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kie

Sizning foydalanuvchi tajribangizni yaxshilash uchun cookie-lardan foydalanamiz. Barchasini qabul qiling», bosing, cookie-lardan foydalanilishiga rozilik bildirishingiz talab qilinadi.

avatar

자본주의 생존일기

살아남는 자가 강한 자

Ko'proq ko'rsatish
Reklama postlari
227
Obunachilar
Ma'lumot yo'q24 soatlar
Ma'lumot yo'q7 kunlar
+230 kunlar
Post vaqtlarining boʻlagichi

Ma'lumot yuklanmoqda...

Find out who reads your channel

This graph will show you who besides your subscribers reads your channel and learn about other sources of traffic.
Views Sources
Nashrni tahlil qilish
PostlarKo'rishlar
Ulashishlar
Ko'rish dinamikasi
01
화장품 섹터가 핫 한데 https://m.blog.naver.com/luy1978/223463867055
120Loading...
02
https://www.frontlineplc.cy/fro-first-quarter-2024-results/ #FRO #Tanker FRO 24.1Q 실적발표 EPS : 0.81(0.79, Inline) VLCC : 48,100 수에즈막스 : 45,800 LR2, 아프라막스 : 54,300 2분기 TCE VLCC : 60,400 수에즈막스 : 46,400 LR2, 아프라막스 : 64,700 배당금 : 주당 0.62(0.56, Beat)
160Loading...
03
오히려 좋아.. 엔터가 더 안좋을수록 매수 기회는 더 주어진다.
240Loading...
04
HYBE vs 민희진 - 배임 아니고 배민이었구나? https://naver.me/FzQR65pm #엔터 #하이브
160Loading...
05
[하나증권/에너지소재/윤재성] 2024-2025년 에너지 절약 및 탄소 감소 행동 계획" 발표에 관한 국무원 고시 ✅석유화학, 화학산업의 에너지 절약 및 탄소저감 활동 1. 석유 화학 및 화학 산업에 대한 정책 요구 사항을 엄격히 시행: 석유 화학 산업의 계획 및 배치에 대한 엄격한 제약을 강화. 정유, 카바이드, 인산암모늄, 황인 등 산업의 신규 생산 능력 엄격히 통제. 수은을 사용하는 새로운 PVC 생산능력 건설 금지. 석유화학 프로젝트의 신규 건설, 재건 및 확장은 에너지 효율성 기준 수준과 환경 성과 수준 A에 도달 필수. 교체에 사용되는 생산능력은 적시에 폐쇄. 연간 200만톤 이하의 용량을 갖춘 상압장치 포괄적으로 단계적 폐지. 2025년 말까지 국내 1차 원유 처리 능력을 10억톤(2,000만b/d) 이내로 통제. 2. 석유화학 및 화학 산업의 에너지 절약 및 탄소 감축 가속화: 2025년 말까지 정유, 에틸렌, 암모니아, 카바이드 산업의 에너지 효율 기준 충족 설비 30% 이상으로 확대. 에너지 효율 기준 수준 이하의 설비들은 기술 혁신을 완료하거나, 철수. 2024~2025년 석유화학 산업의 에너지 절약 및 탄소 저감 노력을 통해 약 4천만톤의 석탄 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약 1.1억만톤의 CO2 배출량 감축 3. 석유화학 및 화학공정의 리엔지니어링 촉진: 그린 수소 생산 기술의 연구개발과 적용을 장려하며, 그린 수소 생산 설비 건설을 지원하고, 그레이 수소 생산량 점진적으로 축소. 증기기관에서 전기기관으로의 전환을 질서있게 추진하고, 대규모 석화 공업 단지에 에너지 공급을 위해 원자력 활용 방안 모색 독려 ** 중국은 2021년 탈탄소 정책의 일환으로 정제설비 증설을 2,000만 b/d로 제한할 계획을 세웠고, 이를 2023년 11월 최종 확정. 이번 국무부의 "2024-2025년 에너지 절약 및 탄소 감소 행동 계획"을 통해 이를 재확인. 현재 중국의 정제설비 규모는 1,900만b/d 수준으로 추가 Capa 확대 여력은 6%에 불과 https://www.gov.cn/zhengce/content/202405/content_6954322.htm
240Loading...
06
🇯🇵일본 미쓰비시중공업(MHI), AI 붐에 따른 가스터빈 수요 급증 전망 *요약: 가스터빈 글로벌 No.1의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대응 전략 방안 발표. 소형 GTCC를 활용한 On-Site 발전과 쿨링 시스템 결합이 인상적.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 대응을 위한 가장 적시성 있는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음에 주목. 중장기적으로는 수소 혼소/전소도 계획 중 - MHI는 글로벌 가스터빈 점유율 36%로 GE Vernova, Siemens를 제치고 글로벌 No.1을 차지 - 5/28일 Mid-Term 전략 발표에서 AI발 전력 수요 급증으로 향후 3년 간 가스터빈 중심의 실적 성장 전략 제시. 매출액은 20% 성장해 사상 최대치를, 영업이익은 60% 성장할 것으로 가이던스를 제시 - 최근 실적발표에서는 FY23 수주가 YoY +50% 급증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언급 - MHI는 전통적으로 발전소용 대형 가스터빈 제조사이지만, AI 붐에 따른 데이터 센터 및 반도체 공장에서의 수요 대응을 위해 소형 터빈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계획을 발표 - 특히, 데이터센터에서의 발전기와 쿨링 시스템이 결합된 One-stop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 발전기는 On-site 발전이 가능하도록 GTCC와 ESS가 결합된 형태가 될 것이며, EMS를 통해 시스템 전반의 효율성도 향상시킬 것이라 발표 - 회사는 이미 수소를 전소하는 소형 터빈을 개발했고, 대형 터빈에 대해 천연가스, 수소 50:50 혼소를 테스트 중. 2030년에는 수소 전소 대형 터빈을 생산할 계획 - 참고로, CCS 사업은 ExxonMobil과 텍사스에서 진행. MHI는 탄소 포집을, Exxon은 파이프라인 운송 및 저장을 담당 https://asia.nikkei.com/Business/Companies/Japan-s-Mitsubishi-Heavy-expects-surging-turbine-demand-amid-AI-boom
300Loading...
07
https://m.blog.naver.com/dsjang650628/223458533508 #조선 #해운 웰컴...
191Loading...
08
*태국 Sri Trang 주가 20% 상승 - Sri Trang은 태국 No.1 천연고무&장갑업체 - 5/28일 실적 발표 후 오늘 주가 20% 급등 - 장갑 판매량 YoY +39%, QoQ +14% 증가했고, 가동률은 4Q23 72%에서 1Q24 87%로 15p% 개선 - EUDR을 준수한 제품을 출시했고, 2024년 6월 기준 전체 판매량의 10%가 규정을 준수한 제품이 될 것이라 언급 - EU는 글로벌 전체 고무 수요의 30%를 차지하고, 태국과 코트디부아르에서만 EUDR을 준수할 수 있을 것이기에 상대적 이점을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 - 천연고무 주요 생산지역인 인니의 생산량은 중기적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며, 코트디부르아르도 생산량 증가율 둔화될 것으로 전망
220Loading...
09
* ConocoPhillips, 약 150억$(약 20조원) 규모로 Marathon Oil 인수합병 협상 진행 중 - 작년부터 이어진 대규모 M&A가 올해도 지속되고 있음 - 독립업체들이 Super Major에 통합되고 시장 자체가 과점화되며 향후 미국에서 과거 독립업체처럼 공격적인 시추 활동을 기대하기는 힘들 듯 - 과점화된 시장이 의미하는 바에 대한 고민이 필요 https://www.ft.com/content/94f8b1be-4ba6-42bb-aabc-7f1c7ca0f36b
191Loading...
10
[삼성증권 금일 삼성전자 관련 반도체 세션] 1. HBM3 관련해서 초기에는 열나서 못쓰겠다. 소프트웨어랑 먹통이다 등의 문제가 있었다. 지금은 해당 문제들은 해결되었고 전력소비 큰 것을 해결 해달라는 요청을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 (Broadcom에 의하면 SK Hynix HBM보다 전력 30% 더 소모, 마이크론 보다는 이보다 더 크게 소모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2. 삼성전자 3nm GAA 관련 AMD 서버향 받은건 아니고 Legacy 쪽 4nm 수주를 받은 것으로 확인된다. 3. 삼성증권은 삼성전자가 Risk 대비 Return이 엄청 좋은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Top Pick으로 상향한다. (SK하이닉스는 여전히 Top Pick 유지) 3. HBM3 퀄 통과는 예정대로 5~6월에는 나올거라고 생각하고 있다. (전럭소모 개선 조건부 퀄 통과가 나올수도 있다.) 4. 다만, 열나는건 Metal Layer를 두껍게 한다던지 해서 해결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오류는 사람 붙이면 된다. 그런데 전력소모 개선은 쉽지 않다. 기본 Die 자체가 빨라져야 한다.. => 물리적으로 봤을때 electron 을 더 빨리 밀어야 하니까 변압을 더 높게 걸어야 하고 이로 인해 저항이 더 생기고 열도 나고 이런건데 이걸 어떻게 해결할지..? 당장 1a를 뜯어 고치기는 늦었고 1c에서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 그와중에 이것저것 땜빵을 해보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5. 엔비디아향 HBM3e는 SK하이닉스가 거의 다가져갈거다. 삼성 공급량은 얼마 안될거다. 다만, 변수는 AMD다. 6. HBM 때문에 메모리 업체들 Capa가 없고 (삼성은 Capa 감소효과) 범용 메모리 가격이 올라갈거다. 이런 상황에서 범용 디램 패가 남은건 삼성이다. 마진의 큰 상승이 범용 디램에서 일어날수 있다. 7. 삼성의 HBM 마진은 그렇게 낮지않다. 작년 하이닉스 마진 50%, 삼성전자 40% 물론 올해는 HBM3e가 들어와서 격차가 벌어지긴 하겠지만 엄청 크지 않을꺼고 범용 가격이 올라오면 수익성은 많이 개선될거다. 8. 삼성도 하이닉스도 투자는 안하고 있다. 장비업체들이 가격을 내려가면서 까지 HBM 투자를 확보하고 있다. 두 업체 모두 투자를 더하겠다는 생각이 없다. 지금 감산하고 있는거랑 똑같다. (HBM 때문) 9. 소부장 밸류에이션이 매력적이 아닌데 뭘 사야되냐라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크게 두 회사를 본다 1. 피에스케이홀딩스 => 삼성전자 HBM 디레이팅 해소 필요. 닉스 마이크론에 디스컴 리플로우 공급중 2. 파크시스템스 => CoWoS 쪽에 활용성이 높아진다. 실리콘 인터포저 쪽에서 활용도 높아질 것 Q/A Session 1. END-USER(테슬라, 마소)에 따른 삼성HBM, 닉스HBM 구매변수가 있을까? => 없을 것이다. 그냥 무차별하다. 2. HBM4 Base Die를 TSMC가 가져가면 닉스 수익률은 얼마나 줄어드냐? => 예상해보자면 급격히 어닝이 줄어드는 환경은 아닐 것이다. 3. 삼성은 NCF를 고수하는지? 전력 소비만 문제라면 이 부분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건지 ? => MUF를 삼성이 처음 시도 했었는데 잘 안되었던 것 같다. 여러 이슈가 있었다. Each-layer thickness를 엔비디아에서 완화해주기 전까지는 NCF로 하는게 어려웠는데 어쩌다보니 엔비디아가 허용해주었다 HBM 쪽에서 MUF 테스트는 지금 계속해보고 있다. 발열이나 전력소비 이런건 전공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재 삼성전자 3D DRAM 스태킹 일부 MUF 사용 한미반도체는 올해 마이크론 중국 삼성 확장 노력중.. 삼성에 적극 영업중인것으로 파악된다. 여기서 단기 트레이딩 아이디어 적용 가능 추후 디램은 앞으로 3D 경쟁이 있을것 파운드리 라피더스 결국 TSMC가 흡수할 가능성이 높지 않나? => 마이크론이 일본 먹고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생각해보면 삼성전자는 파운드리에서도 유리한 게임에 있지 않다 실제로 EUV도 잘해올거라고 봤는데 그렇지 못했다. 삼성전자 FCF 입장에서 파운드리가 약점이긴 하다.
91Loading...
11
골드만삭스, HBM 전망 다시 상향 조정: 향후 3년 동안 매년 두 배로 증가 -골드만삭스는 2026년 글로벌 HBM(고대역폭 메모리칩) 시장이 3월 전망보다 30% 이상 증가한 3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하이닉스는 향후 2~3년 동안 HBM3와 HBM3E 부문에서 압도적인 위치를 유지하며 전체 HBM 시장 점유율 50% 이상을 유지할 예정이다. 고성능 메모리 칩을 구하기 힘든 상황에서 골드만삭스는 HBM 시장 전망치를 불과 두 달 만에 두 배나 높였다. 월요일 현지 시간으로 Giuni Lee와 다른 Goldman Sachs 애널리스트들은 글로벌 HBM(고대역폭 메모리 칩) 시장이 2023년부터 2026년까지 약 100%의 연평균 성장률(CAGR)로 성장하여 3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는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 3월 전망치보다 30% 이상 증가) 골드만삭스는 AI 관련 강력한 글로벌 투자가 HBM 수요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HBM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각 AI 칩에 사용되는 HBM 용량도 늘어나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Goldman Sachs는 또한 HBM이 향후 몇 년간 공급이 부족할 것이라는 견해를 재차 밝혔습니다. -AI 투자와 매출 모두 강세를 보이고 있어 HBM의 확장 가속화가 예상됩니다. - 골드만삭스가 HBM 시장 전망을 상향한 주된 이유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된다. HBM 공급망의 AI 관련 매출 전망은 더욱 밝습니다. 공급 측면에서 골드만삭스는 올해 SK하이닉스의 HBM 매출 전망을 기존 75억 달러에서 90억 달러로 상향 조정했고, 삼성의 HBM 매출 전망도 기존 48억 달러에서 52억 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수요 측면에서 Goldman Sachs는 Nvidia의 데이터 센터 컴퓨팅 수익이 계속 증가할 것 또한, TSMC 경영진은 AI 매출이 올해 두 배 이상 증가하고, AI 매출의 연평균 성장률은 2028년까지 50%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HBM 기술 로드맵이 가속화되어 칩의 HBM 용량이 증가합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12단 적층 HBM3E 양산을 잇달아 발표했고, SK하이닉스는 HBM4 양산 계획을 2026년에서 2025년으로 앞당겼다. 첨단 HBM3E의 비중이 늘어난 것은 하이엔드 HBM에 대한 시장 수요가 늘어난 동시에 공급 부족으로 인해 전체 HBM 가격도 상승했다는 뜻이다. Goldman Sachs의 조사에 따르면 HBM3E는 HBM3에 비해 최소 10~20%의 프리미엄을 갖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골드만삭스는 HBM 시장 평균판매가 전망치를 상향 조정해 2024년과 2025년에는 평균판매가가 전년 대비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미국의 주요 초대형 클라우드 벤더들은 앞서 AI 관련 자본지출이 2024년에 이미 높은 수준에 도달했지만, 2025년에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힌 바 있다. 골드만삭스는 2024년과 2025년 AI 관련 자본지출 증가율이 각각 46%, 11%(기존 26%, 5%)로 전망했다. 클라우드 자본 지출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주요 적용 분야 중 하나인 HBM에 대한 수요도 늘어날 전망이다. 골드만삭스는 위 요인들을 토대로 2024년, 2025년, 2026년 HBM의 전체 가용 시장 규모를 각각 16%, 24%, 31%씩 늘려 150억 달러, 230억 달러, 300억 달러로 전망했다. Goldman Sachs는 수요 예측의 상향 조정이 HBM 생산 능력 및 수율 추정치의 소폭 증가를 초과한다고 말하면서 향후 몇 년 동안 HBM의 공급이 부족할 것이라는 견해를 재차 밝혔습니다. 골드만삭스의 최근 수급 분석에 따르면 HBM 시장의 공급 격차는 2024년, 2025년, 2026년 각각 2.7%, 1.9%, 0.9%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0.7%. -여전히 선두는 하이닉스인데 성장률은 마이크론이 가장 빠르다? 글로벌 HBM 경쟁 환경에 대한 Goldman Sachs의 전반적인 입장은 변함이 없습니다. 1)SK 하이닉스: 골드만삭스는 하이닉스가 향후 2~3년 동안 HBM3 및 HBM3E 분야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유지하며 전체 HBM 시장 점유율 50%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믿고 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2024년부터 2026년까지 하이닉스의 HBM 매출 전망을 상향 조정했으며, HBM 매출과 이익이 하이닉스 전체 매출과 이익에서 더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이닉스가 제품 수율 개선과 주요 고객사에 최신세대 HBM 공급에 좋은 진전을 보이고 있어 골드만삭스는 목표주가를 22만5000원에서 25만5000원으로 상향하고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했다. 2))삼성: 골드만삭스는 삼성이 전통적인 HBM 제품(주로 HBM2E)에서 최대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HBM3/HBM3E에서도 점진적으로 점유율을 늘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비록 삼성의 HBM 매출총이익률이 하이닉스보다 낮을 수 있지만 골드만삭스는 여전히 HBM 사업이 삼성의 전체 이익률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삼성전자의 이익 전망치를 소폭 상향 조정했지만, D램 가격 상승이 스마트폰과 가전 사업 부문의 이익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전체적인 수정은 제한됐다. 골드만삭스는 삼성전자 목표주가 10만3000원을 유지하고 매수 의견을 유지했다. 3)마이크론: 골드만삭스는 마이크론의 전체 HBM 매출 성장이 2025년부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능가하고 (낮은 기반이긴 하지만) 가장 큰 시장 점유율 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마이크론은 HBM 시장 기회를 잡기 위해 자본 지출을 늘릴 계획이며, HBM 사업이 2024회계연도 수억 달러에서 2025회계연도 수십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Micron의 8층 적층형 HBM3E는 동종 제품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30% 우수하며 현재 Nvidia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Goldman Sachs는 Micron이 현재의 1베타 프로세스 노드에서 1감마 노드로 전환하는 것이 HBM 비용 절감의 열쇠가 될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https://wallstreetcn.com/articles/3715953
130Loading...
12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8125
290Loading...
13
https://m.blog.naver.com/cherryplumlove/223461913794
300Loading...
14
https://gall.dcinside.com/mini/board/view/?id=energystock&no=70593 중국 돼지 사이클 - 앞으로도 수십번은 반복될 사이클
213Loading...
15
주가의 변동은 1/3은 주식의 펀더멘털, 1/3은 그 주식이 속한 섹터 때문이며, 나머지 1/3은 전체 시장 때문이라는 것이 월가에서는 진리로 통한다. ​ 성공적인 실적을 낸 경영진을 발견하면 그들 곁에 꼭 머물러 있어야 한다. 여기서 성공적인 실적이라는 의미는 월가의 분기 이익추정치를 꾸준히 상회 했다거나 기가막히게 멋진 차트를 그렸다는 의미가 아니다. ​ 성공적인 실적이란 꾸준히 높은 매출 성장률을 달성한 것, 성공적으로 새로운 상품과 기능개선을 발표한 것, 점점 더 큰 고객 만족과 충성도를 얻은 것을 의미한다. ​ '매출 성장률 20% 법칙'이 있다. 매출액이 꾸준하게 20% 이상 성장하는 기업은 단기적인 영업이익률에 관계없이 주식 수익률이 높을 가능성이 크다. ​ 5년 동안 매출성장률 20%를 꾸준히 올릴 수 있는 기업은 S&P500 종목 중 오직 2% 뿐이지만, 이 2%가 시장을 크게 상회하는 수익률을 만든다.
330Loading...
16
https://m.blog.naver.com/cashcat_90/223461321590
321Loading...
17
*CHINA IPHONE SHIPMENTS JUMPED 52% IN APRIL, OFFICIAL DATA SHOW
350Loading...
18
SLB, Subsea7, and Aker Solutions’ JV finds work on $1 billion North Sea gas project OneSubsea, a joint venture (JV) backed by SLB, Aker Solutions, and Subsea7, has tucked a new assignment under its belt for a project that aims to bolster gas infrastructure at a giant oil and natural gas fiel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North Sea, which Equinor, a Norwegian state-owned energy giant, operates. https://www.offshore-energy.biz/slb-subsea7-and-aker-solutions-jv-finds-work-on-1-billion-north-sea-gas-project/
340Loading...
19
금투세는 부자과세 아니구, 서민 사다리 걷어차기 https://naver.me/Gt1QRbfb
240Loading...
20
**아침에 코멘트드린 상하이 부동산 부양 대책에 대한 중국증시 개장 반응 긍정적, 디벨로퍼 주가 상승 출발. 상하이 정책 핵심은 5/17 내용 시행외에 보조금과 외지인(비호적)의 시내 기존주택 매수 허용 https://v.daum.net/v/20240528105107787
360Loading...
21
▶️ 타켓은 결국 이스라엘 국적 선박인데 지중해, 아라비아해까지 타겟이 되어버리면 운항리스크는 더욱 증가할 것이 명백함. ▶️ 운항 기피, 위험 감수, 톤마일 증가 등을 감안하면 운임은 급등할 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부근으로 향하는 해상 물류 자체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도 없지 않다. ▶️ 결국 이러한 물류 대란으로 인한 피해는 주변 국가 국민들이 고스란히 입을 것.
350Loading...
22
https://www.marinelink.com/news/houthis-claim-attacks-three-ships-513998 . 예멘 후티 반군은 이란과 연계해서 홍해뿐 아니라 지중해, 아라비아해에서 총 3척의 선박을 공격하였다고 밝힘. . 다행히 선박의 피해는 없었다고 함.
270Loading...
23
https://www.offshore-energy.biz/petrobras-taps-seatrium-for-construction-of-8-15-billion-fpso-pair/ . 싱가폴 조선그룹인 SEATRIUM은 브라질 PETROBRAS의 FPSO 2기 건조계약을 체결. . 약 81억4,000만달러(한화로 약 11조원 규모)규모이며 2025년 1분기 건조 시작하여 2029년 최종 인도 예정이다. . 해당 FPSO는 P-84, P-85호이며 브라질 앞바다 산토스 분지에 위치한 ATAPU와 SEPIA 유전에 배치될 예정이다. ▶️ 몇 번 언급했지만 브라질은 해양 오일 가스 프로젝트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국가임. 투자 규모도 가장 높음. ▶️ 그래서 관련한 밸류체인을 볼 때 브라질 노출도가 높은지 여부는 꼭 확인해야할 것으로 생각됨.
340Loading...
24
https://www.offshore-energy.biz/petrobras-sanctions-next-phase-of-two-oil-projects-in-brazilian-waters/ ▶️ 브라질의 해양 시추 탐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전날 상기 유전에 2차 프로젝트인 'ATAPU 2'와 'SEPIA 2' 개발을 위한 FID(최종투자결정)를 내린 상태임. ▶️ 그리고 몇 시간 뒤에...... 해당 프로젝의 FPSO 2기 발주가 나옴.
310Loading...
25
* (중요)아이멕의 ITF World 2024 행사에서 AMD 리사 수 코멘트 - AMD는 오래 전부터 컴퓨팅 노드의 전력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로드맵을 실행 중 - 25×20(2020년까지 25배 전력효율 달성)은 31.7배 기달성으로 초과달성 - 30×25 달성을 위한 로드맵 실행 중이며, 100×27의 계획 모색 - 이를 위해 다음 세대 칩은 3나노GAA 공정을 적용할 것이며 칩렛 설계, 2.5D와 3D 패키징 혼합,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공동 최적화 작업이 필요 ** 핵심 implication은 1) AMD는 차세대 칩부터 TSMC가 아닌 삼성 3나노 공정을 이용할 것(TSMC 3나노는 GAA가 아니라 핀펫이기 때문) 2) AI컴퓨팅의 전력수요가 최대 화두가 된 상황에서 AMD의 전력효율성이 로드맵대로 달성된다면 하이퍼스케일러의 수요를 자극하기에 충분(실제 최근 마솦의 BUILD 행사에서 나델라 CEO는 '최고의 가성비 칩은 AMD의 MI300X'라고 공개적으로 언급) ** 리사 수가 말을 잘못한게 아니라면 삼성파운드리에 매우 큰 호재. AI 시대 이후 빅테크의 주력 핵심칩을 처음으로 수주한 것이기 때문 ** 엔비디아에만 열광하고 찬사를 보내며 안주할 게 아니라 경쟁사의 동태를 게으르지 않게 살펴야 함. 만약 AMD가 엔비디아보다 앞선 전성비를 입증하며 시장을 의미있게 침투하기 시작할 경우 '엔비디아+SK하이닉스+TSMC' 연합에 매몰돼 있는 투자자들은 'AMD+삼성전자'에 투자할 가장 좋은 투자 타이밍이 '영세업자 삼성'소리를 들었던 바로 지금이었음을 뒤늦게 깨달을 수 있음 ** 삼성파운드리, 삼성 HBM 관련주들 관심. 솔브레인(GAA공정 초산계 에천트 독점공급, HBM용 CMP슬러리 과점적 공급), 동진쎄미켐(EUV용 포토레지스트 국산화, HBM용 CMP슬러리 과점적 공급), 에프에스티(펠리클 국산화 진행 중), 파크시스템즈(AFM, EUV 마스크리페어 장비), 오로스테크놀로지(HBM 오버레이계측장비, 워피지 계측장비) #솔브레인 #동진쎄미켐 #에프에스티 #파크시스템즈 #오로스테크놀로지 https://www.tomshardware.com/pc-components/cpus/lisa-su-announces-amd-is-on-the-path-to-a-100x-power-efficiency-improvement-by-2027-ceo-outlines-amds-advances-during-keynote-at-imecs-itf-world-2024
140Loading...
26
밸류에이션은 퀄리티 만큼 중요하지 않습니다. (테리 스미스 인터뷰) https://m.blog.naver.com/mynameisdj/223460574584
390Loading...
27
Media files
210Loading...
28
https://n.news.naver.com/article/214/0001350724?sid=101
441Loading...
29
코스닥은 120ma 아래에서는 유의미한 지지구간이 별로 없습니다. 아래 작도된 수평 지지라인 정도가 있긴 한데 지지력이 없는 구간입니다. 현 상태에서의 최상의 시나리오는 120ma 위로 올라타는거지, 그 밑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도 다 나쁜거 밖에 없습니다.
410Loading...
30
코스닥 120일선 이탈
390Loading...
31
코스피 시장 요약 보통 120ma는 지지력이 없는 일종의 정거장 중에서 가장 지지력이 열악한 자리이기 때문에 하락클라이막스가 동반된다고 생각해야됩니다. 즉 시장이 박살나는 과정에서 120ma가 깨지는거지, 지금처럼 일부만 조정나오는 순환장세의 조정과는 결이 아주 다릅니다.
360Loading...
32
코스피 60일선 이탈
380Loading...
화장품 섹터가 핫 한데 https://m.blog.naver.com/luy1978/223463867055
Hammasini ko'rsatish...
화장품 섹터가 핫 한데

더 놀라운 것은 .. 미국 화장품 시장규모는 195조. 미국내 국내 화장품 업체들 시장점유율은 1% 미만... ㅎ...

Repost from 양파농장
https://www.frontlineplc.cy/fro-first-quarter-2024-results/ #FRO #Tanker FRO 24.1Q 실적발표 EPS : 0.81(0.79, Inline) VLCC : 48,100 수에즈막스 : 45,800 LR2, 아프라막스 : 54,300 2분기 TCE VLCC : 60,400 수에즈막스 : 46,400 LR2, 아프라막스 : 64,700 배당금 : 주당 0.62(0.56, Beat)
Hammasini ko'rsatish...
FRO – First Quarter 2024 Results - Frontline

FRONTLINE PLC REPORTS RESULTS FOR THE FIRST QUARTER ENDED MARCH 31, 2024 Frontline plc (the “Company” or “Frontline”), today reported unaudited results for the three months ended March 31, 2024: Highlights Profit of $180.8 million, or $0.81 per share for the first quarter of 2024. Adjusted profit of $137.9 million, or $0.62 per share for […]

오히려 좋아.. 엔터가 더 안좋을수록 매수 기회는 더 주어진다.
Hammasini ko'rsatish...
Repost from 재야의 고수들
HYBE vs 민희진 - 배임 아니고 배민이었구나? https://naver.me/FzQR65pm #엔터 #하이브
Hammasini ko'rsatish...
[속보]민희진 ‘뉴진스 맘’ 유지···하이브 상대 가처분 ‘인용’

[하나증권/에너지소재/윤재성] 2024-2025년 에너지 절약 및 탄소 감소 행동 계획" 발표에 관한 국무원 고시 ✅석유화학, 화학산업의 에너지 절약 및 탄소저감 활동 1. 석유 화학 및 화학 산업에 대한 정책 요구 사항을 엄격히 시행: 석유 화학 산업의 계획 및 배치에 대한 엄격한 제약을 강화. 정유, 카바이드, 인산암모늄, 황인 등 산업의 신규 생산 능력 엄격히 통제. 수은을 사용하는 새로운 PVC 생산능력 건설 금지. 석유화학 프로젝트의 신규 건설, 재건 및 확장은 에너지 효율성 기준 수준과 환경 성과 수준 A에 도달 필수. 교체에 사용되는 생산능력은 적시에 폐쇄. 연간 200만톤 이하의 용량을 갖춘 상압장치 포괄적으로 단계적 폐지. 2025년 말까지 국내 1차 원유 처리 능력을 10억톤(2,000만b/d) 이내로 통제. 2. 석유화학 및 화학 산업의 에너지 절약 및 탄소 감축 가속화: 2025년 말까지 정유, 에틸렌, 암모니아, 카바이드 산업의 에너지 효율 기준 충족 설비 30% 이상으로 확대. 에너지 효율 기준 수준 이하의 설비들은 기술 혁신을 완료하거나, 철수. 2024~2025년 석유화학 산업의 에너지 절약 및 탄소 저감 노력을 통해 약 4천만톤의 석탄 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약 1.1억만톤의 CO2 배출량 감축 3. 석유화학 및 화학공정의 리엔지니어링 촉진: 그린 수소 생산 기술의 연구개발과 적용을 장려하며, 그린 수소 생산 설비 건설을 지원하고, 그레이 수소 생산량 점진적으로 축소. 증기기관에서 전기기관으로의 전환을 질서있게 추진하고, 대규모 석화 공업 단지에 에너지 공급을 위해 원자력 활용 방안 모색 독려 ** 중국은 2021년 탈탄소 정책의 일환으로 정제설비 증설을 2,000만 b/d로 제한할 계획을 세웠고, 이를 2023년 11월 최종 확정. 이번 국무부의 "2024-2025년 에너지 절약 및 탄소 감소 행동 계획"을 통해 이를 재확인. 현재 중국의 정제설비 규모는 1,900만b/d 수준으로 추가 Capa 확대 여력은 6%에 불과 https://www.gov.cn/zhengce/content/202405/content_6954322.htm
Hammasini ko'rsatish...
国务院关于印发《2024—2025年节能降碳行动方案》的通知_节能与资源综合利用_中国政府网

现将《2024—2025年节能降碳行动方案》印发给你们,请认真贯彻执行。

🇯🇵일본 미쓰비시중공업(MHI), AI 붐에 따른 가스터빈 수요 급증 전망 *요약: 가스터빈 글로벌 No.1의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대응 전략 방안 발표. 소형 GTCC를 활용한 On-Site 발전과 쿨링 시스템 결합이 인상적.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 대응을 위한 가장 적시성 있는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음에 주목. 중장기적으로는 수소 혼소/전소도 계획 중 - MHI는 글로벌 가스터빈 점유율 36%로 GE Vernova, Siemens를 제치고 글로벌 No.1을 차지 - 5/28일 Mid-Term 전략 발표에서 AI발 전력 수요 급증으로 향후 3년 간 가스터빈 중심의 실적 성장 전략 제시. 매출액은 20% 성장해 사상 최대치를, 영업이익은 60% 성장할 것으로 가이던스를 제시 - 최근 실적발표에서는 FY23 수주가 YoY +50% 급증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언급 - MHI는 전통적으로 발전소용 대형 가스터빈 제조사이지만, AI 붐에 따른 데이터 센터 및 반도체 공장에서의 수요 대응을 위해 소형 터빈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계획을 발표 - 특히, 데이터센터에서의 발전기와 쿨링 시스템이 결합된 One-stop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 발전기는 On-site 발전이 가능하도록 GTCC와 ESS가 결합된 형태가 될 것이며, EMS를 통해 시스템 전반의 효율성도 향상시킬 것이라 발표 - 회사는 이미 수소를 전소하는 소형 터빈을 개발했고, 대형 터빈에 대해 천연가스, 수소 50:50 혼소를 테스트 중. 2030년에는 수소 전소 대형 터빈을 생산할 계획 - 참고로, CCS 사업은 ExxonMobil과 텍사스에서 진행. MHI는 탄소 포집을, Exxon은 파이프라인 운송 및 저장을 담당 https://asia.nikkei.com/Business/Companies/Japan-s-Mitsubishi-Heavy-expects-surging-turbine-demand-amid-AI-boom
Hammasini ko'rsatish...
Repost from 양파농장
Hammasini ko'rsatish...
유럽(EU) 탈탄소 규제, 대형선박 60% 5년 안에 리트로핏 해야

# 2025년부터 탄소 2% 저감 강제, 2030년 -6% 충족해야 # 위반시 벌금부과, 2050년엔 최대 8배로 증가 # 수...

*태국 Sri Trang 주가 20% 상승 - Sri Trang은 태국 No.1 천연고무&장갑업체 - 5/28일 실적 발표 후 오늘 주가 20% 급등 - 장갑 판매량 YoY +39%, QoQ +14% 증가했고, 가동률은 4Q23 72%에서 1Q24 87%로 15p% 개선 - EUDR을 준수한 제품을 출시했고, 2024년 6월 기준 전체 판매량의 10%가 규정을 준수한 제품이 될 것이라 언급 - EU는 글로벌 전체 고무 수요의 30%를 차지하고, 태국과 코트디부아르에서만 EUDR을 준수할 수 있을 것이기에 상대적 이점을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 - 천연고무 주요 생산지역인 인니의 생산량은 중기적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며, 코트디부르아르도 생산량 증가율 둔화될 것으로 전망
Hammasini ko'rsatish...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 ConocoPhillips, 약 150억$(약 20조원) 규모로 Marathon Oil 인수합병 협상 진행 중 - 작년부터 이어진 대규모 M&A가 올해도 지속되고 있음 - 독립업체들이 Super Major에 통합되고 시장 자체가 과점화되며 향후 미국에서 과거 독립업체처럼 공격적인 시추 활동을 기대하기는 힘들 듯 - 과점화된 시장이 의미하는 바에 대한 고민이 필요 https://www.ft.com/content/94f8b1be-4ba6-42bb-aabc-7f1c7ca0f36b
Hammasini ko'rsatish...
Repost from 점프
[삼성증권 금일 삼성전자 관련 반도체 세션] 1. HBM3 관련해서 초기에는 열나서 못쓰겠다. 소프트웨어랑 먹통이다 등의 문제가 있었다. 지금은 해당 문제들은 해결되었고 전력소비 큰 것을 해결 해달라는 요청을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 (Broadcom에 의하면 SK Hynix HBM보다 전력 30% 더 소모, 마이크론 보다는 이보다 더 크게 소모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2. 삼성전자 3nm GAA 관련 AMD 서버향 받은건 아니고 Legacy 쪽 4nm 수주를 받은 것으로 확인된다. 3. 삼성증권은 삼성전자가 Risk 대비 Return이 엄청 좋은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Top Pick으로 상향한다. (SK하이닉스는 여전히 Top Pick 유지) 3. HBM3 퀄 통과는 예정대로 5~6월에는 나올거라고 생각하고 있다. (전럭소모 개선 조건부 퀄 통과가 나올수도 있다.) 4. 다만, 열나는건 Metal Layer를 두껍게 한다던지 해서 해결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오류는 사람 붙이면 된다. 그런데 전력소모 개선은 쉽지 않다. 기본 Die 자체가 빨라져야 한다.. => 물리적으로 봤을때 electron 을 더 빨리 밀어야 하니까 변압을 더 높게 걸어야 하고 이로 인해 저항이 더 생기고 열도 나고 이런건데 이걸 어떻게 해결할지..? 당장 1a를 뜯어 고치기는 늦었고 1c에서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 그와중에 이것저것 땜빵을 해보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5. 엔비디아향 HBM3e는 SK하이닉스가 거의 다가져갈거다. 삼성 공급량은 얼마 안될거다. 다만, 변수는 AMD다. 6. HBM 때문에 메모리 업체들 Capa가 없고 (삼성은 Capa 감소효과) 범용 메모리 가격이 올라갈거다. 이런 상황에서 범용 디램 패가 남은건 삼성이다. 마진의 큰 상승이 범용 디램에서 일어날수 있다. 7. 삼성의 HBM 마진은 그렇게 낮지않다. 작년 하이닉스 마진 50%, 삼성전자 40% 물론 올해는 HBM3e가 들어와서 격차가 벌어지긴 하겠지만 엄청 크지 않을꺼고 범용 가격이 올라오면 수익성은 많이 개선될거다. 8. 삼성도 하이닉스도 투자는 안하고 있다. 장비업체들이 가격을 내려가면서 까지 HBM 투자를 확보하고 있다. 두 업체 모두 투자를 더하겠다는 생각이 없다. 지금 감산하고 있는거랑 똑같다. (HBM 때문) 9. 소부장 밸류에이션이 매력적이 아닌데 뭘 사야되냐라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크게 두 회사를 본다 1. 피에스케이홀딩스 => 삼성전자 HBM 디레이팅 해소 필요. 닉스 마이크론에 디스컴 리플로우 공급중 2. 파크시스템스 => CoWoS 쪽에 활용성이 높아진다. 실리콘 인터포저 쪽에서 활용도 높아질 것 Q/A Session 1. END-USER(테슬라, 마소)에 따른 삼성HBM, 닉스HBM 구매변수가 있을까? => 없을 것이다. 그냥 무차별하다. 2. HBM4 Base Die를 TSMC가 가져가면 닉스 수익률은 얼마나 줄어드냐? => 예상해보자면 급격히 어닝이 줄어드는 환경은 아닐 것이다. 3. 삼성은 NCF를 고수하는지? 전력 소비만 문제라면 이 부분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건지 ? => MUF를 삼성이 처음 시도 했었는데 잘 안되었던 것 같다. 여러 이슈가 있었다. Each-layer thickness를 엔비디아에서 완화해주기 전까지는 NCF로 하는게 어려웠는데 어쩌다보니 엔비디아가 허용해주었다 HBM 쪽에서 MUF 테스트는 지금 계속해보고 있다. 발열이나 전력소비 이런건 전공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재 삼성전자 3D DRAM 스태킹 일부 MUF 사용 한미반도체는 올해 마이크론 중국 삼성 확장 노력중.. 삼성에 적극 영업중인것으로 파악된다. 여기서 단기 트레이딩 아이디어 적용 가능 추후 디램은 앞으로 3D 경쟁이 있을것 파운드리 라피더스 결국 TSMC가 흡수할 가능성이 높지 않나? => 마이크론이 일본 먹고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생각해보면 삼성전자는 파운드리에서도 유리한 게임에 있지 않다 실제로 EUV도 잘해올거라고 봤는데 그렇지 못했다. 삼성전자 FCF 입장에서 파운드리가 약점이긴 하다.
Hammasini ko'rsat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