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kie

نحن نستخدم ملفات تعريف الارتباط لتحسين تجربة التصفح الخاصة بك. بالنقر على "قبول الكل"، أنت توافق على استخدام ملفات تعريف الارتباط.

avatar

MZ세대로 살아남기(네모선장)

네모선장의 재테크 텔레그램입니다. 주식, 가상화폐 등 재테크 관련 모든 정보를 공유하는 소통의 공간입니다. 블로그 주소 https://m.blog.naver.com/niceguy921

إظهار المزيد
مشاركات الإعلانات
1 094
المشتركون
+124 ساعات
-47 أيام
-1030 أيام
توزيع وقت النشر

جاري تحميل البيانات...

Find out who reads your channel

This graph will show you who besides your subscribers reads your channel and learn about other sources of traffic.
Views Sources
تحليل النشر
المشاركاتالمشاهدات
الأسهم
ديناميات المشاهدات
01
*소재부품 커버리지 시작합니다! 신한 IT팀 이경아 주목해주십시오!! ;) [신한투자증권 반도체 소부장 이경아] * 반도체 소재/부품: 기다려왔던 마시멜로 ▶️ 2024년 소재/부품 Level UP 구간 - 23년 HBM 수혜 → DRAM, 후공정, 장비업체 주가 차별화 - 24년 하반기 NAND 가동률 80% → NAND/비메모리, 전공정, 소재/부품업체 실적 정상화 - 가동률 정상화 이후 추가 성장 가능한 소재/부품 6개 기업 커버리지 개시 ▶️ NAND 고단화 (400단), 고용량 (1PB) 시대 도래 - 삼성전자 더블스택 본격화 → 고단화 핵심 공정소재 업체 수혜 - AI용 데이터센터 수요 확대 → 고용량화에 유리한 고집적 강유전체 업체 기회 - (Issue Check) TEL 신규 극저온 식각장비 도입 → 특수가스 업체 선별적 기회 예상 ▶️ 비메모리 초미세화 (2나노), EUV 시대 도래 - 인텔 파운드리 재진입 → 선단공정 GAA, BSPDN 시장 확대 전망 - EUV 생태계 확대 → EUV 부품 기업 수혜 증가 예상 - (Issue Check) 중국 DUV 레거시 굴기 → 부품 업체 매출 외연 확대 전망 ▶️ Top Picks: 에스앤에스텍, 원익머트리얼즈 - 에스앤에스텍: TP 65,000원 커버리지 개시 - 원익머트리얼즈: TP 55,000원 커버리지 개시 - 솔브레인: TP 400,000원 커버리지 개시 - 티씨케이: TP 150,000원 커버리지 개시 - 티이엠씨: TP 27,000원 커버리지 개시 - 비씨엔씨: TP 23,000원 커버리지 개시 ▶️ URL: http://bbs2.shinhaninvest.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26345 위 내용은 2024년 6월 11일 07시 4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 신한IT팀 공부방 텔레 채널: https://bit.ly/2vtMOwG
751Loading...
02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애플 온디바이스 AI 관련 궈밍치 코멘트 정리 How Apple defines on-device AI and future trends —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zing supported models of Apple Intelligence A16 칩이 탑재된 iPhone 15는 Apple Intelligence를 지원할 수 없지만 M1이 탑재된 모델은 지원 가능. 따라서 현재 Apple Intelligence 온 디바이스 모델 지원의 핵심은 연산 능력(TOPS)이 아니라 DRAM 사양이라 결론 M1의 AI 연산 능력은 약 11 TOPS로 A16의 17 TOPS보다 낮은 상황. A16은 6GB의 DRAM을 탑재하여 M1의 8GB보다 낮음. 따라서 현재 Apple Intelligence 온디바이스 AI LLM에는 약 2GB 이하의 DRAM이 필요 DRAM 수요는 다른 방법으로도 확인 가능. Apple Intelligence는 온디바이스 3B LLM을 사용(M1의 NPU/ANE가 FP16을 잘 지원하므로 FP16이어야 함). 압축 후(2비트와 4비트 혼합 구성 사용), Apple Intelligence 온디바이스 LLM을 실행하려면 언제든지 약 0.7~1.5GB의 DRAM을 남겨놔야 한다 설명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1. 기존 온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을 AI로 향상시키려면 최소 온디바이스 3B LLM을 구축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압축 방식에 따라 DRAM 사양이 결정 2. Microsoft는 AI PC의 핵심 사양을 40 TOPS의 컴퓨팅 성능으로 보고 있지만 클라우드 AI(프라이빗 클라우드 컴퓨팅)와 통합된 Apple의 경우 11 TOPS의 온디바이스 컴퓨팅 성능만으로도 온디바이스 AI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음 3. 소비자는 Microsoft의 AI PC를 구매할 때 혼란스러울 수 있지만(구매 전에 40 TOPS에 도달하는지 계산해야 함), Apple은 어떤 모델이 Apple Intelligence를 지원할 수 있는지 소비자에게 직접 알려주는 상황. 온디바이스 AI 애플리케이션이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Apple은 처음부터 확실한 판매 우위를 점하고 있다 설명 4. 앞으로 Apple Intelligence의 온디바이스 AI는 확실히 업그레이드될 것이며(7B LLM으로 업그레이드될 가능성이 높다 밝힘), 이를 위해서는 더 큰 DRAM이 필요할 것. 애플이 고급형과 저가형 모델을 차별화하기 위해 이 전략을 사용할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 5. 사용자 경험이 애플의 주장만큼 좋은지는 아직 지켜볼 필요가 있다 밝힘(예를 들어, 구글의 제미니는 프로모션에서 과장된 주장을 한 적이 있음) 6. 삼성 S24의 AI 기능은 제한적이며, 마이크로소프트의 AI PC는 여전히 소비자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음. 애플은 온디바이스 AI를 성공적으로 정의했으며(적어도 소비자들은 이미 애플 AI 기기의 풍부한 AI 기능과 판매 포인트를 알고 있음), 이는 경쟁사의 모방과 추격을 가속화하여 온디바이스 AI 관련 산업의 빠른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 전망 코멘트 링크: https://han.gl/rAglB 감사합니다
582Loading...
03
#전기 #전자 #애플 #대신증권
901Loading...
04
(위) 애플 실망스러웠나…AI 서비스 발표에 주가 2%↓ 애플 주가가 AI 서비스 발표에도 불구하고 흘러내리고 있습니다. 연말에는 Chat GPT를 아예 애플 OS와 통합하는 방향으로 서비스를 할 계획이라는데 왜 그럴까요? WSJ에 의하면 "프라이버시"가 쟁점이라고 합니다. (기사 링크: https://www.wsj.com/tech/ai/apple-wwdc-2024-ai-release-356c5303?mod=hp_lead_pos1) 어쨌거나 AI 모델 학습을 위해서는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해야 하는데, 애플은 고객 데이터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Private Cloud"를 따로 만들거고, 저장도 안되고 애플이 접근 불가능한 서버로 한다는데 과연 믿을 수 있는건지? 그게 정말 가능은 한건지? 의구심이 있다는거죠. 일론 머스크도 X에서 애플을 엄청 까고 있습니다. "우리는 회사 내 애플 기기 사용을 전면 금지하겠다. 애플 OS랑 Chat GPT 통합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는 보안 위반(an acceptable security violation)"이라며 강력 비판 중입니다. ========= 애플이 자체 연례 콘퍼런스에서 AI 관련 기술을 새롭게 선보였지만, 투자자들을 만족시키는 데는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발표 직후 뉴욕 증시에선 실망 매물이 쏟아졌고 애플의 주가는 2% 가까이 밀렸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12678
760Loading...
05
10개의 '충격적인' 차트로 보는 엔비디아의 AI 혁명과 성장 https://themiilk.com/articles/aa0db1893?u=3e083717&t=a03ec8984&from=&utm_source=Viewsletter&utm_campaign=c660f3a65f-miilkisletter166&utm_medium=email&utm_term=0_-c660f3a65f-%5BLIST_EMAIL_ID%5D
1300Loading...
06
북미 고객사향 매출 증가: 23 년 7 월부터 본격적으로 공급이 시작됐다. ‘신규 북미 AI 가속기 고객사’향 매출은 23 년 약 232 억원 → 24 년 1,125 억원으로 전망한다.
922Loading...
07
Computex 2024 참관기: The Jensen Syndrome [삼성증권 IT 이종욱/글로벌 반도체 문준호] 대만 PC 박람회, Computex를 다녀 왔습니다. 역대 이렇게 많은 사람이 왔던 적이 없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요, IT 역사의 한 장면을 본 듯한 느낌이었습니다. 1) 젠슨은 CEO를 넘어 AI 전도자가 되어 있었습니다. 부스의 분위기는 젠슨의 사인이 담긴 블랙웰 서버랙에서 사진을 찍고, 부쓰 직원은 종종 젠슨이 강연에서 했던 발언을 인용했습니다. 2) 엔비디아, 인텔, AMD, 퀄컴의 CEO가 한자리에 모여 AI와 대만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AI가 회사와 나라를 바꿀수 있다는 기대감이 전시장 분위기에 녹아 있었습니다. 3) 우리는 반도체 중심의 성장, 그리고 1등 업체 위주의 성장이 더욱 공고해진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엔비디아, 그리고 엔비디아 수혜주에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퀄컴은 AI 브랜드를 선점하는데 성공했습니다. 4) 반도체 사이클은 연말까지 더 연장될수 있습니다. 이미 투자자의 초점은 AI PC 판매량과 블랙웰 흥행에 맞춰져 있는데, 연말까지는 그 결과를 알수 없기 때문입니다. 5) 반면 인텔과 AMD의 존재감은 더욱 줄어들고 있습니다. 또한 AI PC와 수냉식 서버랙을 만든다고 할지라도, 세트나 OEM 업체들이 차별화를 보여주긴 힘들어 보입니다. 자세한 이야기는 자료를 참고해 주세요. 자료: https://bit.ly/4cciTIB 감사합니다. (2024/06/10 공표자료)
652Loading...
08
모건스탠리, 24년 하이닉스 예상매출을 67조 2010억원에서 77조7070억원으로 15.6% 상향조정하며 25년 예상매출을 72조 2000억원에서 116조7400억원으로 61.7% 상향조정합니다. 영업이익 예상치를 24조7500억원에서 30조2880억원으로 22.4%상향조정, 25년 영업이익 25조 1040억원에서 46조 1820억원으로 84% 상향조정합니다. DRAM의 ASP(Average Selling Price, 평균판매가격)도 24년 56.7%에서 63.5%로, 25년 -9.0%에서 5.9%로 상향조정합니다. 낸드는 25년 영업이익 추정치를 6조4570억원에서 17조9460억원으로 177.9% 상향조정합니다. 이에 따라 목표치를 27만원에서 30만원으로 상향조정합니다. 반면 삼성전자의 매출추정치는 24년 329.833조원으로 3%상향, 25년은 380조원으로 9.3%상향조정합니다. 영업이익 추정치를 24년 46.5조원에서 55.7조원으로 19.8%상향조정하고. 25년은 59.95조원에서 81.27조원으로 35.6%상향조정합니다. 삼성전자의 목표가는 10만 1천원에서 10만 5천원으로 상향조정합니다.
551Loading...
09
관련 업계에 따르면 BHE 리뉴어블(BHE Renewables)은 옥시덴탈 페트롤리움과 지열 염수에서 배터리용 리튬을 추출하기 위한 합작 법인 설립 계약을 체결했다. BHE 리뉴어블은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의 에너지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새로 설립되는 합작 법인은 급증하는 전기자동차(EV) 배터리 시장에 공급할 수 있는 상업용 리튬 생산 공장을 건설·소유·운영할 계획이다.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72031
1583Loading...
10
(아래) 블룸버그 "SK, 적대적 인수합병이나 헤지펀드 위협 현실화"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슐리 렌 블룸버그 오피니언 칼럼니스트는 ‘10억달러 규모의 한국 이혼, 수치심에 실패했을 때 작동하는 방법' 제목의 칼럼에서 한국 최대 대기업 중 하나가 적대적 인수합병의 표적이 될 수 있다며 “최 회장과 여동생 최기원 SK행복나눔재단 이사장을 포함한 친족은 그룹 지주회사(SK㈜) 지분의 25% 정도만 보유하고 있다", "최 회장이 이혼 소송을 해결하기 위해 지분을 일부 양도하거나 매각해야 한다면 최 회장 일가의 지분율은 국내 지배력 기준인 20%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렌 칼럼니스트는 "SK 이혼 사건이 흥미로운 것은 재벌가 내부에서 변화하고 있고, 가부장이 예전만큼 지배적이지 않다는 것을 확실하게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선진국의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재벌도 경영권 승계 및 변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인수 제안이 들어오면 소액 주주에게 호소하고 달래야 한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731203?lfrom=cafe
791Loading...
11
(아래) 쪼개기냐, 도약이냐…네이버웹툰 美 상장 보는 두 가지 시선 - 네이버웹툰 본사인 웹툰엔터테인먼트, SEC에 IPO를 위한 증권신고서(S-1) 제출. 종목코드는 웹툰(Webtoon)을 상징하는 ‘WBTN’으로 결정 - 통상 S-1 제출부터 상장까지 1~6개월의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르면 7~8월, 늦어도 연내 상장 예상 - 네이버웹툰 추정 시가총액 최대 5.5조원 예상. 텐센트 자회사 웨웬그룹(China Literature) 현재 시총 4조원대, PSR 3.8배 - 상장 이후 네이버의 지분율 희석을 감안하면 네이버 주가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존재. IPO를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유저 저변 확대와 지속적으로 흥행할 IP 발굴 등 장기적인 성장의 기틀을 마련할 필요가 있어 - 경쟁사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몸값 10.5조원 추산됐으나 SM엔터 인수과정에서 시세 조정 혐의 불거지며 상장 무기한 연기 - 일본에서 라인망가 매출 점유율은 44.63%로 카카오픽코마(44.55%)를 근소한 차이로 앞서고 있음 https://zdnet.co.kr/view/?no=20240604134559
820Loading...
12
시가총액 역전 NVDA > AAPL
1040Loading...
13
'호황' 접어든 HD현대일렉, 매출채권 증가 3사 중 '최대'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405290854466420105741&lcode=00
1703Loading...
14
유튜버와 쿠팡의 연계는 점점 활발해질듯. 실제로 같은 제품이라도 저 링크를 타고가면 그냥 쿠팡에서 접속하는것보다 더 저렴한 링크로 연동됨.
1422Loading...
15
이미 상당부분 진행되고있는 쿠팡과 유튜브의 협업 자체 브랜드 제품을 판매하는 크리에이터와 유튜브를 마케팅 채널로 활용 중인 브랜드 기업들은 유튜브 쇼핑을 위한 전용 스토어를 개설할 수 있게 된다. 해당 기능은 전자상거래 플랫폼 카페24와 공동 개발한 것으로 이달 안에 전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론칭될 예정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756592?sid=105
1260Loading...
16
NAND와 DRAM 칩 제조업체는 극단에서 다른 극단으로 이동하기 직전인 것 같습니다. 지난해 제조업체와 비즈니스 파트너는 과잉 재고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제는 AI의 등장으로 수요를 따라잡기 위해 애쓰는 모습이다. 우리는 작년부터 메모리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가격 인상이 다가오고 있다는 소식을 들어왔고, 그 정보는 궁극적으로 정확하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최근 SSD 가격 가이드 업데이트에서 5개의 주요 500GB SSD를 살펴본 결과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각 모델의 가격이 불과 몇 달 전보다 더 비싸졌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Crucial MX500과 같은 일부 소비자 드라이브는 5달러만 인상되었지만 Samsung 970 Evo Plus를 포함한 다른 드라이브는 15달러 인상되었습니다. 게다가 히트작도 계속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Dell의 COO인 Jeff Clarke는 지난 목요일 회사의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운임과 부품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비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 Clarke는 "자본 지출 부족, 낮은 공장 가동률, 웨이퍼 시작 횟수 부족 등 모든 징후가 시장 수요보다 공급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Dell은 시장 수요의 대부분이 고대역폭 메모리와 빠른 내부 및 외부 스토리지가 필요한 강력한 AI 서버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것이라고 믿습니다. https://www.techspot.com/news/103229-dell-expects-memory-ssd-prices-jump-additional-20.html
1061Loading...
17
삼성증권 MSCI 8월 리뷰 LS형제 가능성 높음 CJ, 로템은 주가 빠져서 4조 깨짐 개스공사 4.2조로 갑자기 등장
1390Loading...
18
✅ 대왕고래🐳 테마 정리(중) 🛢가스/석유 한국가스공사/한국석유/대성에너지/대성홀딩스/대성산업/한국ANKOR유전/경동도시가스/서울가스/극동유화/SH에너지화학/리드코프 등등 💧주유소 흥구석유/중앙에너비스/지에스이/세기상사 ⚓️밸브/시추 화성밸브/우림피티에스/디케이락/태광/성광벤드/일승/DSR제강/동아지질 등 💨가스관 동양철관/하이스틸/휴스틸/세아제강/대동스틸/넥스틸/한국주철관 🚢상사 포스코인터내셔널/GS글로벌/현대코퍼레이션/LX인터내셔널 🏗물류/항만 동방/LS마린솔루션/태웅로직스/KCTC 등 ☎️ 추가 종목 제보 @go_upstock
1272Loading...
19
✅리사 수 AMD CEO “연내 한국 방문 추진…삼성은 훌륭한 파트너” 3일 대만 컴퓨텍스 키노트 후 기자간담회 방한 계획 묻자 “한국 무조건 가야해…연내 노력해보겠다” 삼성 파운드리 협력에 대해선 즉답 피해 https://biz.heraldcorp.com/view.php?ud=20240603050490
1590Loading...
20
선진짱님 음챗 정리 240601 하이닉스/삼성전자
771Loading...
21
네이버웹툰 나스닥 상장 절차 개시, 증권신고서(S-1) 제출. 티커는 WBTN 증권신고서(S-1) 링크: https://www.sec.gov/Archives/edgar/data/1997859/000119312524151708/d396527ds1.htm
651Loading...
22
네이버웹툰, 美 증권신고서 제출하며 나스닥 상장 개시 네이버웹툰이 미국 증시 상장 절차를 본격 개시했다. 지난달 31일(현지 시간) 네이버웹툰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증권신고서(S-1)를 제출하며 기업공개(IPO)를 신청했다. 네이버웹툰은 31일 기업공개를 신청하며 회사 경영 내역과 방침을 밝혔다. 신고서에 따르면 네이버웹툰의 올해 1분기 순이익은 620만 달러이며 주당순이익(EPS)는 1.73달러다. 매출은 전년 동기의 3억 1030만 달러 대비 3억 2670만 달러로 성장했다. 지난해 총매출은 12억 8000만 달러, 순손실은 1억 4500만 달러다. 최근 불거지고 있는 네이버의 라인야후 사태에도 네이버웹툰 통제는 네이버에 의해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2월 블룸버그에 따르면 목표 밸류에이션은 30억~40억 달러로 이번 IPO를 통해 최대 5억 달러를 조달한다. 현재 네이버웹툰은 150개국 이상에서 2400만 명의 창작자와 1억 7000만 명의 월간활성이용자수(MAU)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IPO는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 JP모건과 에버코어ISI가 IPO를 주도 중이다. 나스닥 상장 시 티커는 WBTN이 될 예정이다. 김준구 네이버웹툰 대표는 이날 함께 공개된 서한에서 “웹툰의 궁극적 힘은 사용자와 창작자 사이의 상호 작용에 있다”며 “우리의 커뮤니티는 글로벌하고, 우리는 북미 사용자들에게 빠르게 인기를 얻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제가 웹툰을 시작한 이유는 창작자에게 힘을 실어주고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서”라며 “그것이 앞으로도 공개 기업으로서의 우리의 경영전략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347989?rc=N&ntype=RANKING&sid=001
680Loading...
23
<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5/31 Bloomberg> 1) 도이체방크, ‘트럼프 관세 위협으로 금리 인하 무산될 수도’ 도이체방크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백악관에 재입성해 새로운 무역 제한 조치를 취할 경우 미국 경제에 부정적인 공급 충격으로 작용해 잠재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높이고 연준의 금리 인하를 내년까지도 막을 수 있다고 진단. Matthew Luzzetti 등은 “인플레이션이 이미 연준의 목표치를 훨씬 상회하고 있고 정책 입안자들이 여전히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을 가장 염두에 두고 있는 상황에서 무역정책이 자칫 2025년까지 연준의 금리 동결에 또 다른 근거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 2) 윌리엄스 총재, ‘정책 제약적이라는 증거 충분하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는 올 하반기에도 인플레이션이 계속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높아진 차입 비용이 미국 경제를 억제하고 있다고 진단. 그는 여전히 인플레이션이 너무 높지만 정책이 좋은 위치에 있고 수요와 공급 간의 불균형이 완화되고 있다며, 금리 인상은 자신의 기본 시나리오가 아니라고 밝혔음. 인플레이션이 2%가 되어야만 금리를 내리는 것은 아니라며 인플레이션이 2%를 향하고 있다는 일관된 시그널을 기다리고 있다고 설명. 그의 발언은 통화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연준의 목표치인 2%로 끌어내리기에 충분한 지에 대한 연준 내부의 논의에 무게를 더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음 3) 미국 은행들 상업용 부동산 사각지대 경고 미국 대형 은행들의 상업용 부동산(CRE) 익스포저가 규제 당국이 파악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음. Viral Acharya 등이 발표한 연구논문에 따르면 은행들이 부동산투자신탁(REITs·리츠)에 제공하는 신용 한도 및 기간 대출(term loan)과 같은 간접적 대출을 감안할 때 대형 은행의 CRE 대출 익스포저는 약 40% 늘어남. Acharya 교수는 “모두가 은행의 대차대조표상 대출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대형 은행들이 소형 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익스포저가 적다는 사각지대에 갇혀서는 안 된다”고 경고. 이를 감안해 규제 당국은 은행 자본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 진행 시 대출 기관의 리츠 관련 익스포저를 좀 더 잘 반영해야 한다고 권고 4) 골드만 오펜하이머, ‘채권 금리 상승에 주식 랠리 멈출 것’ 골드만삭스 피터 오펜하이머는 채권 금리와 밸류에이션이 동반 상승하면서 올해 나타났던 강력한 주식시장 랠리가 식을 수 있다고 경고. 그는 “채권 금리가 오르고 있어 (주식의) 상승 여력을 제한하고 있다”며, 거대 테크업체들을 제외한 나머지 미국 기업들의 수익 성장률도 완만하다고 지적. 현재 채권 금리가 “모든 자산군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기 때문에 주식과 미국채 간의 상관관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 그는 빅테크 같은 퀄리티 방어 성장주와 미국 유틸리티, 유럽 은행 같은 ‘가치가 깊은’ 종목을 포괄하는 바벨 접근 방식을 추천 5) 올 여름 극심한 상품 가격 변동 가능성에 대비하는 트레이더들 많은 사람들이 이미 지구의 고온 현상으로 인해 혼란을 겪고 있지만 앞으로의 상황은 더욱 암울해 보임. 천연가스와 전력은 물론 밀이나 콩 같은 주요 작물을 포함해 일부 핵심적인 원자재 상품의 가격이 오르고 있음. Hartree Partners의 Edward Morse는 글로벌 경제와 석유 시장에 있어서 최대 리스크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나 이란, 하마스-이스라엘 전쟁이 아니라며, “전 세계적으로 올 여름 최대 리스크는 멕시코만의 허리케인 시즌”이라고 주장. StoneX Group의 Carl Neill은 앞으로 몇 달 동안 이상 기후로 인해 원자재 상품 트레이더들이 긴장을 늦출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불확실성은 변동성을 동반한다. 시장은 그같은 불확실성을 가격에 반영하기 시작했다”고 진단 (자료: Bloomberg News)
1461Loading...
24
[미국 가정집 완속충전기 설치?!] (Feat. 자기집 주차장(Garage) 완속충전기 설치에 목돈이 들어가는 것이 미국 BEV판매 고속성장의 큰 허들중 하나가 아닐까?) ✔️미국 주거형태의 약 3/4을 차지하는 Single-family house(단독주택)의 대부분은 주차장에 전기차 완속충전기(Level2) 설치시 전기공사를 필수적으로 해야하며, 동 비용(충전기값 제외한 순수 공사비 약 $1,000~$3,000)이 서민들(mass market)의 BEV 구매결정의 가장 큰 허들중 하나일 수 있음 ✔️결국 미국 BEV판매의 가장 큰 문제는 차값+부대비용(이자/충전기 등등) 이며, 캐즘을 지나 고속 전동화구간 재진입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가격하락이라 생각(차값이 되었건, 충전기 설치비가 되었건, 이자비가 되었건) <미국의 주거문화와 충전기설치> •미국의 주요 경제권역(메트로폴리탄)인 서남부해안(LA-샌프란시스코), 동북부해안(뉴욕-보스톤-필라델피아), 중부(시카고)에서 서민들이 밀집해 거주하는 교외(Suburb) 싱글홈(단독주택)의 평균 연식은 40년+@ (미국 전체의 주택의 약50%는 1980년 이전 지어짐) •동 주택들이 자기집 주차장에 전기차 완속(Level2) 충전기 설치를 위해서는 High Voltage 아울렛 설치가 필요하며, 이는 지하실에 위치한 가정집의 메인 패널에서 새로운 배선을 끌어와야하고, 이는 일반인이 직접하는 것은 불가능하며(법적으로도), Electrician고용해 설치할 경우 집크기에 따라 약 $1000~$3000정도의 1회성 비용이 필요(여기에 충전기 구매비용은 대략 $500~$1,000 별도) *미국 가정집(주택)에서 240V 아울렛 설치시 각 City에서 Permit을 받아야하며, 동 Permit신청과정을 라이센스 있는 Electrician이 진행해줄 수 있음 *미국에서 인덕션(전기오븐) 보급이 잘 안되는 이유도, 인덕션설치를 위해서는 충전기 설치와 유사한 과정의 추가 전기공사가 진행이 필수적이기 때문 •미국은 100V 아울렛이 일반적이며, 100V 아울렛을 통한 전기차 충전시(Level1) 완충까지 대략 50여시간이 넘게 걸리기 때문에 사실상 EV를 구매한다는 말은 자기집 주차장에 Level2 완속충전기를 설치하겠다는 의미 •미국인들은 일반적으로 저축을 잘 하지 않으며 기초소비가 커 저축할 여유도 크게 없음, 이런 상황에서 자동차 구매는 상대적으로 쉬운 것이 미국의 자동차구매시에 upfront(초기 일시납입금)는 0원으로 쉽게 설정가능하기 때문에(차량가격 전액 할부/리스) 사실상 현재 통장잔고가 0원이어도 직장만 확실하면 어렵지않게 차량 구매 가능 그러나 자기집 충전기 설치비용은 목돈이 들어가는데 거기다 한번에 현금으로 지불해야하기 때문에 가계에는 큰 부담(일반적인 교외주거지(Surburb)에서 카드결재를 받는 Electrician을 찾는것은 매우 어렵고, 찾아도 이경우 가격이 상당히 비쌀 가능성이 높음) 올해부터 진행되고 있는 IRA전기차 세재혜택 보조금의 선지급도 구매하는 차량가격에서 할인하는 형태로, 결국 차량구매시 내가 앞으로 수십개월간 내야할 돈을 매월 조금 낮춰주는 효과인 것이지, 내 계좌로 한방에 $7,500을 입금해주는 형태는 아님 •Tesla의 경우 지역별로 Certified Electrician네트웍(로컬 Electrician을 고객과 연결해주는 시스템)을 구축해 고객들이 완속충전기 설치를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노력중이지만, 실제로 Certified Electrician을 컨택해보면 일반적인 미국 스타일과 다르지 않게 느리고+비싸며+불친절하다는 평이 많음(어쩔수 없는 미국 스타일) SMART한 주식투자
1110Loading...
25
HVAC 시장에서 데이터센터만 보는데, 주거용-상업용-산업용으로 구분. 주거용은 단일제품, 케스케이드로 병합하면 시스템이 되는데 상업용으로 대응. 주거용 시장도 23년 1400억달러 매출, 32년 2280억달러 예상. HVAC 시장규모와 전망
861Loading...
26
경동나비엔, 글로벌 HVAC시장 본격 도전 경동나비엔이 냉난방공조(HVAC: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글로벌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경동나비엔은 올해 북미를 시작으로 난방과 온수는 물론, 실내 공기질 관리, 냉방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새로운 제품을 선보이며 ‘쾌적한 생활환경 파트너’를 향한 발걸음을 본격화한다. 이를 위해 글로벌 생산기지인 서탄공장 확충과 시스템 고도화에도 나선다. http://www.kharn.kr/news/article.html?no=21607
860Loading...
27
AI 저변 확대…3개월간 기술주보다 더 오른 3대 업종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043766?sid=101
1670Loading...
28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들이 뿜어내는 엄청난 열을 식히는 냉각시스템 기업들이 증시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 오하이오주의 냉각시스템 업체 버티브 홀딩스는 2022년 말 이후 주가가 700% 가까이 폭등했다. 대만 아시아바이털(AVC)은 같은 기간 600%, 오라스 테크놀로지는 510% 폭등했다. 골드만삭스는 서버 냉각 시장 규모가 올해 41억달러에서 2026년에는 106억달러로 폭증할 것으로 전망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191712?sid=101
1461Loading...
29
전력기기 '빅3' 성장 가도…신재생에너지 주력 회사별로는 HD현대일렉트릭의 수주잔고가 약 6조497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효성중공업 약 4조1190억원, LS일렉트릭 약 2조5860억원을 기록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840148?sid=101
1510Loading...
30
부채비율보단 ROIC와 현금 흐름을 보고 투자하자 https://m.blog.naver.com/cy2863/223461131643
1554Loading...
31
🤩파운드리 및 HBM 수혜주 투자 포인트
2036Loading...
32
전선4사 중 OPM·NPM 1위는 '일진전기' 매출원가율이 90% 초반 수준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가운데 판매관리비를 통제하는 노력이 일진전기 수익성 증진에 주효했다. 한때 일진전기의 판관비율은 8%를 넘기며 4사 가운데 가장 높았다. 하지만 비용 증가를 억제한 결과 3%대까지 낮아지는 결실을 얻으며 이익 증대를 촉진했다. 지난해 일진전기의 영업이익률 역시 전선 4사를 통틀어 단연 높았다. 4.6%를 시현했는데 매출 1조2297억원, 영업이익 570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해 국내 시장점유율 1위 회사 LS전선의 영업이익률은 3.9%였다. 3조7759억원 수익을 확보하고 영업이익 1464억원을 남겼다. 가온전선은 3%(영업이익 383억원), 대한전선은 2.4%(634억원)에 그쳤다. 일진전기의 사업부문은 '전선'과 '중전기' 두 축으로 나뉜다. 전선부문이 핵심사업으로 연간 매출의 80% 이상을 책임진다. 동·알루미늄 재질의 전력선, 통신선과 송전선 등을 제조하는데 특화됐다. 중전기 영역에서 나머지 20%가량 수익을 창출하는데 가스절연개폐기(GIS), 변압기 등을 생산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최근 2년새 전기동 가격이 오르면서 전선 사업부 매출이 급격히 성장했다. 중전기 제품의 미주 수출이 탄력을 받은 영향, 원·달러 환율 상승 효과 등이 일진전기 이익률에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수익성 제어는 비용 관리와도 직결된다. 이번 사이클에서 전선 업체들의 수익성이 어디까지 개선될 수 있는지 궁금하네요.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405201717551920103137&lcode=00&page=3&svccode=00
901Loading...
33
(아래) 삼성전자 파운드리 : 완전 럭키비키 당사 반도체 담당 박상욱 위원 spot comment 입니다. 전일 장중 삼성전자가 급반등하면서 여러 썰(?)들이 많이 회자되었는데 파운드리 관련하여 좋은 진전이 있을 수 있다는 의견입니다. ========== -5/24 ITF(Imec Technology Conference) 2024에서 AMD와 삼성전자 파운드리 협업이 암시 - AMD는 전력 효율성과 성능 개선을 위해 3nm부터 GAAFET(Gate All Around Field Effect Transiter) 트렌지 스터 구조를 채택하겠다고 언급 - 현재 삼성전자가 유일하게 3nm에서 GAAFET 구조를 사용. TSMC는 2nm부터 적용할 전망 - 이에 AMD가 3nm 제품을 삼성전자 파운드리에게 위탁할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보임 - AMD CEO 리사수는 컨퍼런스에서 향후 기술은 ‘Less energy, more performance’에 초점을 두고 발전할 것이라고 언급 - 전력 인프라가 제한적인 상황이라 “전력 효율 개선”을 위한 트렌지스터 구조 변화가 중요하다는 판단을 할 수밖에 없는데 - 5nm 대비 3nm GAAFET(2세대)의 성능은 30% 높고, 전력 소모량과 면적은 각각 50%, 35% 낮아 매력적 - 물론 삼성전자 파운드리와 TSMC의 기술적 격차는 존재하나 삼성전자의 가동률과 기술 경쟁력도 빠르게 올라오기 시작. 최근 4nm 공정에서 제조된 엑시노스 2400 성능도 개선 - TSMC의 가동률이 거의 100%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는 고객사들의 일부 물량 이원화는 불가피 - 또한 TSMC는 애플 물량을 우선시하고 있어 AMD, NVIDIA, Qualcomm는 파운드리 이원화 가 절실. 중장기적 관점에서 긍정적 접근 필요 https://www.shinyoung.com/files/20240528/129d9632910c4.pdf
461Loading...
34
🤩 이미 다가온 전구체 쇼티지 [작성] 👔도PB의 생존투자 1. 양극재는 전기차, ESS 등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성능을 좌우하는 가장 핵심적인 소재이며, 이는 리튬 이온 배터리 원가 기준으로 40% 이상 비중을 차지함. 2. 배터리-양극재의 성능을 결정하는 전구체는 니켈(에너지 밀도), 코발트/망간(안정성), 알루미늄(출력) 등을 섞은 화합물로 양극재의 중간소재 혹은 선행물질이며 양극재 원가의 60~80%를 차지하기에, 전체 배터리의 약 30%~40%가 전구체인 셈. 3. 글로벌 전구체 시장은 여전히 중국이 장악하고 있으며,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인 IRA로 핵심 광물(배터리 소재)의 탈중국 밸류체인 구축, FTA 체결 국가 내 생산이 필요한 가운데 전구체의 국내 생산 및 내재화의 중요성은 지속해서 커지고 있음. - 24케미컬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전구체 Capa는 중국 85%, 한국 9%, 인도 6% 수준 4. 뿐만 아니라, 양극재 기술 고도화를 위해서는 양극재 내 니켈 비중 증대와 안정성이 높은 단결정 양극재 양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구체 기술 개발도 선행되어야 함. - 다결성 양극재의 균열/크랙 현상의 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해 단결정으로 시선이 옮겨가고 있음. 5. 크레딧솔루션에 따르면, 전구체 수요량은 2023년 141만t에서 2027년 526만t으로 CAGR +30% 성장 예상되며, 비즈니스 인사이트 리서치에 따르면, 전구체 시장 규모는 2021년 51억 8960만 달러에서 2031년 483억 3984만 달러로 성장할 예정임. 6. 중요한 점은 25년 1월부터 미국 내에 판매되는 전기차에는 소재의 탈 중국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임. 7. 나아가 25년 1월 탑재를 위해서는 연내에 퀄-수율 테스트를 거쳐야 하는 상황인데, 국내 자급률 상승 속도가 매우 더딘 상황으로 파악. 8. 국내 플레이어들을 비교해보면, 포스코퓨처엠은 현재 구미, 광양, 중국에 전구체 연산 1.5만t 생산능력, 2030년 기준 연산 44만t 전구체 생산능력을 갖추고 내재화율 73%까지 높일 계획임. 9. 에코앤드림은 지난해 6월 새만금 지역에 약 4.5만 평 부지를 확보했으며, 1분기 기준 5천t이던 전구체 Capa를 2025년 1분기 3.5만t 까지 확대, 최종적으로 2030년까지 연간 10만t 까지 확대하는 것이 목표. 10. 국내 양극재 기업은 오는 2025년부터 생산 능력 대비 전구체 생산능력이 100만t 가량 부족한 상황이나, 포스코퓨처엠, LG화학, 미래나노텍 등이 중국과 합작을 통해 전구체 공장을 발표, 다만 지분율 변경에 따른 이슈 등으로 공장 증설이 부진한 상황임. 11. 이에 반해 중국과의 연계성이 전혀 없는 에코앤드림과 LSBB(엘앤에프-LS 합작) 공장만이 국내 순수 기술로 새만금에 증설을 나서고 있음. 12. 배터리의 전방 산업인 전기차 시장의 성장 속도가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IRA 법안의 기준에 충족되기 위해서는 전구체의 탈중국이 시급한 상황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뷰를 제시하는 기업에 관심을 가져야 함. [작성] 👔도PB의 생존투자
1051Loading...
35
#한중엔시에스 #교보증권
1562Loading...
36
“삼성전자 HBM 테스트 실패? 젠슨황이 제일 난감할 걸”…더 사라는 이유는? [투자360] 전문가들은 엔비디아가 폭증한 물량을 대응하기 위해 결과적으로 삼성전자를 찾을 수밖에 없을 것이란 진단을 내놓았다. 또 테스트로 결점이 발견됐다고 하더라도 절차상 협의를 거쳐 충분히 보완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최근 주가 조정 국면을 오히려 '매수 기회'로 삼으라는 조언들이 나온다. "삼성 HBM이 실패하면 투자자만큼 상실감을 느낄 이는 젠슨황"이라며 "내년부터 36GB 모듈 수요가 늘어나면 (엔비디아는 추가) HBM3E 12단 공급자가 절실한 상황이다. 아직 기한이 남은 시점에 퀄을 이런 식으로 조기졸업 시키는 경우는 상식적이지 않다. 한편, 삼성전자는 올 1분기 실적 발표회에서 올해 HBM 공급 규모를 지난해 대비 3배 이상 늘리고 있다고 밝혔다. 내년에도 올해 대비 최소 2배 이상 규모로 공급을 늘릴 방침이다. 삼성전자는 올 2분기 내 HBM3E 12단을 양산 예정이다. 앞서 지난달에는 HBM3E 8단도 양산에 들어갔다. 지난 5월 2일 SK하이닉스는 "SK하이닉스 비전과 전략"이라는 주제로 간담회를 했는데요. 당시 SK하이닉스 곽노정 사장은 HBM3E 12단 샘플을 5월에 제공하고, 3분기 양산이 가능하도록 준비중이라 밝힌 바 있습니다. 또한 현재까지는 엔비디아를 비롯한 주요 고객사가 원하는 제품이 HBM3E 8단이며, 12단 제품은 고객 요청 일정에 맞춰 올 3분기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hotissue/article/016/0002313332?type=series&cid=2000323
1420Loading...
37
SK하이닉스, 1분기 계약 부채 73% 증가, 엔비디아의 대규모 선지급에 힘입은 것으로 보인다. - SK하이닉스의 계약 부채가 2024년 1분기에 전 분기 대비 73%(1조 1,600억 원, 8억 5,500만 달러) 이상 크게 증가하면서 엔비디아가 SK하이닉스의 HBM 생산 능력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대규모 선급금을 지급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되고 있다. https://www.digitimes.com/news/a20240524PD201/sk-hynix-1q24-capacity-expansion-nvidia-hbm.html
1331Loading...
38
[ HBM Inspection ] 1. 기존 밸류체인은 SK하이닉스 HBM -> TSMC CoWoS 반면에 베이스다이에서 일부 연산기능까지 담당하면서 TSMC 베이스다이 -> SK하이닉스 HBM 반제품과 접합 -> TSMC CoWoS로 공정 변화 즉 베이스다이와 HBM 결합이 완료되어야 테스트가 가능해짐. 2. 또한 적층 단수가 올라갈수록 완제품 수율은 낮아지게됨 (수율 95%^8 vs 95%^12 vs 95%^16) HBM의 세계적인 권위자인 카이스트 김정호 교수님은 'HBM 100단' '연간 적층수 2배 상승'을 주장하심. 따라서 3층에서 불량난 제품을 16단, 궁극적으로 100단까지 적층한다는 것은 비효율적. 3. 따라서 공정중&공정후 검사 장비의 중요성은 증가 할 것으로 보임.
1183Loading...
*소재부품 커버리지 시작합니다! 신한 IT팀 이경아 주목해주십시오!! ;) [신한투자증권 반도체 소부장 이경아] * 반도체 소재/부품: 기다려왔던 마시멜로 ▶️ 2024년 소재/부품 Level UP 구간 - 23년 HBM 수혜 → DRAM, 후공정, 장비업체 주가 차별화 - 24년 하반기 NAND 가동률 80% → NAND/비메모리, 전공정, 소재/부품업체 실적 정상화 - 가동률 정상화 이후 추가 성장 가능한 소재/부품 6개 기업 커버리지 개시 ▶️ NAND 고단화 (400단), 고용량 (1PB) 시대 도래 - 삼성전자 더블스택 본격화 → 고단화 핵심 공정소재 업체 수혜 - AI용 데이터센터 수요 확대 → 고용량화에 유리한 고집적 강유전체 업체 기회 - (Issue Check) TEL 신규 극저온 식각장비 도입 → 특수가스 업체 선별적 기회 예상 ▶️ 비메모리 초미세화 (2나노), EUV 시대 도래 - 인텔 파운드리 재진입 → 선단공정 GAA, BSPDN 시장 확대 전망 - EUV 생태계 확대 → EUV 부품 기업 수혜 증가 예상 - (Issue Check) 중국 DUV 레거시 굴기 → 부품 업체 매출 외연 확대 전망 ▶️ Top Picks: 에스앤에스텍, 원익머트리얼즈 - 에스앤에스텍: TP 65,000원 커버리지 개시 - 원익머트리얼즈: TP 55,000원 커버리지 개시 - 솔브레인: TP 400,000원 커버리지 개시 - 티씨케이: TP 150,000원 커버리지 개시 - 티이엠씨: TP 27,000원 커버리지 개시 - 비씨엔씨: TP 23,000원 커버리지 개시 ▶️ URL: http://bbs2.shinhaninvest.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26345 위 내용은 2024년 6월 11일 07시 44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 신한IT팀 공부방 텔레 채널: https://bit.ly/2vtMOwG
إظهار الكل...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애플 온디바이스 AI 관련 궈밍치 코멘트 정리 How Apple defines on-device AI and future trends —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zing supported models of Apple Intelligence A16 칩이 탑재된 iPhone 15는 Apple Intelligence를 지원할 수 없지만 M1이 탑재된 모델은 지원 가능. 따라서 현재 Apple Intelligence 온 디바이스 모델 지원의 핵심은 연산 능력(TOPS)이 아니라 DRAM 사양이라 결론 M1의 AI 연산 능력은 약 11 TOPS로 A16의 17 TOPS보다 낮은 상황. A16은 6GB의 DRAM을 탑재하여 M1의 8GB보다 낮음. 따라서 현재 Apple Intelligence 온디바이스 AI LLM에는 약 2GB 이하의 DRAM이 필요 DRAM 수요는 다른 방법으로도 확인 가능. Apple Intelligence는 온디바이스 3B LLM을 사용(M1의 NPU/ANE가 FP16을 잘 지원하므로 FP16이어야 함). 압축 후(2비트와 4비트 혼합 구성 사용), Apple Intelligence 온디바이스 LLM을 실행하려면 언제든지 약 0.7~1.5GB의 DRAM을 남겨놔야 한다 설명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1. 기존 온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을 AI로 향상시키려면 최소 온디바이스 3B LLM을 구축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압축 방식에 따라 DRAM 사양이 결정 2. Microsoft는 AI PC의 핵심 사양을 40 TOPS의 컴퓨팅 성능으로 보고 있지만 클라우드 AI(프라이빗 클라우드 컴퓨팅)와 통합된 Apple의 경우 11 TOPS의 온디바이스 컴퓨팅 성능만으로도 온디바이스 AI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음 3. 소비자는 Microsoft의 AI PC를 구매할 때 혼란스러울 수 있지만(구매 전에 40 TOPS에 도달하는지 계산해야 함), Apple은 어떤 모델이 Apple Intelligence를 지원할 수 있는지 소비자에게 직접 알려주는 상황. 온디바이스 AI 애플리케이션이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Apple은 처음부터 확실한 판매 우위를 점하고 있다 설명 4. 앞으로 Apple Intelligence의 온디바이스 AI는 확실히 업그레이드될 것이며(7B LLM으로 업그레이드될 가능성이 높다 밝힘), 이를 위해서는 더 큰 DRAM이 필요할 것. 애플이 고급형과 저가형 모델을 차별화하기 위해 이 전략을 사용할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 5. 사용자 경험이 애플의 주장만큼 좋은지는 아직 지켜볼 필요가 있다 밝힘(예를 들어, 구글의 제미니는 프로모션에서 과장된 주장을 한 적이 있음) 6. 삼성 S24의 AI 기능은 제한적이며, 마이크로소프트의 AI PC는 여전히 소비자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음. 애플은 온디바이스 AI를 성공적으로 정의했으며(적어도 소비자들은 이미 애플 AI 기기의 풍부한 AI 기능과 판매 포인트를 알고 있음), 이는 경쟁사의 모방과 추격을 가속화하여 온디바이스 AI 관련 산업의 빠른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 전망 코멘트 링크: https://han.gl/rAglB 감사합니다
إظهار الكل...
How Apple defines on-device AI and future trends —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zing supported models of Apple Intelligence / Apple如何定義裝置端AI與未來趨勢變化 — 從分析Apple Intelligence支援機種之觀點

The iPhone 15 with the A16 chip cannot support Apple Intelligence, but M1-equipped models can.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key…

#전기 #전자 #애플 #대신증권
إظهار الكل...
전기전자_애플,_AI_플랫폼_전환,_부품업체_하반기_수혜.pdf2.85 KB
(위) 애플 실망스러웠나…AI 서비스 발표에 주가 2%↓ 애플 주가가 AI 서비스 발표에도 불구하고 흘러내리고 있습니다. 연말에는 Chat GPT를 아예 애플 OS와 통합하는 방향으로 서비스를 할 계획이라는데 왜 그럴까요? WSJ에 의하면 "프라이버시"가 쟁점이라고 합니다. (기사 링크: https://www.wsj.com/tech/ai/apple-wwdc-2024-ai-release-356c5303?mod=hp_lead_pos1) 어쨌거나 AI 모델 학습을 위해서는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해야 하는데, 애플은 고객 데이터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Private Cloud"를 따로 만들거고, 저장도 안되고 애플이 접근 불가능한 서버로 한다는데 과연 믿을 수 있는건지? 그게 정말 가능은 한건지? 의구심이 있다는거죠. 일론 머스크도 X에서 애플을 엄청 까고 있습니다. "우리는 회사 내 애플 기기 사용을 전면 금지하겠다. 애플 OS랑 Chat GPT 통합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는 보안 위반(an acceptable security violation)"이라며 강력 비판 중입니다. ========= 애플이 자체 연례 콘퍼런스에서 AI 관련 기술을 새롭게 선보였지만, 투자자들을 만족시키는 데는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발표 직후 뉴욕 증시에선 실망 매물이 쏟아졌고 애플의 주가는 2% 가까이 밀렸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12678
إظهار الكل...
애플 실망스러웠나…AI 서비스 발표에 주가 2%↓ - 연합인포맥스

미국 애플(NAS:APPL)이 자체 연례 콘퍼런스에서 인공지능(AI) 관련 기술을 새롭게 선보였지만, 투자자들을 만족시키는 데는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발표 직후 뉴욕 증시에선 실망 매물이 쏟아졌고 애플의 주가는 ...

إظهار الكل...
10개의 '충격적인' 차트로 보는 엔비디아의 AI 혁명과 성장 - 더밀크

[투자노트PM] 비즈니스 & 투자 인사이트 10개의 차트로 보는 엔비디아 3조 달러 달성 세계에서 가장 가치있는 기업도 멀지 않았다 200베거 엔비디아, AI 버블은 이제 시작이다.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북미 고객사향 매출 증가: 23 년 7 월부터 본격적으로 공급이 시작됐다. ‘신규 북미 AI 가속기 고객사’향 매출은 23 년 약 232 억원 → 24 년 1,125 억원으로 전망한다.
إظهار الكل...
Computex 2024 참관기: The Jensen Syndrome [삼성증권 IT 이종욱/글로벌 반도체 문준호] 대만 PC 박람회, Computex를 다녀 왔습니다. 역대 이렇게 많은 사람이 왔던 적이 없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요, IT 역사의 한 장면을 본 듯한 느낌이었습니다. 1) 젠슨은 CEO를 넘어 AI 전도자가 되어 있었습니다. 부스의 분위기는 젠슨의 사인이 담긴 블랙웰 서버랙에서 사진을 찍고, 부쓰 직원은 종종 젠슨이 강연에서 했던 발언을 인용했습니다. 2) 엔비디아, 인텔, AMD, 퀄컴의 CEO가 한자리에 모여 AI와 대만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AI가 회사와 나라를 바꿀수 있다는 기대감이 전시장 분위기에 녹아 있었습니다. 3) 우리는 반도체 중심의 성장, 그리고 1등 업체 위주의 성장이 더욱 공고해진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엔비디아, 그리고 엔비디아 수혜주에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퀄컴은 AI 브랜드를 선점하는데 성공했습니다. 4) 반도체 사이클은 연말까지 더 연장될수 있습니다. 이미 투자자의 초점은 AI PC 판매량과 블랙웰 흥행에 맞춰져 있는데, 연말까지는 그 결과를 알수 없기 때문입니다. 5) 반면 인텔과 AMD의 존재감은 더욱 줄어들고 있습니다. 또한 AI PC와 수냉식 서버랙을 만든다고 할지라도, 세트나 OEM 업체들이 차별화를 보여주긴 힘들어 보입니다. 자세한 이야기는 자료를 참고해 주세요. 자료: https://bit.ly/4cciTIB 감사합니다. (2024/06/10 공표자료)
إظهار الكل...
모건스탠리, 24년 하이닉스 예상매출을 67조 2010억원에서 77조7070억원으로 15.6% 상향조정하며 25년 예상매출을 72조 2000억원에서 116조7400억원으로 61.7% 상향조정합니다. 영업이익 예상치를 24조7500억원에서 30조2880억원으로 22.4%상향조정, 25년 영업이익 25조 1040억원에서 46조 1820억원으로 84% 상향조정합니다. DRAM의 ASP(Average Selling Price, 평균판매가격)도 24년 56.7%에서 63.5%로, 25년 -9.0%에서 5.9%로 상향조정합니다. 낸드는 25년 영업이익 추정치를 6조4570억원에서 17조9460억원으로 177.9% 상향조정합니다. 이에 따라 목표치를 27만원에서 30만원으로 상향조정합니다. 반면 삼성전자의 매출추정치는 24년 329.833조원으로 3%상향, 25년은 380조원으로 9.3%상향조정합니다. 영업이익 추정치를 24년 46.5조원에서 55.7조원으로 19.8%상향조정하고. 25년은 59.95조원에서 81.27조원으로 35.6%상향조정합니다. 삼성전자의 목표가는 10만 1천원에서 10만 5천원으로 상향조정합니다.
إظهار الكل...
관련 업계에 따르면 BHE 리뉴어블(BHE Renewables)은 옥시덴탈 페트롤리움과 지열 염수에서 배터리용 리튬을 추출하기 위한 합작 법인 설립 계약을 체결했다. BHE 리뉴어블은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의 에너지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새로 설립되는 합작 법인은 급증하는 전기자동차(EV) 배터리 시장에 공급할 수 있는 상업용 리튬 생산 공장을 건설·소유·운영할 계획이다.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72031
إظهار الكل...
[더구루] [단독] 워런 버핏, 美 최대 석유·가스 기업과 리튬 합작사 설립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워런 버핏이 미국 최대 석유·가스 기업 옥시덴탈 페트롤리움(Occidental Petroleum)과 리튬 개발 합작사 설립을 추진한다. 배터리 핵심 광물 개발에 대한 양측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로 해석된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BHE 리뉴어블(BHE Renewables)은 옥시덴탈 페트롤리움과 지열 염수에서 배터리용 리튬을

1
(아래) 블룸버그 "SK, 적대적 인수합병이나 헤지펀드 위협 현실화"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슐리 렌 블룸버그 오피니언 칼럼니스트는 ‘10억달러 규모의 한국 이혼, 수치심에 실패했을 때 작동하는 방법' 제목의 칼럼에서 한국 최대 대기업 중 하나가 적대적 인수합병의 표적이 될 수 있다며 “최 회장과 여동생 최기원 SK행복나눔재단 이사장을 포함한 친족은 그룹 지주회사(SK㈜) 지분의 25% 정도만 보유하고 있다", "최 회장이 이혼 소송을 해결하기 위해 지분을 일부 양도하거나 매각해야 한다면 최 회장 일가의 지분율은 국내 지배력 기준인 20%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렌 칼럼니스트는 "SK 이혼 사건이 흥미로운 것은 재벌가 내부에서 변화하고 있고, 가부장이 예전만큼 지배적이지 않다는 것을 확실하게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선진국의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재벌도 경영권 승계 및 변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인수 제안이 들어오면 소액 주주에게 호소하고 달래야 한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731203?lfrom=cafe
إظهار الكل...
블룸버그 "SK, 적대적 인수합병이나 헤지펀드 위협 현실화"

"최 회장의 SK 지배력 약해질 수 있어…SK 가치는 여전히 낮아"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이혼 항소심 판결로 SK그룹에 대한 적대적 인수합병이나 헤지펀드 위협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5일 블룸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