉으로 인해서 가격이 내려가면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비중이 함께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탄산리튬 가격이 높았을 당시, LiPF6에서 탄산리튬의 원가비중은 70 – 80%까지 높아졌으나 최근 50 – 60%대로 낮아져 탄산리튬의 원가구성이 낮아진 상태이며, 무수불화수소가 30%, 오염화인이 1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4년 2월 자료) 무수불화수소의 원가비중이 크게 높아진 이유는 타 소재는 배터리에서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배터리 시장상황 및 수급상황에 영향을 크게 받지만, 무수불화수소는 반도체의 핵심소재로 반도체 업황이 배터리산업과 다르게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LiPF6 공정에서 불소(F)를 다루는 기술이 핵심이며, 불소를 제어하는 기술이 기술적으로는 핵심입니다. DFD와 같은 업체도 불소를 다루는 원천기술을 지니고 있는 업체이며, 전해액 업체인 Capchem은불소화합물을 다루는 업체입니다. 배터리 소재는 결국 원가에서 경쟁력이 나오며 이러한 원가경쟁력은 생산능력, 수직계열화, 공정기술, 값싸고 경쟁력 있는 원소재조달 능력이 복합되어 결정됩니다. 지금까지 중국이 낮은 인건비와 대량제조능력, 수직계열화를 바탕으로 2차전지 소재시장을 장악하였으나 현재 미국을 중심으로 한 대중국 견제로 인하여 한국 및 일본 업체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열려 있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이는 한국, 일본업체들 끼리의 경쟁을 의미하며, 이들 업체 중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업체가 결국 해당 시장의 주도권을 가져갈 것입니다. 그리고 소재별로 미국이 FEOC로 강하게 보호를 해주는 소재가 있고 그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소재들도 있습니다. 미국의 보호강도는 중국업체들과의 경쟁강도로 이어지기 때문에 최대한 중국과의 경쟁강도가 낮은 소재가 가장 큰 혜택을 받게 되는 구조를 이해해야 합니다.
3464Loading...
29
#엔켐 #동화기업 #솔브레인홀딩스 국내 전해액 기업 Capacity 현황 및 계획
3853Loading...
30
아직 불이 안 붙은 곳이 존재합니다 [삼성증권 반도체 소부장/류형근] ■ HBM 생산 확대의 기회비용 증가 - HBM은 DRAM 기술 경쟁력의 증표이고, 수요 성장의 동력입니다. 그만큼 포기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점유율 확보 노력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 문제는 HBM 생산 확대의 기회비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입니다. 현 HBM 생산 목표를 달성한다면, 2025년 DRAM 생산 증가율은 10% 초반 이내로 제한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내년 어느 구간에선 재고가 부족해질 수 있고, 자칫 범용 DRAM 수요 회복에서 오는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 ■ 예상되는 변화 - 제품별 생산 배분을 효율화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HBM 생산을 기존 전망 대비 소폭 하향하여 범용 DRAM 생산 제약 효과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판단입니다. HBM이 가져올 DRAM 생산 제약 효과가 심한 만큼 전공정 투자의 가시성은 보다 높아질 것으로 전망합니다. - 2025년에는 HBM 업체별 대응 전략도 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SK하이닉스의 경우, Capex의 절제 속 생산 효율화 (테스트, 검사/계측 강화)에 보다 집중할 것으로 예상되고, 삼성전자는 급격히 늘리려고 했던 HBM Capa 증설 목표를 소폭 하향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 고객의 전략이 바뀌었다면, Supply Chain을 바라보는 시선도 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투자전략 - 전공정 장비: 2025년 이익 전망이 추가 상향될 수 있습니다. 한국 반도체 장비의 TAM은 EUV를 제외한 장비 구매액에 비춰볼 수 있는데 2025년에는 EUV 구매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선주문 영향이 일부 있고, 유휴설비 활용을 통해 생산을 효율화하는 방안이 검토될 수 있습니다. 전공정 장비주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제시합니다. - 후공정 장비: 보다 확실한 아이디어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Bottom up 관점에서 성장이 기대되는 업체 중심으로 투자의 Scope를 좁혀갈 필요가 있다는 판단입니다. 파크시스템스, 테크윙, 피에스케이홀딩스를 그 대상으로 제시합니다. - 반도체 소재/부품: 하반기에는 가동률의 추가 상승 기회를 엿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수요가 좋은 제품 위주로 라인을 전환하고, 선단공정 전환투자를 마무리하고 나면, 가동률은 추가 개선이 가능합니다. 낮은 밸류에이션을 기회로 삼아볼 수 있을 것입니다. 자료: https://bit.ly/3VlaD1W (2024/06/18 공표자료)
1662Loading...
31
#바이오플러스 국내에서 해외로 무게 중심 옮기는 중 동사는 국내보다는 해외 쪽으로 사업의 무게 중심을 옮기고 있음. 그에 따른 거래선 교체 등으로 인해 1Q24 실적은 다소 부진한 성과를 거둠 이후 자동화 설비를 갖춘 음성 공장의 준공과 GMP 인증 등의 준비가 끝나면 1H25부터 본격 가동이 가능한 상황. 중국에서의 필러와 화장품 사업과 브라질 필러 시장 진출 등 해외 확장을 노리고 있고, 비만 치료제 제네릭도 개발 및 생산을 통해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의 출시를 도모하고 있음. 사업 구조 개편 작업이 완료되면 45%를 넘는 우수한 영업이익률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3513Loading...
32
#바이오플러스 국내에서 해외로 무게 중심 옮기는 중
10Loading...
33
#꿈비 확인된 실적 개선 흐름 사업 개요 꿈비는 유아용 가구 사업과 커피 유통 사업 등을 영위 놀이방 매트, 롤매트 등 유아용 가구 제품군과 젖병세척기, 분유쉐이커, 유모차 쿨시트 등 유아용 가전 제품군을 주로 판매 중임. 커피 유통 사업은 베트남 G7 커피의 국내 온라인 유통을 담당하고 있으며, G7 커피의 견조한 수요와 함께 봉지 커피 시장 내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 제품 다변화, 오프라인 확장, 비용 안정화 '24년 동사의 매출 성장과 영업이익 흑자 전환을 전망함. 출생아 수가 계속 줄어드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매출 성장을 전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음. 먼저, 동사는 매트 제품군을 중심으로 영유아 가구 시장에서 프리미엄 브랜드 입지를 구축하였고, 비용 상승분을 전가시킬 수 있는 일정 수준의 가격 결정력을 확보함 이후, 유아 가전 영역으로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였고, 브랜드 파워를 기반으로 판매 호조가 지속되고 있음. '24년 제품 다변화를 통한 매출 성장을 기대함 오프라인 채널 진출은 소비자 경험 개선에 기여하며 중장기적으로 동사 브랜드 가치 상승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함. 지금까지 대부분의 유아 용품들의 판매 채널은 온라인에 집중되어 있어, 제품을 직접 체험해보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만족시켜주지 못함. 동사는 올해 5월 링크맘 오프라인 쇼핑몰에 입점하였으며, 채널 확장을 통한 고객 접점 확대 및 매출 성장을 기대함. 링크맘 오프라인 쇼핑몰은 향후 국내 점포 확장과 더불어 사업 모델을 해외로 수출하는 전략 역시 계획 중임 '23년 신제품 연구개발을 위한 판관비를 선제적으로 집행하며, 작년 판관비 규모는 '22년 대비 33% 증가함. 작년 연간으로 판관비율이 36%까지 높아졌는데, 1Q24에는 32%로 다소 안정화됨. 올해는 판관비 증가율은 둔화되고 신제품 효과로 매출액은 증가함에 따라,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함.
3765Loading...
34
#롯데웰푸드 인도 수혜주를 찾는다면 '26년까지 이어지는 인도 증설 모멘텀 롯데웰푸드는 인도에서 적극적으로 건·빙과 사업을 영위중임. 작년 10월 가동을 시작한 초고파이 3번째 라인은 1분기에 80%에 가까운 가동률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 가동 2분기 만에 높은 가동률을 기록한 만큼 향후 초코파이 라인 추가 증설 가능성 또한 높다고 판단함. 올해 하반기에는 인도 동부 지역에 위치한 푸네 빙과 신공장 가동이 시작될 예정임. 현재 푸네 빙과 공장은 인도 정부의 건축물 사용 승인을 대기 중이며 초기 가동 CAPA는 약 1,200억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함. '25년 하반기 가동을 계획 중인 첫 빼빼로 해외 공장 또한 인도에 건설 중임. 신규 공장 가동 스케쥴 감안 시 인도 건·빙과 법인 합산 매출액은 '26년까지 매해 두 자릿수의 매출액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 더울 땐 아이스크림 한편 더운 날씨가 이어지며 국내와 인도의 빙과 사업에도 우호적인 환경 조성 기상청은 올해 6~8월 기온이 평년 대비 높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실제로 6월 중순인 지금까지 평년보다 높은 기온이 지속되고 있음. 국내 빙과 사업은 최근 SKU 축소를 마무리하고 ZERO, 0 칼로리 아이스크림 등 적극적으로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어 빙과 시장 점유율 상승이 기대됨 성수기 기준 평년 대비 높은 기온이 예상되고 있는 만큼 추가적인 실적 상향 조정도 가능할 전망. 인도 또한 기상 당국이 최고 단계의 폭염 경보를 발령하는 등 더운 날씨가 이어지고 있어 2분기 빙과 판매량이 전년동기대비 증가할 전망임
2 13758Loading...
35
#그린리소스 탐방노트 체크포인트 1) S사 초고밀도 특수코팅 1개 라인 양산 테스트 승인 식각장비 내 핵심 부품인 Window와 Injector가 부식으로 인해 교체수요가 발생할 때 애프터마켓에서 동사가 세정 및 리코팅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S사 파운드리 1개 라인에서 양산 테스트 승인을 받은 것으로 확인됨 본격적인 양산진입을 위해서는 S사의 선단공정 고객 확보에 따른 가동률 상승과 추가 라인에서의 양산 테스트 승인을 받아야함 체크포인트 2) '26년 글로벌 식각장비사 OEM 및 대만 T사 공급 기대 매출액 성장이 빠르게 나타날 수 있는 방법은 Ram Research, AMAT와 같은 식각장비사의 OEM 업체가 되어 비포마켓으로 진입하는 것임. 현재는 미국의 Entergis 사가 식각장비 초고밀도 코팅 시장을 장악하고 있음 동사는 산화이트륨에 자체개발 특수소재를 접목해 경도, 밀도가 높은 코팅막으로 내식성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어 식각장비사로의 진입 기회가 열릴 것으로 전망 또, 애프터마켓을 이용하지 않고 있는 대만 T사 진입을 위해 하반기부터 영업활동을 시작할 예정임. 추정되는 시장규모는 식각장비사 OEM이 약 1,000억, 대만 T사 애프터마켓이 약 1,000억 체크포인트 3) 하반기 특수코팅 메모리용으로 확장 준비 비메모리 대비 메모리 라인의 식각장비에는 상대적으로 저가형 코팅을 사용하고 있어 동사의 초고밀도 코팅이 진입하기에는 가격 측면에서 갭이 큼. 과거 마이크론, 키옥시아에서 양산 승인을 받았으나 최종 진입을 하지 못한 이유도 가격 때문임. 7월말 2,000억 규모의 신공장 완공 이후 메모리용 저가형 제품을 출시해 메모리 고객사로 진입을 시도할 예정
3537Loading...
36
#사피엔반도체 글로벌 AR 시장 확대 최대 수혜주 Micro LED용 실리콘 Backplane 공급 업체 동사는 Micro LED 디스플레이용 드라이버 IC 역할을 담당하는 실리콘 Backplane을 개발 및 공급하는 업체로 해당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확보한 업체 현재 글로벌 XR 관련 업체들과 제품을 개발하고 있고 중장기적으로 AR 안경 시장 확대의 최대 수혜 업체라고 판단 미래 디스플레이는 OLED를 실리콘 위에 증착한 OLEDoS와 LED를 실리콘 위에 모듈화한 LEDoS로 좁혀지는 상황. 사용처 측면에서 OLEDoS가 Vision Pro와 같은 HMD, LEDoS가 안경 형태에 더욱 최적화된 디스플레이라고 판단 동사는 LEDoS 화소를 조정해 다양한 영상을 구현하는 실리콘 Backplane 공급 특히 중장기적으로 Vision Pro와 같은 HMD보다 편의성이 높은 AR 안경 시장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소비전력이 낮고 밝기가 월등히 좋은 Micro LED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기대됨 AR 시장 성장 및 주요 고객사 확보로 중장기 실적 성장 가파를 것 현재까지 주로 R&D 매출에 의존하고 있어 '24년에는 적자가 불가피하나 '25년 일부 모델 양산이 시작되면서 턴어라운드 전망. 특히, XR 시장을 견인할 미국 업체들과 중화권 업체 모두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고 대당 약 20~30달러 수준의 매출과 30% 이상의 마진이 기대
1 81230Loading...
#알테오젠 이효석 아카데미 갓민용 핵심요약 1. 지금이 기회다 2.임상 3상 성공은 확정이고 유효성이 얼마나 좋게 나오느냐만 확인하면 된다 3. ADC SC계약은 6-8월 사이에 나올것으로 예상 *이효석님 계속 놀람
Показать все...
👍 1🔥 1
마지막 3부입니다! 띄엄띄엄 올리면 기다리다 지치실 것 같아서 바로바로 올렸으니 얼른 팔로우업하세용 ㅎㅎ 삼성바이오, 셀트리온 뒤를 이을 차세대 바이오 대장주는 '여기'⎮신한투자증권 엄민용 연구위원 [알테오젠 3부] https://youtu.be/YAk16_Niwz4 1부 https://youtu.be/O789YgAxkL8?si=h3yWMAJ5zsRfobst 2부 https://youtu.be/2h1NRws2C-w
Показать все...
삼성바이오, 셀트리온 뒤를 이을 차세대 바이오 대장주는 '여기'⎮신한투자증권 엄민용 연구위원 [알테오젠 3부]

#바이오 #바이오주 #알테오젠 #바이오산업 #키트루다 #머크 #항암제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 [7월코스 알림신청] 간단한 패턴학습으로 뉴스 속 투자 힌트 찾아내기 👉🏻

https://vo.la/AMNKi

🌟 [7월코스 알림신청] 4주간의 눈높이 집중 교육으로 투자 기초 마스터하기 👉🏻

https://vo.la/tgydS

✅ 바쁜 투자자를 위한 알짜배기 투자정보 - 이효석아카데미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

https://bit.ly/45jA33C

✅ 텔레그램 -

https://bit.ly/44YOM3Y

*촬영일 6/19 00:00 하이라이트 00:29 검증된 알테오젠의 성공 가능성 03:20 할로자임과 알테오젠의 기술 차이 04:07 알테오젠의 리스크와 ADC 15:58 알테오젠의 밝은 미래 #바이오 #바이오주 #알테오젠 #바이오산업 #키트루다 #머크 #항암제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 비즈니스/광고/협업 문의 : [email protected]

1
S&P500, 나스닥 신고가 행진 '준비' - 미국에서는 야간선물이 진행 중이고 한국에서는 데이마켓 거래가 진행 중입니다. S&P500 선물(미니) +0.2%, 나스닥 선물(미니) +0.5% 상승 중입니다. 엔비디아가 +7.7% 상승하며 $140를 돌파한 상태이고 델이 +8.8% 상승하며 $154 기록 중입니다. *오후 1시 10분 기준 - 델 CEO인 마이클 델은 엔비디아 칩을 이용해 xAI의 AI factory를 만들고 있다는 트윗을 남겼습니다. - 그록(Grok)은 xAI의 생성형 AI 챗봇으로 OpenAI의 ChatGPT와 경쟁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Показать все...
※ AI발 에너지 대란과 태양광+ESS+가스발전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AI산업이 급성장하면서 전력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황입니다. AI로 인해 전력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전력공급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고, 원전/SMR과 같은 전력원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원전/SMR이 훌륭한 무탄소 전력원이기는 하지만, 지금 당장 급증하는 전력수요를 충당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지금 당장 필요한 전력을 가장 빠르게 공급하는 방법은 원전/SMR보다는 태양광+ESS+가스발전 결합이 좀 더 현실성 있어 보입니다. ● 원전/SMR의 문제점 원전/SMR의 문제점은 데이터센터는 지금 당장 필요한데 원전/SMR의 공사기간(특히 대형원전)과 상업화(SMR)까지의 기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입니다. 대형원전은 설계부터 원전가동까지 최소 8년이상이 필요합니다. 또한 건설예정기간을 초과하는 경우가 매우 많은데(특히 서구권), 프랑스 아레바사는 핀란드에서 원전건설을 13년이상 지연시켰고, 프라망빌 원전도 10년이상 지연시켰습니다. 미국 웨스팅하우스도 보글3,4호기를 원래 계획보다 6년이상지연시켰고, 서머2,3호기도 6년을 지연한 끝에 건설을 포기하였습니다. 그나마 한국이 UAE에 원전을 지을 때 공기내인 10년만에 성공적으로 건설하였습니다. UAE 원전은 2009년에 수주를 받아, 2020년 8월 19일에 1호기가 전기 송전을 시작하였습니다. 즉, 대형원전은 공사기간이 너무나도 길기 때문에 지금 신규원전을 계획한다고 해도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지금 당장 폭증하는 전력수요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기가 어렵습니다. SMR은 모듈화를 통해 대형원전의 오랜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문제는 아직 상업화가 안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미국의 뉴스케일이 SMR의 상업화에 가장 근접해 있는 기업인데, 뉴스케일은 2013년 미국 정부로부터 국책과제로 선정된 이후, 2017년 NRC(미국 원자력 규제위원회)에서 DCA(SMR 설계 인증)을 신청하여, 2020년 NRC의 DCA를 받음으로써 상업발전의 근간을 마련하였습니다. 2022년에 발표되었던 SMR의 상업화 계획을 보면, 2024년 부지여건을 반영한 건설 및 운영 인허가건을 제출하고(아직 미제출), 2026년 승인을 받고 착공하여 2029년 미국에서 첫 원자로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뉴스케일의 계획대로 된다 해도 SMR이 첫번째 가동(송전 시작)에 들어가는 때는 2030년 이후입니다. 하지만 2022년 뉴스케일의 계획도 상업성 문제로 계속해서 뒤로 미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처럼 원전/SMR이 지금 당장 급증하는 전력을 충당하기에는 너무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 태양광+ESS+가스발전 현실적으로 가장 빠르게 미국에서 전력을 공급을 해줄 수 있는 전력원은 태양광입니다. 태양광은 공사기간(유틸리티 규모)이 1년으로 매우 짧기 때문에 즉각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한 전력원입니다. 하지만 태양광은 신재생에너지의 문제인 간헐성과 경직성 때문에 보조전력원이 반드시 필요하며 ESS와 가스발전과 함께 진행되어야 합니다. 태양광 발전이 되지 않는 시기(주로 밤시간대)에 ESS통해 전력을 공급하고 기후 문제로 인하여 장기간 태양광 발전이 어려운 경우 가스발전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이 현재로서는 전력공급을 가장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방법입니다. (무탄소 전력원 기준) 서브발전용으로 사용되는 중소규모(50Mw – 200Mw)규모의 가스발전소는 1-2년의 공사기간으로 발전이 가능하며, 지리적 제약도 대형발전보다 덜 받습니다. 또한 출력조절(자동부하추종능력)이 매우 우수한 발전원으로 태양광발전의 간헐성을 매우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가스발전(LNG복합발전)은 신재생에너지의 가장 이상적인 보완발전원이 되어줍니다. 한국에서도 지난 정부 대규모 LNG복합발전 건설 계획을 세웠던 이유도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미국에서 가장 저렴한 발전원인 태양광을 근간으로 ESS와 가스발전이 결합된다면 가장 현실적이고, 이상적인 전력공급확대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https://view.asiae.co.kr/article/2024042222293747738 https://blog.naver.com/nihil76/222750220705
Показать все...
AI발 에너지 대란에…올트먼, 2000만달러 규모 태양광 스타트업 투자 참여 - 아시아경제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태양광 스타트업인 엑소와트에 투자한다. 생성형 인공지능(AI) 붐으로 막대한 전력을 소비하는 데이터 센터가 폭증하자 원전...

1
Repost from YM리서치
Показать все...
美 하원, 중국산 배터리 조달 금지 추진…韓 배터리 수혜 기대↑

미국 하원이 세계 배터리 시장 점유율 1위인 CATL을 비롯한 중국 배터리 제조업체들을 미국 시장에서 배제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 업체를 상대로 관세에 이어 아예 사업 금지까지 시키는 고강도 규제를 단행하면

출처: 6해치 운영자님(https://t.me/hatcherysix) [ IR Q&A 정리 ] - 민감 정보 제외 Q) 고용량 아일리아 시밀러 포함해서 계약이 나오면 계약금액 훨씬 더 큰 금액이나오나? A) 계약 마일스톤, SF도 당연히 커질 수 밖에 없다. 기존 계약한 업체들은 계약조항이 우선협상권을 가지고 있는 정도 그 업체들도 고용량 추가협상 진행 중 파이는 커진다. (계약규모는 커진다) Q) 미국에서 특허소송 관련해서 특허노이즈 명확한 설명 가능? A) 아일리아 PFS 팩트는 어떠한 자세한 설명은 못드리지만, 좀 전에 프랑스가 고용량 패키지로 시밀러 나온다고 했지않나 PFS로.. Q) 오리지날대비 70% 수준 판가여도 OPM 70~80%나온다는 얘기? A) 판가가 70% 떨어지면 50~60% OPM 로 떨어지겠지만, 초기에는 70~80% OPM 가능하다는 얘기 Q) 에스패스 . 세마글루타이드 특허 이슈 부각되면? A) 중국은 문제없고, 미국은 특허연장이 들어가버리면 그거는 우리가 어떻게 뭘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님. 최대 미국은 30~31년까지 보고있다. 그리고 제형특허소송이 들어올 가능성은 제로다. 물질 자체가 다르다. SNAC이랑 원물질을 아예 100% 다른 물질로 하기에 제형특허는 회피 완료. Q) 세마글루타이드 경구용 BE STUDY 결과는 언제? A) 올해 12월 ~ 늦어도 내년 1월에 나온다 Q) 세마글루타이드 에스패스 계약 나온다고 하면 계약금액은? 사이즈.. A) 밝히기 어렵다. 40조 시장 타겟에서 MS 몇프로 가져오고 거기서 나눠 갖지 않겠나. Q) 미국 아일리아시밀러 최악의 상황 마일란 승소.. 경쟁사도 PFS로도 진출가능한건가? A) 만약 마일란이 승소해서 27년에 판매가 된다하면 시기적으로 가능하다고 봐야하지않을까 함. 황반변성 PFS를 생산할 수 있는 site는 전세계 얼마 안됨. 우리나라에는 없다. ​Q) 이 경쟁사 (아일리아시밀러) 대비 우리가 왜 경쟁력을 갖나 A) PFS 아일리아를 원스탑으로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이 거의 없다. 그게 차이 ​Q) 865특허 마일란이 이기면 다같이 진출 24년? A) 다 같이는 힘들듯. 이 문제의 KEY는 아일리아의 PFS . 최악의 경우에도 미국시장에 PFS를 내놓을 회사가 과연 있을까라는 의구심 있다 ​Q) 소송결과에 따른 대응책이 다 있나? A) 예 다 있다. 미국시장은 보험등재 여부가 중요하다. 저희 파트너사는 그 부분 부족함이 없다고 검증 완료 계약시기가 865 특허 결과하고는 상관없다. 계약은 되는데 소송결과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건 마케팅전략이나 세일즈전략이다. 지금 독자적인 영업조직을 가지고 있지 않은 회사중에 아일리아 시밀러 허가신청 들어간 회사는 우리밖에없고 해외 파트너사랑 계약을 한 회사는 전무하다. 최악의 경우에도 미국시장에 PFS를 내놓을 회사가 과연 있을까라는 의구심 있다
Показать все...
6해치 투자 운영

천천히 오래 단순한 스크랩, 전달이 아닌 생각 공유방 개인문의 : @im6hatch 개인블로그 :

https://m.blog.naver.com/dmsgh32

* 해당 채널의 게시물은 단순 의견 및 기록용도이고 매수, 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2👏 1🤔 1
#에코앤드림 #전구체 전구체 산업 현황 전구체란 화학 반응을 통해 A라는 물질을 만들 때, 최종 물질인 A가 되기 바로 이전 단계의 물질임 이 화합물에 탄산리튬 혹은 수산화리튬을 섞으면 최종 물질인 양극재가 됨 1kWH의 배터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약 1.4kg의 양극재가 필요함. 보통 양극재와 전구체는 1:0.85 ~ 1:0.95의 비율로 혼합되기 때문에 1kWh의 배터리를 생산할 때는 1.19 ~ 1.33kg의 전구체가 필요 양극재와 전구체의 투입량은 비슷한데 반해, 전구체의 공급 부족 현상이 유독 부각되고 있는 이유는 2가지임 1) 국내 양극재 업체들의 CAPA 증설 대비 국내 전구체 업체들의 CAPA 부족은 심화될 전망 양극재 1만톤 당 전구체 0.9만톤이 필요한 점을 고려했을 때, '27년까지 전구체 수요 대비 공급 부족은 현재 73.7만톤 » 83.9만톤까지 증가함 또한, 최근 전기차 수요 둔화에 따라 셀, 소재 업체들의 과잉 증설 우려가 제가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구체 초과 수요는 현재 80.7만톤 » '27년 106.5만톤까지 확대될 전망 2) IRA 시행에 따른 중국 업체들의 후퇴도 전구체 공급 부족의 원인 '23년 기준, 중국의 전구체 생산 능력은 글로벌 전체 시장의 약 90%를 차지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양극재 업체들의 중국산 전구체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상황. CNGR, GEM, Huayo Cobalt, Brunp까지 4대 업체의 현재 CAPA는 100톤으로, 양극재 125톤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임 이에 국내 양극재 업체들은 전구체를 중국으로부터 조달해봤지만, '22년 8월 미국의 IRA 법안 발표 후 중국을 배터리 밸류체인에서 제외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며 전구체 국산화 필요성이 대두 IRA에 따른 FEOC 조항을 고려하지 않고, 전기차 시장이 본격적으로 확대되는 '25년 글로벌 전구체 수요-공급 전망을 비교해도 수요 219만톤, 공급 190만톤으로 여전히 공급 부족
Показать все...
_konannas_upload1_bodyfile_R100_64_202406_다올투자증권_에코앤드림_20240620074534.pdf2.06 MB
#카페24 진짜 유튜브쇼핑이 온다 TAM 확장을 즐길 때 유튜브쇼핑 전용 스토어 출시로 카페24 GMV 성장 가시성이 더욱 높아짐 유튜브쇼핑 GMV가 얼마나 빠른 속도로 올라올지 예측하기 어렵지만, 유튜브가 국내 이커머스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력이 계속 커질 것임은 자명 단기 밸류에이션 부담보다는 TAM 확장을 즐길 때 유튜브쇼핑 전용 스토어란? 6/19 세계 최초로 유튜브쇼핑 전용 스토어 기능 오픈. 전반적으로 해외 틱톡샵/네이버 스마트스토어와 유사한 형태 [이용자] 쇼핑 동성인 외부 링크 » 유튜브 웹/앱내로 확장. 페이지 이탈 없이 웹/앱내에서 주소, 결제정보 등만 입력하면 상품 바로 주문 가능 [판매자] 복잡한 개발이나 디자인 작업 없는 스토어 개설 및 간편한 상품/주문/배송관리. 유튜브 영상 태그 및 크리에이터 협업 용이 기존 외부링크 방식 대비 유튜브쇼핑 전용 스토어 확산 빠를 것으로 기대. 도입 간편할 뿐더러 판매자-크리에이터 니즈 일치 [판매자] 크리에이터 협업시 우수한 구매전환율 [크리에이터] 유튜브 수익화에 적극적. 6/4 도입한 쿠팡 제휴 프로그램 이용 사례 증가
Показать все...
_konannas_upload1_bodyfile_R100_02_202406_신한투자증권_카페24_20240620075251.pdf1.69 MB
#조선 #HD한국조선해양 바쁜데, 또 컨테이너선 투자도 돌아옴 HD한국조선해양은 CMA-CGM의 16,000-TEU 12C척, 8,000 TEU 8척의 20척, 최소 35억 달러 LOI를 체결. 울산과 목포 몫은 아직 미확인 컨테이너선 신조시장은 코로나에서 비롯된 '21~'22년의 슈퍼사이클(450~280만 TEU 발주) 이후, '23년에 150만 TEU, 그리고 올해 5월까지 30만 TEU 발주에 그침. 그러나 홍해 사태 등으로 항로가 길어지고 운임과 중고선가가 반등하며, 선대 리뉴얼이 앞당겨지는 상황 한국 대형조선사들도 LNG선, 가스선 중심에서, VLCC는 선별수주로 많지 않고, 컨테이너는 별로 기대 없던 상황이었음. 이번에 꾸준한 컨테이너 교체 발주를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어서 대단히 긍정적. 또한 CMA-CGM 외에 Hapag-Lloyd, Zim, MSC, AP Moller-Maersk, Cosco 등 여타 Liner들도 신조투자를 추진 중인 것으로 외신은 전함 신조선가 상승: 16,000 TEU가 200백만달러 이상인 것으로 전함. 비슷한 선형을 '23년에 HD현대중공업-양밍이 187.4백만달러, 삼성중공업-Evergreen은 193.9백만달러여서 +5% 상승. 8,000TEU의 계약 산가도 140백만달러인데, '23년에 HD현대삼호-HMM 9,000-TEU(메탄올 D/F) 124.3백만달러 대비 +10% 이상 높음. 이에 '25년 실적보다 지금 수주한 물량이 건조되는 '26년에 마진 개선을 기대할 수 있음 '27년~'28년 인도물이어서, 이번 수주로서 HD한국조선해양의 대형조선사 '27년 인도 슬롯은 소진. Seller's Market이 더 강화. 향후 신조선가 상승세 계속 살아 있음 올해 조선사들의 수주는 5월까지 180억달러, ADNOC 14척 35억달러 추가, 그리고 이번 CMA-CGM 35억달러로 250억달러에 달함. 올해 수주도 매출(300억달러)를 넘기는게 확실시
Показать все...
_konannas_upload1_bodyfile_R200_64_202406_다올투자증권_산업_조선_20240620073134.pdf2.44 MB
#HBM HBM 수급 점검 공급의 변수는 역시 삼성전자 HBM 공급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는 결국 삼성전자의 CAPA와 엔비디아 진입 여부일 것임. '24년 HBM 공급 부족의 주된 이유는 삼성전자가 SK하이닉스와 동일 수준의 HBM CAPA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엔비디아에 공급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임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 내 HBM3E 엔비디아 인증을 목표로 하고 있음. 삼성전자가 계획대로 엔비디아에 인증을 완료하고, CAPA 확장과 수율 개선을 해 나간다면 본격적으로 공급을 늘리는 '25년 하반기부터는 HBM 공급은 과잉상태가 될 수도 있음 HBM CAPA를 무한정 늘리면 안되는 이유 지금부터 HBM CAPA 투자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는 이유는 HBM을 제외한 범용 HBM CAPA가 너무 많이 줄었기 때문임. 감산 전인 '22년 분기 DRAM 3사의 웨이퍼 인풋 총합은 1,415K장 이후 감산의 영향으로 '23년 3분기 1,078K장까지 낮아졌다가 '24년 4분기 1,465K장으로 감산 전 수준을 회복할 전망 그러나 이 기간 내 HBM CAPA가 늘어난 것을 감안하면 가동률 회복에도 불구하고 범용 DRAM 웨이퍼 인풋은 오히려 줄어들 것으로 추정 '24년 4분기 DRAM 3사의 HBM 웨이퍼 인풋 추정치 총합은 265K장임. 이를 제외한 범용 DRAM 웨이퍼 인풋은 1,200KK장으로 여전히 감산 전인 '22년 3분기보다 낮음 IT 수요가 점진적으로 회복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범용 DRAM CAPA를 이 이상 줄이는 것은 위험한 선택일 수 있음. 전술하였듯이 HBM은 삼성전자의 CAPA 상황에 따라 공급과잉이 될 수 있고, 범용 DRAM CAPA가 너무 많이 줄어듬 DRAM 공급사 입장에서 이제부터는 HBM CAPA를 급격히 늘리기보다 DRAM CAPA 증설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현실적 선택임
Показать все...
_konannas_upload1_bodyfile_R200_03_202406_한국투자증권_산업_반도체_및_관련장비_20240620074711.pdf6.78 K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