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kie

We use cookies to improve your browsing experience. By clicking «Accept all», you agree to the use of cookies.

avatar

The Barbarian 해외주식

Advertising posts
12 685
Subscribers
-424 hours
+217 days
+13130 days
Posting time distributions

Data loading in progress...

Find out who reads your channel

This graph will show you who besides your subscribers reads your channel and learn about other sources of traffic.
Views Sources
Publication analysis
PostsViews
Shares
Views dynamics
01
[ ASML, High NA EUV 출하 계획 코멘트 + Barclays의 긍정 콜 속 7% 넘게 상승 + 반도체 장비 기업들도 랠리 ] - ASML은 High NA EUV 장비 출하 계획 코멘트 + Barclays의 반도체 장비주들의 TSMC 2나노 투자 수혜 코멘트 로 7% 넘게 상승 - ASML은 TSMC, 삼성, 인텔 3곳 모두 2024년 말까지 High NA EUV를 도입할 것이라고 코멘트 - Barclays는 웨이퍼 팹 장비 지출이 2024년 963억 달러에서 2025년 1064억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코멘트 - 기존 전망치는 각각 806억 달러, 891억 달러 수준이 었음 - 삼성전자, 마이크론, SK 하이닉스가 DRAM CAPEX 를 늘리 예정인 점 - 중국 반도체 기업들이 예상보다 더 많은 장비를 사갈 것으로 예상되는 점 - TSMC의 2나노 투자가 본격화될 뿐만 아니라 GAA 도입으로 반도체 장비 수혜가 예상되는 점 > 위 이유들로 반도체 장비 시장에 대한 전망을 크게 상향 - 이에 반도체 장비 기업들 대부분이 크게 상승
65422Loading...
02
안녕하세요 바바리안 리서치 BK 입니다 최근 eSSD 시장이 1분기에 크게 선전하면서 국내에서도 AI 발 NAND 시장 수요 회복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Nand Cell 업체로는 Micron 이 있고 스토리지 기업으로는 Pure Storage, Netapp, Dell 이 있습니다 최근 AI 수혜로 급등해 온 스토리지 기업들이 이번 실적 발표 후에는 약간 주춤한 모습인데요 그 이유와 앞으로 더 오르기 위해 필요한 점들을 정리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605164205772qq
1 2912Loading...
03
안녕하세요. 바바리안리서치 정희석입니다. 지금이 이번 AI사이클에서 어느 정도 구간에 있는지를 분석했습니다. 좋은 것은 알지만, 더 좋은 것이 필요한 현 상황에서 봐야하는 흐름과 테마를 정리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604141235443fn
2 3839Loading...
04
IMVT 같은 경우는, CIDP 임상이 2분기 정도 밀리면서 주가가 급락을 하였는데요, 여전히 회복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CIDP 임상의 경우 조금 '억까성' 이 있다고 말 할 수 있을 정도로 시장의 오해가 있는 것 같습니다 밀리게 된 CIDP 적응증의 경우 peak sales 파이프라인 가치 기준으로 전체 (현재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 20% 정도의 매출을 기대하는 파이프라인입니다 해당 20% 미만의 매출을 담당하는 임상이 2분기가 밀리게 된 것이죠 심지어 임상이 밀리게 된 이유가 약을 투여하기 이전 프로토콜적인 측면에 있기 때문에 IMVT의 batoclimab 약물의 안전성 문제와는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CIDP 임상의 경우 약을 투여하기 전 의무적으로 휴약기간인 washout period (6~12주)를 거쳐야 합니다. 경쟁 약물들도 전부 거쳤구요. 이 과정에서 환자들의 상태가 좋아지지 않아 환자 선정에 애로사항이 있어 임상이 지연되었습니다. 즉 약을 넣기 전 임상이 밀린 것입니다 * https://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333688 대표적 경쟁 약물인 argenX의 vyvgart 등도 전부 휴약기간을 거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결론적으로 -현재 파이프라인은 4개 중 1개, 20% 비중을 가진 적응증 임상이 약과 무결한 이유로 임상이 2분기 지연 -IMVT는 임상 대상 적응증을 2년 내로 10개 이상 확장할 것 -올 하반기는 핵심 임상인 MG (Myasthenia Gravis) 3상 결과가 나올 예정 으로 현재 상황을 가볍게 이해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3408Loading...
05
💻 오늘 저녁 9시에 미국주식 주간 라이브 진행합니다. 주제는 1) AI사이클 타임라인 점검(지금은 어디에?) 및 2) 미국 신발/의류 기업 주가 강세 요인 분석 입니다. 많이들 참석해주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602163939064bj
2 4714Loading...
06
대만에서 열린 COMPUTEX 2024 엔비디아(NVDA) 키노트 핵심 내용/시사점 분석을 했습니다. 지금까지의 키노트와는 약간 느낌이 달랐는데요. 의미있고, 재미있는 내용 점검해봤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603105420545ns
2 5162Loading...
07
[ 대만 컴퓨텍스에서 엔비디아는 새로운 로드맵 첫 공개 ] 1) Blackwell Ultra 첫 공개 - HBM 12 단 첫 사용 제품 2) Rudin 이라는 차세대 라인업 공개 - HBM4 채택 - Rubin Ultra의 경우 탑재되는 HBM이 12개까지 늘어나며 HBM 사용량이 현재보다 최소 50% 증가 (현재 8개 HBM 탑재) - GPU 들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반도체 스펙도 대부분 2배 이상 증가 - 특히 이더넷 제품명이 X1600으로 되어있는데 > 이는 광트랜시버가 1600기가까지 업그레이드 될 것임을 암시 > 이더넷 스펙이 100기가에서 올해 800기가까지 오는데 수년 넘게 걸린 것을 고려하면 네트워크 성능 향상이 AI 서버에서 얼마나 절실한지 보여줌 3) Vera CPU - 현재 데이터 센터 시장에서 ARM의 점유율을 크게 상승시키고 있는 ARM Neoverse의 새로운 서버 제품이 내년에 공개될 것임을 암시
1 85145Loading...
08
안녕하세요, 김찬유 연구원입니다. 올해 들어 빅테크의 데이터센터 투자 기대감과 함께 최근에는 연료전지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습니다. 전력망에 의존하지 않는 분산발전의 수단으로 태양광이나 풍력, 배터리 스토리지가 연계된 방식이 일반적이었다면, 최근 천연가스를 직접 공급받아 전력을 발전하는 연료전지가 새로운 옵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수소 연료전지 테마는 2022년 하반기 금리 인상의 여파로 가장 큰 피해를 받았던 업종 중 하나였고, 저희도 이 부분에 대해서는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게 좋겠다는 말씀을 드려왔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전력 부족이 시장의 핵심 화두로 떠오르면서, 투자자 입장에서 다시 연료전지에 대한 관심을 높일 시기가 된 것 같습니다. 특히 이제는 수소를 활용한 “청정” 에너지원으로서의 기능보다 “발전”의 기능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특히 지난 몇 달간 데이터센터 투자와 연계된 연료전지의 역할에 대한 언급이 늘어나는 속도를 보면, 연료전지 투자에 대한 중장기적인 가시성이 굉장히 빠르게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부터는 연료전지 기술이 데이터센터 투자와 연계되어 중요한 변곡점을 지나는 구간이라고 판단, 앞으로 이 부분에 대한 리서치를 강화하려고 합니다. 오늘 자료에서는 블룸 에너지에 대한 설명, 그리고 최근 발전용 연료전지에 대해 시장의 관심 내용들을 점검해보겠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602184029922hx
2 66327Loading...
09
👨🏻‍🏫 내일 6월 3일 저녁 9시에 미국주식 주간 라이브를 진행합니다. 다음 두 주제를 다루려 합니다. 1) 이번 AI사이클 내 현 위치 분석 2) 미국 신발/의류 기업들 주가 강세 요인 및 특징 분석 두 주제 모두 지금 고민해볼 필요가 있는 내용들인데요. 내일 관련한 아이디어 같이 이야기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602163939064bj
2 3744Loading...
10
✔️AI네트워크 반도체 기업 마벨 테크놀로지(MRVL)의 실적분석자료입니다. 실적발표 이후 금요일 주가가 10% 급락했는데요. 실적 주요 내용과 주가변동성 확대 요인, 그리고 회사에 대한 생각 정리했습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601182144760mj
2 6769Loading...
11
👨‍💻선두 AI서버 기업 Dell Technologies(DELL)의 실적 분석 자료입니다. 표면적으로는 나쁘지 않은 실적과 가이던스에도 주가가 급락하는 이유를 분석했고, 저희 의견을 정리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531171828344kf
2 8874Loading...
12
미국 소비재 주가 강세가 최근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특히, 신발 기업들이모두 좋은 흐름을 보이는데요. 미국의 Deckers Outdoor(DECK), On Holding(ONON), Sketcher(SKX), 일본의 Asics(7936), Mizuno(8022) 등 대부분이 역사적 신고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저희 바바리안에서는 글로벌 러닝화 시장 성장성, 그 안에서 On Holdings(ONON)에 대한 관심을 높게 가져가고 있는데요. 어떠한 산업적 흐름과 현상들이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했습니다. (많은 분들이 보셨으면 하는 마음에 이 글은 당분간 무료글로 풀어둡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530213201789qw
5 27783Loading...
13
[ 미국 eSSD 기반 스토리지 기업인 Pure Storage 가 AI 수혜로 이번 분기에도 호실적을 발표하며 실적 발표 후 10% 넘게 상승중 ] - 퓨어스토리지는 기업향 / 데이터 센터향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대규모 스토리지 (eSSD 기반 스토리지) 를 선두 기업 - 이번 분기에도 흐름을 이어나가며 호실적 발표 후 7% 넘게 상승 이번 분기 실적 발표 - 매출 : 6.94억 달러 (YoY +17.7%, 컨센서스, 1259만 달러 상회) - 구독 서비스 매출 : 3억 4,610만 달러 (YoY 23% 증가) - 구독 연간 반복 매출 ARR 14억 달러 (YoY 25% 증가) - 잔여 이행 의무 (RPO) 23억 달러 (YoY 27% 증가) - GAAP GPM : 71.5% - Non-GAAP 영업 이익 : 1억 달러 / 영업 이익률 : 14.5% FY2025 가이던스 - 매출 : 31억 달러 (YoY 10.5% 성장) - 영업이익 : 5.32억 달러 (영업이익률 : 17%) 1분기 간략 코멘트 - 엔터프라이즈 AI 가속화 흐름 속 엔비디아와 플래시 메모리 스토리지 (eSSD) 협력 > 퓨어스토리지는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생성 AI 를 뒷받침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 스토리지 레퍼런스 아키텍처 획득 > 엔비디아의 고객들에게 검증된 플래시 메모리 스토리지 제공 - 다음달 동사가 개최하는 행사에서 플래시 메모리 스토리지가 어떻게 AI 와 사이버 보안에서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는지 설명하는 행사를 가질 것 🤗 관련한 생각 - 지난 분기 실적 발표부터 AI 발 eSSD 수요가 증가하며 주가 급등 - 작년 봄/여름 즈음 부터 AI 발 eSSD 수요가 살아나고 있는 점이 확인되기 시작하고 있음 - Trendforce 에 따르며 AI 학습 / 추론에서 플래시 메모리 스토리지 (eSSD) 가 전력 효율 개선 및 뛰어난 성능으로 AI 용 데이터 센터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코멘트 - 특히 북미 하이퍼 스케일러로부터의 수주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 - 특히 AI 추론에서 eSSD가 유의미한 성능 개선에 기여 - eSSD의 기본이 되는 NAND 기술은 QLC 인데 QLC 출하량은 올해 300% YoY 증가가 예상된다고 트렌드 포스는 코멘트 - 이러한 흐름 속에서 eSSD 를 기반으로 대규모 스토리지를 만드는 Pure Storage의 실적 개선세가 이어지고 있음 - 하반기부터 Blackwell 출하가 시작됨에 따라 출하되는 GPU의 Q가 더 폭발적으로 증가할 예정인데 이에 따라 eSSD 수요가 같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팔로우업 필요 - 자세한 내용은 컨콜 이후 추가적으로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BK TechInsight 텔레그램 채널 https://t.me/Barbarian_Global_Tech 바바리안 리서치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
2 47141Loading...
14
[ Salesforce,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실적과 가이던스 하향으로 13% 넘게 급락 ] 📝 주요 내용 - Salesforce 는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실적과 가이던스 하향으로 장후 시장에서 급락 - 매출 : 91.3억 달러 (YoY 10.7%, 컨센서스 2천만 달러 하회) - Non-GAAP EPS : 2.44 달러 (컨센서스 0.07 달러 상회) - 잔여 이행 의무는 264억 달러로 YoY 10% 증가 2025년 2분기 가이던스 - 매출 : 92억~92.5억 달러 (컨센서스 93.4억 달러 하회) - FY2025 가이던스는 377억~380억 달러로 컨센서스 380.1억 달러에 거의 부합 - 다만 영업 이익 가이던스를 19.9%로 하향하였음 🤗 관련한 생각 - 최근 소프트웨어 수요 채널 체크를 하면 CRM 시장에서의 보수적인 지출 흐름이 확인되었는데 사실이었음이 증명됨 - 대형 SaaS 기업들 중에서 Workday에 이어 Salesforce 까지 부진한 실적을 발표하며 급락 - 긍정적인 하드웨어 시장과 다르게 보안을 제외한 소프트웨어 시장은 여전히 AI 온기가 돌고 있지 않으며 전통적인 SaaS 수요도 여전히 약함 - 그래도 긍정적인 부분은 하반기에는 바닥을 칠 것이라는 기대들이 있기 때문에 상반기에 크게 조정받은 소프트웨어 섹터들 다시 주목할 필요는 있음 BK TechInsight 텔레그램 채널 https://t.me/Barbarian_Global_Tech 바바리안 리서치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
2 62910Loading...
15
AI투자 확대의 낙수효과가 계속 확산되는 상황입니다. 최근에는 미국 태양광 산업에도 강한 수혜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퍼스트솔라(FSLR) 등 주요 기업들의 주가 반등도 강하게 나오고 있구요. 이와같은 상황에서 미국 태양광 산업/밸류체인 기업들의 투자모멘텀이 지속 가능한지를 살펴봤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529135202085pz
3 35514Loading...
16
Media files
1 9036Loading...
17
오늘 저녁 9시 30분에 최근 주목도가 높은 미국 태양광 산업에 대한 리얼리티 체크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526190634766bx
3 6263Loading...
18
[OLED iPad Pro, 출하량 900만대 돌파] 📝 주요 내용 - 최근 전반적인 IT 기기 시장의 침체 속에서 애플의 첫 OLED 태블릿인 아이패드 프로의 출하량이 900만 대를 돌파하였음 - 옴디아에 따르면 2024년 글로벌 OLED 태블릿 출하량이 1,210만 대에 달할 것이며, 이 중 하이브리드 OLED가 812만 대(61.7%)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됨 - OLED 아이패드 프로가 하이브리드 OLED를 사용하는 최초의 태블릿이 될 것이기 때문에 옴디아의 하이브리드 OLED 출하량 예측의 상당 부분이 아이패드 프로 OLED로 구성될 것임 - 일부 시장 조사 업체는 2024년 OLED iPad Pro 출하량을 450만 대에서 500만 대 사이로 예측하고 있지만, Apple, LG디스플레이(LGD), 삼성디스플레이(SDC)는 기존 출하 목표를 고수하고 있음 - Apple의 OLED iPad Pro는 11인치와 13인치 두 가지 크기로, LGD는 두 가지 크기를 모두 공급하고 SDC는 11인치 OLED 패널을 공급할 예정이며 LGD의 OLED 출하 목표는 500만 대, SDC의 목표는 400만 대 이상으로 추정됨 - iPad Pro는 이론적으로 싱글 스택 구조에 비해 밝기는 2배, 수명은 4배 더 길어진 2스택 탠덤 구조가 적용될 예정임 🤗 관련한 생각 - 최근 미국의 OLED 도판트 소재 기업인 Universal Display 는 실적 발표 이후 상승세 - 호실적의 원인은 OLED의 침투율 상승과 IPAD OLED 향 수요 증가 - 지금까지 컨센서스는 800만대 수준이었으며 높은 가격 때문에 500만대 이하의 수요 예상도 있었지만 - IPAD OLED 버전의 호평이 이어지며 높은 가격에도 수요가 이어지는 중 - 이에 따라 프리미엄 IT 기기에서 탠덤 OLED의 채택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짐 - 또한, 탠덤 OLED는 소재를 일반 OLED 보다 많이 사용할 뿐만 아니라 수율도 낮아 예상보다 더 많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됨 BK TechInsight 텔레그램 채널 https://t.me/Barbarian_Global_Tech 바바리안 리서치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
2 94719Loading...
19
오늘 밤 미국시장 휴장일입니다. 하지만, 바바리안의 BK팀장님은 오늘도 글로벌 테크 섹터를 열심히 리서치 중이신데요👨‍💻 글로벌 테크 위클리와 함께 이번 한 주 투자전략을 점검해보시죠!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527162030401nl
3 4633Loading...
20
최근 미국시장에서 온디바이스AI 테마의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는데요. 큰 맥락과 타임라인 간단히 정리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527140300087lb
3 56826Loading...
21
[ APPLE의 WWDC 프리뷰 : AI by 마크 거먼 ] - 애플의 WWDC 가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 이번 애플의 WWDC 는 AI 때문에 아이폰 초창기 만큼 관심이 높은 것 같습니다 - 그래서 Apple 프로 유출러인 마크 거먼도 요즘 Apple WWDC 이야기만 하는데요 - 지난 주말 사이 마크 거먼이 예상하는 WWDC 내용입니다 📝 주요 내용 1.AI 신기능 - Apple은 WWDC의 상당부분은 AI 관련 신기능에 할애할 것으로 전망 - 새로운 전략의 핵심은 주요 앱에 통합할 AI 도구 세트인 “Project Greymatter” - 올해에는 음성 메모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AI로 사진을 보정하고, 스포트라이트 기능에서 더 빠르고 안정적인 검색을 하는 등 기존의 기능을 보완해나갈 것 - Safari 웹 검색을 개선하고 이메일과 문자 메시지에 대한 답장을 자동으로 제안하는 기능이 추가될 예정임 - 개인 비서 Siri도 업그레이드되어 더욱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해질 것이며, 이동 중에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더욱 발전된 Siri가 Apple Watch에 추가될 것 - Xcode를 비롯한 개발자 도구에 AI 기능이 향상될 것 - 이모티콘에 AI를 도입하여, 사용자가 문자를 보내는 내용을 기반으로 즉석에서 맞춤형 이모티콘을 만들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 중임 - 가장 큰 부분은 스마트 요약 기능으로, 사용자에게 부재중 알림과 개별 문자 메시지, 웹 페이지, 뉴스 기사, 문서, 메모 등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에 대해 요약 정보를 제공할 예정임 2. 온디바이스VS클라우드 - AI 기능에 대한 대부분의 처리는 작년에 출시된 iPhone, iPad 및 Mac 칩에서 온디바이스 형태로 실행될 예정임 - 그러나 더 많은 연산 능력이 필요한 기능의 경우 작업은 클라우드를 이용할 것이며, 데이터센터에 위치한 M2 Ultra 칩으로 구동될 것 - Apple은 iOS 18과 macOS 15에 작업을 기기에서 처리할지 아니면 클라우드를 통해 처리할지 결정하는 소프트웨어를 신제품에 포함할 예정임 3. 자체 챗봇 애플의 AJAX는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됨 - Apple이 자체적으로 개발해 온 AJAX는 경쟁사대비 만족스럽지 못한 수준에 그침 - Apple의 일부 경영진은 자체 챗봇에 대해 철학적으로 반대하고 있음에도 챗봇의 필요성은 피할 수 없음 - Apple은 챗봇 도입을 위해 Google과 OpenAI과 논의하였고, 결국 Chat GPT를 선택하며 Gemini를 사용하는 삼성 기기에 비해 성능 측면에서 잠재적인 우위에 섬 - 그러나 애플은 Chat 가 단일 공급업체가 되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음. 따라서 구글의 Gemini를 옵션으로 제공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6월 WWDC에서 해당 옵션을 선보일 것으로 예상되지는 않음 - 가장 큰 문제는 Apple이 자체 챗봇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한지에 대한 여부임 4. 애플의 강점 Apple은 경쟁업체가 따라올 수 없는 두 가지 장점 1. 방대한 Apple 기기 보급률임 - 전 세계에 수억 대의 Apple 디바이스가 AI 기능을 지원할 것 - Apple의 기기를 소유한 사람들은 적어도 새로운 기능을 사용하며 Apple은 하룻밤 사이에 가장 큰 AI 플레이어로 도약할 수 있음 - 애플은 AI 기능을 9월 정식 출시 전에 프리뷰(베타 버전)로 마케팅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는데, 베타 버전의 출시는 이 기술이 아직 완전히 완성되지 않았음을 의미함 2. Apple은 개인 보안 측면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됨 - 클라우드 처리를 위해 사용하는 M 시리즈 칩의 보안 기능을 강조 - 클라우드 기반의 AI 기능이 잠재적으로 민감한 정보를 데이터 센터로 전송하더라도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음을 주장할 것 🤗 관련한 생각 - 기존 루머들과 거의 합치하며 챗봇에서는 GPT를 사용하고 그 밖의 기능에서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AI 모델들을 각각 특화된 상황과 기능에 사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 GPT를 대체하기 위한 AJAX 애플 AI 모델의 경우에는 현재 GPT 3.5~4 사이의 수준으로 생각됩니다 - 애플은 당연히 다양한 상황에 특화된 AI 모델을 개발할 뿐만 아니라 결국 GPT를 대체하기 위한 AJAX 개발도 계속해서 이어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 GPT 를 솔벤더로 사용하는 것조차 부담감을 느끼고 있기 때문입니다 - 거먼도 언급했듯이 애플은 워낙 보유하고 있는 생태계가 엄청나기 때문에 예상보다 더 빠르고 쉽게 주요 AI 기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최근 작곡 앱인 Logic Pro에서 생성 AI 기능이 대거 보강되었으며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인 Final Cut에서도 생성 AI가 도입되기 시작되었고 계속해서 추가될 예정입니다 - 애플 기기들을 위한 소프트웨어 작성 프로그램이 Xcode에도 Github Copilot 과 같은 생성 AI 기능이 추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따라서 애플이 WWDC를 기점으로 예상보다 빠르게 주요 AI 기업이 되고 AI를 수익화 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BK TechInsight 텔레그램 채널 https://t.me/Barbarian_Global_Tech 바바리안 리서치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
2 63038Loading...
22
엔비디아(NVDA) 실적발표 이후 미국 애널리스트들의 시각 및 컨센서스 변화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이를 통해 현재 엔비디아가 놓여 있는 주가 수준, 그리고 향후 레벨업 포인트 등도 같이 고민해봤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526120625178mu
3 3715Loading...
23
(위 그림은 5월 24일 금요일 미국 신재생에너지 기업 주가 퍼포먼스) 금요일 미국시장에서도 신재생에너지 기업들 주가가 뜨거웠습니다 그동안 많은 투자자분들이 미국 전력/에너지 산업의 구조적 변화를 통해 전력인프라 밸류체인(ex. HD현대일렉트릭)에서 기회를 찾아오셨는데요. 이 메가트렌드의 수혜가 신재생에너지 기업들로 가시적으로 확산되는 흐름입니다. 어떠한 흐름/맥락이 있는지,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는 저희 김찬유 연구원의 글을 주말 일독 추천드립니다! ☀️퍼스트 솔라(FLSR)가 급등하는 이유 :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는 빅테크의 신재생 투자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524194344378qr
3 68745Loading...
24
[ 퀄컴의 새로운 윈도우 노트북용 X Elite 칩 탑재 노트북이 맥북에어 M3 보다 배터리 좋을 가능성이 높음 ] - 어제부터 유튜버들을 통해 퀄컴의 초기 테스트 결과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 성능은 이전에 유출되었던 것과 유사한 수준인데요 컨센서스를 뛰어넘는 점은 배터리 같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발표 전 퀄컴의 칩이 인텔 12세대보다 대략 2배 가까이 배터리 성능이 좋을 것이란 델의 유출 자료가 있었는데요 - 현재 유튜버들을 통해 나오고 있는 초기 테스트 결과도 비슷합니다 - 인텔 12세대에 비하면 2배 정도 좋고 인텔 14세대보다는 30% 정도 좋으며 맥북에어 M3 보다도 20% 가량 좋은 모습입니다 > 개인적인 생각에는 유튜버가 테스트한 노트북 모델마다 탑재된 배터리 양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러한 점도 감안해야할 것 같습니다 > 사진에서 테스트한 제품 중에서 MSI Prestige EVO AI의 배터리 용량은 맥북에어나 서피스 랩탑보다 대략 거의 2배이기 때문에 델이 유출한 자료 처럼 ARM 퀄컴 칩이 14세대보다 60% 전력 효율성이 좋다는 말이 가능할 수도 있어 보입니다 > 당초에는 맥북보다 전력 효율성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었는데 배터리 용량을 감안 하더라도 크게 뒤쳐지지 않을 것으로 보이고 실제 사용 시간에서는 더 나은 것 같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빌드 발표 이후에도 퀄컴의 주가가 상승세인데요 배터리 성능에서의 강점 때문에 긍정적인 기대감이 커지는 것 같습니다 - 물론 다양한 환경에서의 테스트는 실제 제품이 출시되어야 가능할 것 같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의 앱들은 이미 ARM 생태계로 넘어갔고 에뮬레이터의 성능도 기존보다 개선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주요 소프트웨어 업체들도 이미 ARM 전용 베타 버전이 준비되었기 때문에 올해 ARM 생태계 확장은 계속해서 주목해야 합니다 ( Alex Ziskind, Andrew Marc David 유튜브의 초기 테스트 결과를 참고하였습니다 ) BK TechInsight 텔레그램 채널 https://t.me/Barbarian_Global_Tech 바바리안 리서치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
2 94120Loading...
25
안녕하세요, 김찬유 연구원입니다. 이번주 퍼스트솔라를 비롯한 유틸리티 태양광 업종과 ESS, 수소 업종 모두 강세를 보였습니다. 최근 신재생에너지에 긍정적이었던 여러 정책 발표가 있었던 부분도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빅테크가 AI 데이터센터 발전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향후 신재생에너지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는 내러티브가 주목을 받기 시작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특히 최근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이나, 언론 보도를 통해 테크 회사들과 신재생에너지 업체들과의 데이터센터 연계에 관한 논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점이 확인되었는데, 시장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 같습니다. 이번 주에 특히 신재생에너지 내러티브가 주목받은 이유로는 UBS의 코멘트가 주요하지 않았나 싶은데요, 오늘 자료에서는 1) 이번주 신재생에너지 업체들의 주가 반등을 견인했던 UBS 리포트에 대한 내용, 2) 기업용 PPA 시장의 현황, 그리고 3) 최근 신재생에너지 관련 업체들이 실적 컨퍼런스 콜에서 언급하고 있는 데이터센터 투자와 관련된 내용들을 점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올해는 신재생에너지와 유틸리티 기업을 볼 때 미국의 기업용 PPA 시장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신재생에너지 투자에 관심이 있는 구독자 분들이라면 오늘 자료를 꼭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524194344378qr
3 73829Loading...
26
엔비디아(NVDA) 실적리뷰 자료입니다. 포인트가 너무나 명확한 실적이었고, 숫자도 내용도 다 좋았습니다. 실적 발표 이전과 이후, 하루 사이에 시장 추정치가 많이 바뀔 것 같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523140744446so
4 15212Loading...
27
엔비디아(NVDA) 실적리뷰 자료입니다. 포인트가 너무나 명확한 실적이었고, 숫자도 내용도 다 좋았습니다. 실적 발표 이전과 이후, 하루 사이에 시장 추정치가 많이 바뀔 것 같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523140744446so
552Loading...
28
[ 신제품과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코멘트 ] - 젠슨황은 블랙웰 다음은 모든 것을 바닥부터 설계할 것이라고 코멘트 - 네트워킹 기술 관련해서는 새로운 네트워킹 기술 발표와 이더넷 올인 코멘트 🤗 관련한 생각 - 이번 Blackwell의 성능 향상은 사실 영악하게 이루어졌음 - 기본적으로 데이터 센터 GPU의 설계가 변경되려면 적어도 2년의 텀이 필요함 - 하지만, 최근 엔비디아는 데이터 센터 GPU의 출시 주기를 1년으로 단축시킴 - 이러면 엔지니어들을 더 갈아넣을 수는 없기에 인텔의 옛날 틱톡 전략과 비슷한 전략을 취할 수 밖에 없음 - 한 번은 생산 기술로 성능을 올리고 다음 한 번은 설계 개선으로 올려야 함 - 이번 블랙웰은 설계 개선이 있기는 했지만 칩렛 도입 + 주변 기기와의 통신 개선을 통한 개선이 주를 이루었음 - 따라서 경쟁사들도 이러한 생산 기술에 관한 부분은 내년 상반기에 나올 제품들에 무조건 탑재할 것 - 그러면 엔비디아의 내년 경쟁 우위는 위협받을 수 밖에 없음 - 따라서 내년 엔비디아의 신제품은 무조건 설계부터 다 갈아엎어 시장을 놀래켜야만 경쟁 우위가 유지될 수 있음 - 젠슨황의 신제품 코멘트인 모든 것을 바닥부터 설계한다는 것은 멋져보이지만 이러한 쉽지 않은 경쟁 구도가 반영되어 있음 - 특히, 가장 큰 위협중 하나인 빅테크 자체칩들이 올해는 HBM 공급 제약으로 반쪽 짜리 였지만 내년부터는 그렇지 않음 - 따라서 젠슨황이 이 세상에 없던 수준의 새로운 AI 반도체 설계를 내년에 보여줘야 지금의 경쟁 우위가 내년에 유지될 수 있음 - 네트워킹 관련해서는 인피니 밴드가 데이터를 많이 실어나를 때 유리하다고 했지만 그러한 이점은 굉장히 작음 - 그것보다 독자적인 규격으로 엔비디아에게 생태계 종속시키는 것이 큼 - 이러한 독점 구조로 성능 당 가격을 2~3배씩 받음 - 젠슨황의 이더넷 올인은 이러한 꿀빠는 기간의 종언을 의미 - 엔비디아의 네트워킹 사업부도 마진 하락에 크진 않아도 원인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생각 - 비메모리, 네트워킹 모두 엔비디아가 하반기에 왕좌를 확실히 유지하겠지만 PC 시장에서의 경쟁처럼 쉽지 않을 구간이 내년부터 예상되며 (물론 엔비디아가 내년 GTC에서 새로운 설계를 보여주면 괜찮습니다.) 이미 과점 구조인 메모리가 가장 정신적으로 편할 가능성이 높음 BK TechInsight 텔레그램 채널 https://t.me/Barbarian_Global_Tech 바바리안 리서치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
3 05649Loading...
29
[ Blackwell 일정과 엄청나게 빨라지는 시장의 대응 ] Blackwell 일정 코멘트 - 2분기 출시 + 3분기 Ramp up + 4분기 본격 Blackwell 사이클 🤗 관련한 생각 최근 엔비디아가 신고가에 다가간 것은 이미 한국, 대만에서 답지를 봤기 때문 - 2분기 출시는 컨센서스보다 빨랐지만 실제 배송 속도 및 증산 속도는 기존 컨센서스와 비슷 - 대만 서버 제조사들의 1분기 실적 / 4월 실적 + 코멘트에서 확인했던 것처럼 실제 생산 및 납품의 관점에서 Blackwell이 하반기 빠르게 Ramp up 되고 납품될 것 - Blackwell 의 핵심 부품 중 하나는 Liquid Cooling 인데 Liquid Cooling 기업들이 하반기 Ramp-up 되는 점도 맥락에 맞닿음 - 한국과 대만에서의 증산이 확인될때마다 엔비디아도 가장 최근 700불 조정에서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 - 액면분할을 제외하면 한국과 대만에서 이미 답지를 어느 정도 보여주었음 올해 하반기 Blackwell의 승리와 AI Ramp-up - AMD의 MI300은 H200 과도 경쟁이 쉽지 않은데 Blackwell과는 더더욱 쉽지 않은 경쟁을 해야함 - 팹리스의 어려운 점은 설계 우위를 점하고 나면 생산 비용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선두 업체가 오히려 가성비를 점할 수 있음 - Blackwell은 MI300 시리즈보다 우월한 설계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AMD가 Nvidia 대비 가성비를 갖추기도 어려울 듯 - 아무튼, 대만 밸류체인들이 작년 말부터 올해 하반기 증산을 열심히 준비해왔고 Blackwell이 빅테크 자체칩과 AMD를 압도하기 때문에 올해 하반기 AI 서버 출하량은 이전과는 다른 수준일듯 점점 더 어려워지고 빨라져야 하는 대응 - 다만, 어려운 점은 이제는 사람들이 한국, 대만 밸류체인들을 꼼꼼히 체크하고 있기 때문에 어닝 업사이드는 이미 상당 부분 체크되고 반영된다는 점 - 엔비디아의 피크아웃이 다가온다기 보다 애널리스트들의 분석과 팔로우업 속도가 굉장히 빠르고 정확해졌기 때문에 한국, 대만 밸류체인에서 컨센서스 변화의 요소들이 감지되면 그때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음 - 이에 따라 어닝 서프라이즈 강도도 10%~30% 였는데 이번에는 5% 까지 감소 - 앞으로 엔비디아의 실적 추정 경로에서 중요한 점은 여전히 빅테크가 CAPEX를 늘릴 수 있느냐, CoWoS, HBM 캐파가 이미 상반기에 엄청나게 상향되었는데 더 상향될 수 있는가, Blackwell이 올해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AI반도체 시장에서 확고한 위위를 증명해줄테지만 Blackwell 다음 제품도 그럴 수 있는가 등등 - Blackwell은 훌륭하지만 경쟁사들의 대응 제품도 올해 말부터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해 1분기에 공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엔비디아는 빠르게 Blackwell을 Ramp up 하고 연말부터는 다음 세대에 관한 정보들이 나와야 함 감소하는 마진 다만, 추가 하락은 제한적 - 마지막으로 마진 우려의 경우, 이번 가이던스 수준에서 하락이 멈출 가능성이 높음 - 엔비디아가 H100과 유사한 가격에서 B100을 책정함. B200, GB200 을 공격적으로 한 것이 아님 - B100은 H100 보다 약간 트랜지스터 수가 늘어났는데 이만큼 비용 부담이 증가함 - 따라서 이 부분에 따른 마진 하락 정도가 예상되며 B200, GB200은 칩렛으로 증가하는 가격이 온전히 전가될 가능성이 높아보임 BK TechInsight 텔레그램 채널 https://t.me/Barbarian_Global_Tech 바바리안 리서치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
2 48232Loading...
30
엔비디아 실적컨콜 중... 신제품 Blackwell 출하가 2분기부터 본격화될 것이라는 코멘트 확인 이후 주가 상승폭 확대 (이는 예상보다 훨 빠른 신제품 전개 속도)
3 42232Loading...
31
[엔비디아 1QFY25 실적 숫자 정리] * 주요 IB들 코멘트들 정리해보면....최근 예상되던 1분기 매출 위스퍼 숫자는 USD 26bn, 2분기 매출 전망치는 USD 28bn까지 올라왔었음 * 즉, 위 테이블(톰슨, 블룸버그 소스)에 있는 컨센서스 숫자들(1분기 매출 24.6bn, 2분기 매출 26.7bn) 보다 실제 시장의 눈높이는 실제 더 높긴했었음 * 그래도, 좋은 실적을 보여준 호실적 분기. 실적발표 이후 주가 급등까지는 아니지만 좋은 반응 보여주고 있어 자세한 분석은 오늘 네프콘 채널에 업로드 드립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
3 80635Loading...
32
주식 분할도 발표
3 09714Loading...
33
- 엔비디아 2분기 매출 가이던스 USD 28bn으로 컨센 26.6bn 상회(단, 최근 시장에서 예상하던 위스퍼 숫자는 28bn 정도이긴 했음)
3 51720Loading...
34
😎 미국 태양광 기업들 주가 급등의 이유 First Solar(FSLR) +19%, Enphase Energy(ENPH) +9%, Nextracker(NXT) +14%. SolarEdge(SEDG) +9%, Sunrun(RUN) +8%, Array Technologies(aRRY) +17%, Daqo(DQ) +17% 등 - 중국 정부가 태양광 산업에서 벌어지고 있는 가격경쟁을 통제할 수도 있다는 기대감 형성됐기 때문 - 중국태양광협회(China Photovoltaic Industry Association )는 지난 5월 17일 협회 미팅 이후, WeChat 공지를 통해 태양광 장비 및 소재를 원가 이하 가격으로 판매하는 행위를 막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언급 - 협회 미팅에는 주요 태양광 기업 및 중국산업정보기술부가 참석했고, 해당 조치에는 중국정부의 개입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 또한, 인수/합병 등을 통한 시장조정 과정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 - 중국 시장 내 제품 가격 안정화가 글로벌 태양광 밸류체인 전반에 수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 확산. 이에 주요 기업들 주가 긍정적 반응 - 또한, UBS보고서 등에서 빅테크 중심의 AI데이터센터 투자 흐름이 결국, 태양광 등 신재생 기업에 구조적 수혜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형성 중 관련 뉴스: https://www.bnnbloomberg.ca/china-s-shaken-solar-sector-rallies-on-plan-to-halt-slump-1.2075908
5 401101Loading...
35
[ 미국 홈페이지 제작을 쉽게 해주는 도구 기업인 Wix.com, Squarespace 실적 발표 후 20% 이상 상승하며 신고가 ] - 홈페이지 제작을 쉽게 해주는 도구를 제공하는 기업인 Wix.com 과 Squarespace 가 모두 실적 발표 이후 20% 이상 상승세를 이어나감 - 양사 모두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가이던스와 가이던스 상향을 발표했기 때문 - 홈페이지 제작 툴 기업들의 주가가 계속 강세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유는 크게 두 가지 1. 홈페이지 제작 도구들이 Shopify 처럼 이커머스를 쉽게 구축해주는 기업들로 변화함 > 고객들이 홈페이지 제작 도구들을 통해 쉽게 이커머스 용 사이트를 구축하고 결제 솔루션들을 붙임 > 홈페이지 제작 도구 기업들이 제공한 결제 솔루션을 사용하면서 결제 수수료를 수취 > 결제 수수료가 성장의 동력 2. AI 효과 > GPT 와 같은 AI 도구가 유용한 부분이 홈페이지 제작 부분 > 아이디어만 있으면 기존보다도 훨씬 더 홈페이지를 고퀄로 쉽게 만들 수 있음 > 애초에 Wix.com과 Squarespace가 홈페이지 제작을 쉽게 해주는 솔루션으로 시작했음 > 하지만, AI가 이전과 비교할 수 없는 수준으로 더 쉽고 고퀄로 제작할 수 있게 해줌 > 이에 Wix.com과 Squarespace는 적극적으로 AI 를 도입했고 소비자들의 반응도 좋으며 어닝 서프라이즈를 이어나가고 있음 리스크 어느 정도 해소 - 결국 자체 이커머스를 구축하고 싶은 고객들이 주요 고객이기 때문에 테무, 알리 공급 우려가 있었지만 예상보다 큰 영향이 없었음 결론 - 홈페이지 제작을 쉽게 해주는 도구를 제공하는 기업들의 상승세가 지속적으로 이어짐 - 쇼피파이처럼 이커머스 구축을 쉽게 해주는 기업으로 변화했고 그러면서 결제 솔루션을 제공하고 수수료를 받으며 성장 - 그에 더해 AI 를 통해 이커머스 홈페이지 구축이 더 쉬워졌고 고객들도 더 모이며 어닝 서프라이즈 중 - 소프트웨어 중에서 AI 직수혜 기업이 별로 없는데 홈페이지 / 이커머스용 홈페이지 제작 부분은 AI 가 이미 잘 쓰이고 있는 분야 중 하나로 지속적으로 팔로우업 필요 BK TechInsight 텔레그램 채널 https://t.me/Barbarian_Global_Tech 바바리안 리서치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
2 56511Loading...
36
[ Tesla 긍정적인 5월 3주차 중국 전기차 보험 등록 건수에 2% 상승 ] - Tesla는 긍정적인 5월 3주차 신규 전기차 등록 건수가 13,800대를 기록 - 5월 1일부터 12일까지 등록 건수는 16,900대 - 따라서 5월 19일까지 Tesla의 중국 전기차 판매량은 30,800대 - 이는 작년과 비교하면 4% 낮은 수치 - 하지만 올해 4월 한 달 판매량이 31,421대에 그쳤음 - 따라서 중국 내 테슬라 판매량이 올해로 보면 개선되고 있는 긍정적인 수치 BK TechInsight 텔레그램 채널 https://t.me/Barbarian_Global_Tech 바바리안 리서치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
2 69616Loading...
37
오는 수요일(한국시간 목요일 새벽) 엔비디아(NVDA) 실적발표를 앞두고 있습니다. 좋은 실적이 나올 것으로 다수가 예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이 높아진 눈높이와 하반기부터의 성장성 둔화 우려 등 걱정거리도 동시에 함께 존재합니다. 다소 복잡한 현 상황을 심플하게, 단 핵심 포인트 중심으로 분석했습니다. 또한, 향후 주가 방향성에 대해 전망해보겠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521130937824cg
3 5008Loading...
38
[ Microsoft, 새로운 AI PC 브랜드로 Copilot+ 런칭 + 퀄컴 칩을 사용한 ARM Windows 노트북 대거 출시 ] Copilot + - Microsoft는 새로운 AI PC 브랜드로 Copilot+를 런칭 - Windows 에서 다양한 AI 기능들이 NPU 들을 통해서 데이터 센터와의 통신 없이 실행될 예정 - 어도비와 같이 생산성 앱들도 PC / 노트북에 있는 NPU 들을 사용하여 더 빠르게 AI 기능 실행 - 최근 놀라운 기능들로 주목받은 GPT-4o도 윈도우 Copilot에 탑재될 예정 ARM Windows - 퀄컴 칩을 탑재한 Windows PC 들이 대거 출시 - 그동안 소프트웨어 호환성 + 부족했던 ARM 칩의 성능 등으로 ARM Windows는 잘 안 되었지만 이제는 주류로 부상하는 모습 - 그동안 ARM Windows 노트북들은 굉장히 제한적이었는데 - 새로운 퀄컴칩을 탑재한 노트북을 메이저 노트북 제조사들을 모두 출시했으며 6월 18일 부터 소비자에게 출하될 예정 - 높은 배터리 성능 + 45TOPS의 NPU 성능 + 그럼에도 애플 M3 보다 높은 성능이 특징 - Surface, Asus, Acer, Dell, Lenovo, Samsung, HP 가 신제품 출시 BK TechInsight 텔레그램 채널 https://t.me/Barbarian_Global_Tech 바바리안 리서치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
3 14428Loading...
39
이번주 수요일 장마감 이후(한국시간 목요일 새벽) 엔비디아 실적발표가 있습니다. 대망의 엔비디아(NVDA) 실적발표를 앞두고 프리뷰 세미나 진행합니다. 어떠한 관점에서 볼 것인지...대응전략을 어떻게 세워야할지 정리해보겠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519135109910tv
3 3321Loading...
[ ASML, High NA EUV 출하 계획 코멘트 + Barclays의 긍정 콜 속 7% 넘게 상승 + 반도체 장비 기업들도 랠리 ] - ASML은 High NA EUV 장비 출하 계획 코멘트 + Barclays의 반도체 장비주들의 TSMC 2나노 투자 수혜 코멘트 로 7% 넘게 상승 - ASML은 TSMC, 삼성, 인텔 3곳 모두 2024년 말까지 High NA EUV를 도입할 것이라고 코멘트 - Barclays는 웨이퍼 팹 장비 지출이 2024년 963억 달러에서 2025년 1064억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코멘트 - 기존 전망치는 각각 806억 달러, 891억 달러 수준이 었음 - 삼성전자, 마이크론, SK 하이닉스가 DRAM CAPEX 를 늘리 예정인 점 - 중국 반도체 기업들이 예상보다 더 많은 장비를 사갈 것으로 예상되는 점 - TSMC의 2나노 투자가 본격화될 뿐만 아니라 GAA 도입으로 반도체 장비 수혜가 예상되는 점 > 위 이유들로 반도체 장비 시장에 대한 전망을 크게 상향 - 이에 반도체 장비 기업들 대부분이 크게 상승
Show all...
안녕하세요 바바리안 리서치 BK 입니다 최근 eSSD 시장이 1분기에 크게 선전하면서 국내에서도 AI 발 NAND 시장 수요 회복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Nand Cell 업체로는 Micron 이 있고 스토리지 기업으로는 Pure Storage, Netapp, Dell 이 있습니다 최근 AI 수혜로 급등해 온 스토리지 기업들이 이번 실적 발표 후에는 약간 주춤한 모습인데요 그 이유와 앞으로 더 오르기 위해 필요한 점들을 정리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605164205772qq
Show all...
안녕하세요. 바바리안리서치 정희석입니다. 지금이 이번 AI사이클에서 어느 정도 구간에 있는지를 분석했습니다. 좋은 것은 알지만, 더 좋은 것이 필요한 현 상황에서 봐야하는 흐름과 테마를 정리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604141235443fn
Show all...
우리는 지금 AI투자 사이클의 어디쯤에 있을까?

안녕하세요. 바바리안리서치 정희석입니다. 이번 AI투자 사이클에서 지금은 어느 정도 구간에 있고, 이에 따른 투자 전략은 어떻게 가져가야 하는지 분석했습니다. 또한, 가볍게 최근 미국 신발/의류 기업들의 주가 강세 요인 및 특징도 정리했습니다. 3일 월요일에 진

Repost from N/a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IMVT 같은 경우는, CIDP 임상이 2분기 정도 밀리면서 주가가 급락을 하였는데요, 여전히 회복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CIDP 임상의 경우 조금 '억까성' 이 있다고 말 할 수 있을 정도로 시장의 오해가 있는 것 같습니다 밀리게 된 CIDP 적응증의 경우 peak sales 파이프라인 가치 기준으로 전체 (현재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 20% 정도의 매출을 기대하는 파이프라인입니다 해당 20% 미만의 매출을 담당하는 임상이 2분기가 밀리게 된 것이죠 심지어 임상이 밀리게 된 이유가 약을 투여하기 이전 프로토콜적인 측면에 있기 때문에 IMVT의 batoclimab 약물의 안전성 문제와는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CIDP 임상의 경우 약을 투여하기 전 의무적으로 휴약기간인 washout period (6~12주)를 거쳐야 합니다. 경쟁 약물들도 전부 거쳤구요. 이 과정에서 환자들의 상태가 좋아지지 않아 환자 선정에 애로사항이 있어 임상이 지연되었습니다. 즉 약을 넣기 전 임상이 밀린 것입니다 * https://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333688 대표적 경쟁 약물인 argenX의 vyvgart 등도 전부 휴약기간을 거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결론적으로 -현재 파이프라인은 4개 중 1개, 20% 비중을 가진 적응증 임상이 약과 무결한 이유로 임상이 2분기 지연 -IMVT는 임상 대상 적응증을 2년 내로 10개 이상 확장할 것 -올 하반기는 핵심 임상인 MG (Myasthenia Gravis) 3상 결과가 나올 예정 으로 현재 상황을 가볍게 이해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Show all...
💻 오늘 저녁 9시에 미국주식 주간 라이브 진행합니다. 주제는 1) AI사이클 타임라인 점검(지금은 어디에?) 및 2) 미국 신발/의류 기업 주가 강세 요인 분석 입니다. 많이들 참석해주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602163939064bj
Show all...
[공지] 미국주식 주간 라이브 공지 (6월 3일 월 저녁 9시): 1) AI사이클 현황 분석, 2) 신발/의류 기업 주가 강세 배경/특징 분석

안녕하세요. 바바리안리서치 정희석입니다. 주간 라이브 세미나 공지드립니다. 다음 두 가지 주제로 진행할 계획인데요. 1) AI사이클 내 현 위치 분석, 2) 신발/의류 기업 주가 강세 배경/특징 분석 입니다. 구체적 시간과 접속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대만에서 열린 COMPUTEX 2024 엔비디아(NVDA) 키노트 핵심 내용/시사점 분석을 했습니다. 지금까지의 키노트와는 약간 느낌이 달랐는데요. 의미있고, 재미있는 내용 점검해봤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603105420545ns
Show all...
엔비디아(NVDA) 컴퓨텍스 리뷰: 칼 좀 그만 갈아...

안녕하세요. 바바리안리서치 김병건, 정희석입니다. 지난 6월 2일 일요일 저녁에 열린 대만 COMTUTEX 행사에서 엔비디아(NVDA) 키노트 정리/분석했습니다. 지금까지의 COMPUTEX 행사와 달리 엔비디아가 뭔가 의미있는 내용들을 많이 이야기해줬는데요. 핵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 대만 컴퓨텍스에서 엔비디아는 새로운 로드맵 첫 공개 ] 1) Blackwell Ultra 첫 공개 - HBM 12 단 첫 사용 제품 2) Rudin 이라는 차세대 라인업 공개 - HBM4 채택 - Rubin Ultra의 경우 탑재되는 HBM이 12개까지 늘어나며 HBM 사용량이 현재보다 최소 50% 증가 (현재 8개 HBM 탑재) - GPU 들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반도체 스펙도 대부분 2배 이상 증가 - 특히 이더넷 제품명이 X1600으로 되어있는데 > 이는 광트랜시버가 1600기가까지 업그레이드 될 것임을 암시 > 이더넷 스펙이 100기가에서 올해 800기가까지 오는데 수년 넘게 걸린 것을 고려하면 네트워크 성능 향상이 AI 서버에서 얼마나 절실한지 보여줌 3) Vera CPU - 현재 데이터 센터 시장에서 ARM의 점유율을 크게 상승시키고 있는 ARM Neoverse의 새로운 서버 제품이 내년에 공개될 것임을 암시
Show all...
안녕하세요, 김찬유 연구원입니다. 올해 들어 빅테크의 데이터센터 투자 기대감과 함께 최근에는 연료전지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습니다. 전력망에 의존하지 않는 분산발전의 수단으로 태양광이나 풍력, 배터리 스토리지가 연계된 방식이 일반적이었다면, 최근 천연가스를 직접 공급받아 전력을 발전하는 연료전지가 새로운 옵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수소 연료전지 테마는 2022년 하반기 금리 인상의 여파로 가장 큰 피해를 받았던 업종 중 하나였고, 저희도 이 부분에 대해서는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게 좋겠다는 말씀을 드려왔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전력 부족이 시장의 핵심 화두로 떠오르면서, 투자자 입장에서 다시 연료전지에 대한 관심을 높일 시기가 된 것 같습니다. 특히 이제는 수소를 활용한 “청정” 에너지원으로서의 기능보다 “발전”의 기능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특히 지난 몇 달간 데이터센터 투자와 연계된 연료전지의 역할에 대한 언급이 늘어나는 속도를 보면, 연료전지 투자에 대한 중장기적인 가시성이 굉장히 빠르게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부터는 연료전지 기술이 데이터센터 투자와 연계되어 중요한 변곡점을 지나는 구간이라고 판단, 앞으로 이 부분에 대한 리서치를 강화하려고 합니다. 오늘 자료에서는 블룸 에너지에 대한 설명, 그리고 최근 발전용 연료전지에 대해 시장의 관심 내용들을 점검해보겠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602184029922hx
Show all...
블룸에너지(BE) : 다시 주목을 받는 연료전지, "발전용" 연료전지에 대한 리얼리티 체크

안녕하세요, 김찬유 연구원입니다. 올해 들어 빅테크의 데이터센터 투자 기대감과 함께 최근에는 연료전지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습니다. 전력망에 의존하지 않는 분산발전의 수단으로 태양광이나 풍력, 배터리 스토리지가 연계된 방식이 일반적이었다면, 최근 천연

👨🏻‍🏫 내일 6월 3일 저녁 9시에 미국주식 주간 라이브를 진행합니다. 다음 두 주제를 다루려 합니다. 1) 이번 AI사이클 내 현 위치 분석 2) 미국 신발/의류 기업들 주가 강세 요인 및 특징 분석 두 주제 모두 지금 고민해볼 필요가 있는 내용들인데요. 내일 관련한 아이디어 같이 이야기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602163939064bj
Show all...
[공지] 미국주식 주간 라이브 공지 (6월 3일 월 저녁 9시): 1) AI사이클 현황 분석, 2) 신발/의류 기업 주가 강세 배경/특징 분석

안녕하세요. 바바리안리서치 정희석입니다. 주간 라이브 세미나 공지드립니다. 다음 두 가지 주제로 진행할 계획인데요. 1) AI사이클 내 현 위치 분석, 2) 신발/의류 기업 주가 강세 배경/특징 분석 입니다. 구체적 시간과 접속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AI네트워크 반도체 기업 마벨 테크놀로지(MRVL)의 실적분석자료입니다. 실적발표 이후 금요일 주가가 10% 급락했는데요. 실적 주요 내용과 주가변동성 확대 요인, 그리고 회사에 대한 생각 정리했습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40601182144760mj
Show all...
마벨 테크놀로지(MRVL): 아쉬운 실적, 하지만 AI사이클의 근본 기업임에는 변함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바바리안리서치 정희석입니다. AI네트워크 반도체 기업 마벨 테크놀로지(Marvell Technology, MRVL) 1분기 실적을 점검합니다. 회사는 지난 30일(목) 실적을 발표하고 금요일에 주가가 10% 밀렸습니다. 같은 날 실적을 발표한 Dell 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