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kie

Ми використовуємо файли cookie для покращення вашого досвіду перегляду. Натиснувши «Прийняти все», ви погоджуєтеся на використання файлів cookie.

avatar

마산창투

성장하는 산업의 핵심 기업에 투자 부는 올바른 습관이 반복된 결과 매수, 매도 추천아님 유통 채널을 지양 개인적인 욕심으로 운영하는 채널 채널에서 언급하는 섹터, 종목들은 포트폴리오에 보유하거나 보유할 수도 있음

Більше
Рекламні дописи
1 602
Підписники
+324 години
+337 днів
+25030 днів
Час активного постингу

Триває завантаження даних...

Find out who reads your channel

This graph will show you who besides your subscribers reads your channel and learn about other sources of traffic.
Views Sources
Аналітика публікацій
ДописиПерегляди
Поширення
Динаміка переглядів
01
#India 인도는 5월에 러시아 석유를 기록적인 양으로 수입함 인도의 러시아 석유 수입량은 5월 하루 210만 배럴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음 이는, 중국의 러시아 석유 수요 감소때문이라고 로이터가 전함 이로인해 세계 3위 수입국이자 소비국인 러시아의 점유율은 지난달 거의 41%까지 증가하였으며, 동시에 사우디 아람코는 유가 인상 및 감산으로 인해 공급량이 10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짐 https://www.msn.com/en-ca/money/topstories/india-purchased-record-amount-of-russian-oil-in-may/ar-BB1oKa0f?cvid=98de7bcc1989457a8c7025cc397b3221&ei=22
662Loading...
02
#Apple #Meta 메타는 메타의 생성형 AI 모델을 애플과 합치는데 논의를 했다고 WSJ에서 밝힘 이런 논의는 구글과 애플의 오래된 검색 도구 파트너쉽을 유지한 것처럼 애플의 기기에 메타의 AI 기능을 추가하는 형태임 애플은 오픈AI가 금지된 다른 지역에서 추가적인 AI 기업들과 협업하는 것을 의논하고 있다고 밝힘 ============================================= Apple and Meta have discussed AI partnership, WSJ reports https://www.reuters.com/technology/apple-meta-have-discussed-an-ai-partnership-wsj-reports-2024-06-23/
760Loading...
03
#삼성전기 #FCBGA 삼성전기, 베트남 FC-BGA 공장 가동 개시…AI 반도체용 기판 양산 삼성전기가 베트남 FC-BGA 공장 가동을 시작함 ■ 삼성전기의 베트남 FC-BGA 공장 개요 삼성전기는 2년 6개월 동안 약 1조원을 투자하여 베트남 법인에 인공지능용 반도체 기판을 생산할 공장을 설립 2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기는 최근 베트남 FC-BGA 공장에서 제품 생산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 시생산을 마치고 초기 목표 수율 확보, 본격 양산을 개시 FC-BGA는 칩과 메인보드를 연결하는 반도체용 고밀도 패키지 기판으로, HPC용 반도체에 적용되는 부품임 삼성전기는 우선 AI PC용 반도체 기판을 만들어 글로벌 빅테크 기업에 공급할 예정 베트남 공장에서 ARM 기반 차세대 AI PC용 반도체 기판을 제조하는 데 이어, AI서버와 네트워크용 기판도 생산할 것으로 보임 현재 FC-BGA 시장은 일본 이비덴과 신코텐키, 대만 유니마이크론 등 의존도가 높은데, 삼성전기가 베트남 공장 생산량 확대와 적용 제품 다각화에 성공하면 시장에서 주도권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됨 앞서 삼성전기는 '21년 12월 베트남 법인에 1조원 이상을 투자해 FC-BGA 생산 라인을 구축하겠다고 발표함 저부가가치 제품인 RF-PCB 사업에서 철수하고, 베트남 공장에 FC-BGA 전환 투자를 결정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0/0003216772
652Loading...
04
#SCFI 예멘 후티 반군이 발사한 드론이 홍해 선박에 충돌한것으로 추정 =================================== Aerial drone likely launched by Yemen’s Houthi rebels hits ship in the Red Sea https://apnews.com/article/yemen-houthi-rebels-red-sea-attack-israel-hamas-war-74992b2f95c18fadcc2e8138d5117374
911Loading...
05
NH 7월 월간 공유 KOSPI 3,000P로 가는 길 ‘Everything rally’의 조건이 재차 성립되고 있습니다. 미국 주식시장은 비싸다는 점이 유일한 걱정거리지만, 연방정부와 민간의 투자가 동시에 진행되고, 혁신 기업의 독점적 지위가 유지되는 상황에서는 프리미엄이 정당화될 수 있습니다. 정치/외교적 노이즈로 인해 단기 조정이 나타난다고 해도, 기업이익은 여전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상승 추세에 걸림돌이 되기 어렵습니다. 현재는 정책 사이클입니다. 정책이 변화하기 전까지는 기존 주도주의 상승이 지속될 것입니다. (完讀 要)
2772Loading...
06
#MRDIMM ■ MRDIMM(Multi-Ranked Buffered Dual In-Line Memory Module)이란? 여러 개 D램을 기판에 탑재한 모듈을 DIMM이라고 하고, MRDIMM은 기존 D램 모듈 대비 데이터 전송 속도를 끌어올려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 데이터센터에 쓰일 수 있도록 한 DIMM의 한 종류임 MRDIMM은 D램 모듈에서 CPU로 보내는 기존 데이터 전송 단위 묶음인 '랭크' 두 개를 동시에 작동시켜 메모리 대역폭(데이터가 오가는 토올의 폭)을 두 배 늘렸음 한 개 랭크만 작동했던 기존 방식과 비교해 한 번에 더 많은 데이터양을 처리할 수 있게 된 것임 이 같은 작업이 가능하게 하려면 모듈 위에 탑재돼 D램과 CPU 신호 전달을 지원하는 부품인 특수 버퍼가 있어야함 ■ 국내 기업 개발 현황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23년 하반기 주요 칩셋 업체와 제품 성능을 검증했고, 최근 들어선 성능, 용량뿐 아니라 전력 효율을 개선한 MRDIMM을 고객에 보내 테스트하는 샘플링 작업 중임 연초엔 향후 32Gb DDR5 D램을 활용한 MRDIMM을 선보이겠다는 예고를 함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는 '22년 미국 인텔, 일본 르네상스와 협업해 MRDIMM 샘플 개발에 성공함 '23년 11월엔 미국에서 열린 '슈퍼컴퓨팅2023'에서 최대 초당 8800Mb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구현한 MRDIMM을 전시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435554
2896Loading...
07
#실리콘인터포저 ■ 실리콘 인터포저란? 인터포저란 반도체 패키징 기술의 한 부분으로 다양한 반도체 다이를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함 AI반도체와 같이 고성능 반도체에서 로직 다이와 HBM 등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핵심 요소임 ■ 실리콘 인터포저의 장점 일반적으로 반도체 칩은 PCB 위에 실장이 됐었는데, 아무리 잘 만들어도 10마이크로 수준의 배선이 한계임 실리콘 인터포저는 실리콘 위에 배선을 만들어 나노미터 단위로 만들 수 있어 그 위에 칩들과 아주 빠르게 소통할 수 있음 다시 말해서, 다이와 기판 사이에 위치하여 다이 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이 패키징과 칩 간 통신에 중요한 역할을 함 ■ 실리콘 인터포저의 단점 실리콘 인터포저는 매우 비쌈 PCB 기판과 비교하면 20배 가격 차이도 나지만, NVIDIA의 H100, H200 제품들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부품이라 수요가 많은 상황 '23년에 나온 3.3x 렉티클 슈퍼 패리어 인터포저의 경우, 12인치 웨이퍼에서 16개 정도 나오는 상황임 실리콘 인터포저를 대면적화하기 위해 하나의 렉티클을 쓰는 것이 아니라 다른 렉티클을 같이 사용해서 렉티클 사이즈의 한계를 극복하는 렉티클 스티칭이라는 기술을 씀 그렇게 해서 렉티클 사이즈의 2배, 3배 크기를 만들 수 있는 것임. 이론적으로는 16개가 나와야 하지만 수율 등을 감안하면 10개 정도 나온다고 봐야함 * 스티칭(Reticle Stitching):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단일 (Reticle)로는 커버할 수 없는 대형 집적 회로(IC)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기술. 이 기술을 통해 여러 개의 이미지를 하나로 결합하여 더 큰 다이를 만들 수 있음 '26년에는 5.5x 렉티클 슈퍼 캐리어 인터포저가 나올 예정이며, 12인치 웨이퍼 한 장에서 3~4개 밖에 안나오는 상황임 ■ 실리콘 인터포저의 동향 NVIDIA GPU가 공급병목의 원인들 중에 인터포저의 병목도 포함됨 코어스 패키지를 만드는 것이 TSMC인데 인터포저 생산량을 맞추지 못하는 상황이라 다른 파운드리 업체와 협업을 제안한 상황임 사실 웨이퍼를 GPU도 만드는 데도 써야하고 로직 만드는 데도 써야 인터포저의 크기가 3.3x, 5.5x, '27년에는 8x까지 커진다는 전망임 이를 극복하기 위해 유리기판에 대한 검토토 이뤄지고 있는 것 같음 ■ 삼성전자의 기회 유리기판이 양산화되기 전까지 인터포저의 사용량이 점점 많아지면 NVIDIA 입장에서는 삼성전자 제품에 대한 관심이 갈 수 밖에 없음 인터포저는 레거시 공정을 할 수 있는 파운드리 회사는 다 할 수 있음. TSMC, 삼성, UMC 정도가 실리콘 인터포저를 직접 설계하고 만들 수 있는 회사이고 삼성전자가 생산 capa도 상당히 크고 준비도 많이 해놓은 상태임 ■ 실리콘 인터포저 - 글로벌 기업의 대응 실리콘 인더포저가 웨이퍼 CAPA를 많이 잡아먹게 되면서 각 기업들은 실리콘 인터포저를 최소화하는 방향의 기술 개발로 대응하고 있음 TSMC TSMC는 CoWoS-L이라는 기술에 주목하고 있음. CoWoS-L에서 L은 로컬을 뜻하는 것으로 로컬 실리콘 브릿지를 중간중간에 심어서 칩들을 연결하는 방식인데 이렇게 하면 실리콘 인터포저를 계속 크게 만들 필요가 없어짐 Intel EMIB 기술을 개발하여, PCB 속에 실리콘 인터포저 조각을 심음 삼성전자 I-Cube-L이라고 로컬 실리콘 인터포저를 필요한 부분에만 올리는 제품을 보유하고 있음. 인터포저를 더 크게 못하는 상황이 올 것이 자명하기 때문에 이런 기술을 전략적으로 갖고 있어야 함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8606
23314Loading...
08
https://www.youtube.com/watch?v=Xd0Up4EWfjc
2540Loading...
09
.. 삼전은 반도체 강세장에서 제자리 걸음 중
1792Loading...
10
의지를 믿지 말고 환경을 먼저 바꿔라. https://m.blog.naver.com/cy2863/223255262303
2582Loading...
11
Micron FY3Q24 실적 컨콜은 한국시간 기준 6월 27일(목) 오전 5시 30분 예정입니다.
26110Loading...
12
#Amazon 아마존 경영진은 AI서비스 Alexa에대해 $5~$10의 유료 요금 정책을 고려 중임 Alexa는 주로 Amazon TV 또는 AI 스피커 장치에 내재되어 있는데, 주로 타이머 설정, 날씨, 노래 재생, 간단한 Q&A에 대응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 Amazon은 Alexa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보다 좋은 제품을 추천해주고자 했으나 도입이 지연되고 있으며, 집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기술 개발 중임 해당 요금은 Amazon Prime Membership과 별도의 요금 체계로 고려되고 있으며, 유료 버전은 간단한 이메일 작성, 이메일 보내기, Uber Eats에서 배달 주문과 같은 복잡한 작업을 모두 단일 명령어로 할 수 있음 또한 Alexa에게 명령어를 말할때 "Alexa"와 같은 말을 반복적으로 말할 필요가 없어져 편의성이 높아짐 자동으로 TV 전원을 키거나 아침 알람이 울린 후 사용자의 커피 포트를 키는 등 루틴이라고 불리는 명령어를 통해 스마트홈에 좀 더 다가선 생활을 영위할 수 있을 것임 https://www.reuters.com/technology/amazon-mulls-5-10-monthly-price-tag-unprofitable-alexa-service-ai-revamp-2024-06-21/
6167Loading...
13
#Apple Apple은 EU 디지털시장법(DMA)으로 인한 규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AI 및 미러링, SharePlay 기능을 유럽 시장에 출시하시 않기로 함 ■ EU 디지털시장법(DMA)란? 디지털시장법은 기업간 공정한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제정된 법안으로 빅테크 기업을 법적으로 규제하여 기업들이 투명하게 경영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독점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임 DMA는 '24년 3월부터 시행되었으며,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막대한 벌금이 부과됨 https://www.reuters.com/technology/artificial-intelligence/apple-delay-launch-ai-powered-features-europe-blames-eu-tech-rules-2024-06-21/
3473Loading...
14
#US 미국은 군사적 목적의 중국 기술에 투자하는 달러에 대한 규제를 강화 =========================================== US proposes rules to stop Americans from investing in Chinese technology with military uses https://apnews.com/article/china-technology-biden-outbound-invest-treasury-5710f7446b6de614d6ac8ea569904a9c
3704Loading...
15
Media files
3530Loading...
16
코스닥은 회복할 수 있는데 쩔어있는 것보다 잘버티는 코스닥 종목이 갈 가능성이 더 높음 https://www.sedaily.com/NewsView/2DAJULDHTT?OutLink=telegram
4633Loading...
17
#에이피알 1-10잠정치 7,xxx,xxx 1-20잠정치 13,912,502 엄청 좋네요, 올해 중 최고치
1955Loading...
18
하이브리드 투자(추세추종) 강의 후기 by 원더뿌리 https://blog.naver.com/wonderppuri/223486385907
36311Loading...
19
알테오젠 로열티 관련 인상깊은 부분 엄민용 : 저는 로열티를 4%~5%는 충분히 받을수 있다라고 보고있는게 일단 가장 명확한 근거는 해외리포트인데 UBS에서 머크를 커버하는 보고서가 있었거든요. 거기서 키트루다 피하주사와 관련된 언급을 했는데 거기에 5% 내외라고 명확히 써져 있어요. 이효석 : 아 머크에서 얘기하고 있는거구나. 엄민용 : 그렇죠 그죠. 그래서 이미 5%라고 해외 보고서에 나와있고.만약에 알테오젠이 다른회사와 계약을 체결해서 키트루다 피하제형을 다른회사와 판매한다면 머크입장에서는 절대적으로 불리합니다. 이걸 1% 2%로 계약할 수가 없어요. 박순재 대표님이 달라고 하는대로 줘야하는 상황인거조. ---- 로열티 비율이 5%라고 시장에서 컨센으로 인정받는 시기가 언제일지 모르지만, 그때 알테오젠 시총은 지금과 다른 레벨일 것임은 분명해 보이네요. https://youtu.be/2h1NRws2C-w?si=d0fsklbgjOils1ZM
2428Loading...
20
금투세도..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582403
3902Loading...
21
* 벌써 철회요..? ========================= ~ 그러나 닛케이아시아는 유럽연합이 7월4일 이전에 중국과 협상을 타결해 관세 부과 계획을 철회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 유럽연합과 중국 모두 외교관계 악화를 감수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대립각을 세우기보다 원만한 합의를 이뤄내는 방향을 우선순위로 고려할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https://m.businesspost.co.kr/BP?command=mobile_view&idxno=356188
2116Loading...
22
#에이피알 수출 중심에 선 리더 홈뷰티 디바이스에 화장품까지 가세하는 성장성 홈뷰티 디바이스의 역사를 쓴다할 만큼 트렌드를 주도하는 기업으로서 중장기 성장 기대감이 높음 기존 디바이스 매출을 대부분 차지하던 에어샷, 부스터 힐러(외주 생산) 등을 부스터 프로(자체 생산)가 매출의 50% 이상을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 또한 울트라 튠 출시로 자체 생산 품목의 매출 비중이 지속 증가하면서 외주 생산 품목은 사라질 것으로 예상. 유사 제품 등장에 따른 경쟁 심화 우려를 불식시킨다는 점에서 긍정적 미국 디바이스 수출은 4월 대비 5월 줄었으나 6월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 중국 이커머스 채널 중심으로 매출 순위 확보되면서 중국향 매출 증대 기대감 높여볼 수 있을 전망 여기에 화장품 매출까지 성장 가세 중. 미국 아마존 순위 Top 100 내 에이프릴스킨과 메디큐브 브랜드 10개 품목 등장. 중저가 인디뷰티 브랜드들의 미국 수출 성장 강세가 부각되는 시기로 하반기 화장품 매출 기대치 추가로 높여볼 수 있을 것
4288Loading...
23
#SK오션플랜트 주가 영향 미칠 펀더멘탈 이슈 없어 경쟁사 대비 시가총액 1/3에 불과 당사 Corporate Day 통해 회사를 둘러싼 부정적인 루머에 대해 입장 발표 1) 증자설: 신규 야드 투자 위한 증자 없고, 차입을 통해 진행 2) 대주주 매각설: 대주주인 SK에코플랜트의 매각의사 없음 3) 넥스틸의 하부구조물용 강관 사업 진출: 넥스틸은 하부구조물 사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강관 공장을 만들겠다는 것으로 당사에게는 원재료 조달이 유리해져 고히려 긍정적 글로벌 오일 메이저용 해상 플랜트 수주 진행 중 대만 신규 수주 물량은 15MW 터빈용으로 기존 하이롱 프로젝트 14MW 대비 하부구조물 제조 난이도 추가 상승. 아시아권에서 15MW급 이상의 하부구조물 완전 조립 제작이 가능한 업체는 현재까지 SK오션플랜트밖에 없음 하부구조물 제조원가 낮추기 위해 중국 부품 업체들과 논의 중. 중국에서 부품 수입해서 최종 조립하는 사업 구조 가능 대만 시장 과점업체인 Century Wind Power 시가총액 2.6조원 대비 1/3에 불과
39610Loading...
24
#DL Kraton, Polymer 부문 판가 재차 인상 추진 올해 2분기, 전 사업부문의 실적 개선 전망 DL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은 1,340억원으로 작년 동기(-71억원) 대비 큰 폭의 흑자전환이 예상됨 1) DL케미칼(별도)는 일회성 이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차별화 제품인 PB/POE가 견조한 수익성이 지속되고 있고 2) DL에너지는 비수기에도 AI 및 냉방 수요 확대로 올해 2분기 높은 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3) Kraton은 주력 시장인 유럽/미국의 부타디엔 가격 급등으로 전 분기에 이어 긍정적인 래깅 효과가 추가될 것으로 예상 또한, 전사 실적이 개선되는 가운데, 일부 차입금의 리파이낸싱과 금리 인하 기조로 이자비용의 점진적 축소가 전망되는 점도 높게 평가할 수 있음 Cariflex, 싱가포르 IR Latex 신공장 완공 Cariflex의 싱가포르 IR Latex 신규 공장이 기계적 완공을 마침. 모듈러 공법 적용으로 당초 계획보다 약 1개월 단축된 것으로 보임. 이에 일본 업체와의 임가공 종료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중국산 수입 장갑에 대한 관세율 인상 및 세계 최대 규모의 싱가포르 플랜트 완공으로 IR Latex 세계 1위 업체 지위를 지속할 전망 동 플랜트는 올해 10월부터 본격 상업 가동에 들어갈 전망이며, 신규 공법 적용과 원재료 조달/물류비 이점으로 추가적인 수익성 개선이 예상 한편 올해 $9.2억 규모의 세계 IR Latex 시장은 의료용 및 중국/인도 등 신흥국 수요 증가로 '34년 $20억로 증가하며, 매년 8% 이상 성장할 전망 Kraton, 실적 회복세 기록 중 미국/유럽 부타디엔 가격 견조세로 인하여 부정적인 래깅 효과가 제거된 가운데, 수요 반등으로 작년 하반기 50~60%까지 하락하였던 폴리머/케미칼 부문 가동률이 80% 이상으로 회복하였고, 수익성이 높은 HSBC 제품의 판가가 상승하고 있기 때문 동사는 4/1일부터 HSBC 제품의 판가를 톤당 $220 인상하였고, 올해 7/1일에도 톤당 $220을 인상할 계획
3204Loading...
25
#삼성전자 Legacy DRAM, 하반기 실적 개선 주도 연초 이후 삼성전자 주가는 북미 고객사의 HBM 품질 승인 이슈로 +6.5% 상승에 그쳐 경쟁사 대비 부진한 주가 흐름을 나타내고 있음. 그러나 현 시점은 3분기 이후 HBM 공급 방향성에 대한 가시성은 확대되고, 하반기 레거시 반도체 실적 개선에 주목할 시점으로 판단 감산 이후 '22년 4분기와 비교할 때 75%까지 축소된 DRAM 생산 능력은 올 연말에 감산 이전 수준까지 생산능력 회복이 예상되지만, HBM 생산능력 증설과 선단공정 전환 등을 고려하면 실질적인 DRAM 생산능력은 4Q22 CAPA 대비 80% 수준에 그칠 전망임 따라서 삼성전자는 non-HBM 레거시 DRAM 수익성 개선이 하반기 실적 개선을 주도할 전망
3258Loading...
26
#삼성전자 레거시는 타이밍 레거시 수요 회복세에 기반한 실적 효과는 2H24부터 본격 확인. 장기호황 사이클에서 물량(CAPA) 효과에 따른 실적 극대화는 '25년 주요 관전 포인트 레거시만을 감안해도 현 주가는 저평가, 2H24를 앞두고 비중확대 의견 의견 2분기 매출액 80.2조원(+12% 이하 QoQ), 영업이익 8.4조원(+27%)으로 컨센서스 OP 8.2조원 대비 소폭 상회 예상. 직전 대비 DS(반도체) 추정치는 상향(4.0조원 » 5.0조원), MX(모바일) 추정치는 하향(2.8조원 » 2.0조원) 조정 DS부문의 경우 DRAM B/G +3%, ASP 14%, NAND B/G 1%, ASP 17% 전망 전반적 수요의 본격 회속제 이전, 수익성 중심의 판매 전략 유지. 재고평가손 환입 효과 역시 전분기와 마찬가지로 유의미하게 작용 MX 부문의 경우 모바일 출하량 및 ASP는 기존 예상에 부합. 다만 메모리 가격 상승에 따른 원가 부담 확대로 수익성은 악화될 수 있음 '24년 매출액 330조원(+28%), 영업이익 37.8조원(+89%) 전망. 2H24로 갈수록 레거시 수요 개선이 숫자로 확인될 예정. 레거시의 경우 이미 2분기부터 일반 서버를 중심으로 회복세가 보이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 반도체 실적 레버리지 효과는 '25년으로 갈수록 본격화될 것. '25년 DS부문 OP 53.8조원(OPM 35%), 전사 OP 71.5조원 예상 향후 HBM과 고용량 eSSD에서의 경쟁력이 더해질 경우 추가적인 이익 극대화 가능 기대
3628Loading...
27
Media files
1 2993Loading...
28
#영국 영국 투자자들은 9월 금리 인하에 베팅 =================================== UK markets jolted back to life by rate cut hopes, election buzz https://www.reuters.com/markets/europe/global-markets-britain-analysis-pix-2024-06-20/
4170Loading...
29
#EV #Northvolt BMW는 Northvolt에게 EV용 배터리셀에 대한 21억 5천만 달러의 주문을 취소했다고 언급 ================================= BMW cancels $2 bln battery cells contract with Northvolt https://www.reuters.com/business/autos-transportation/bmw-cancels-2-bln-contract-with-northvolt-says-handelsblatt-2024-06-20/
5818Loading...
30
#EU #조선 러시아 천연가스에 의존하는 구조에서 거의 다 탈피한듯 ========================== EU sanctions target Russian gas for the first time, diplomats say https://www.reuters.com/world/europe/eu-states-approve-14th-sanctions-package-against-russia-diplomats-say-2024-06-20/
5112Loading...
31
텍사스 주 정부는 6년 안에 전력 수요가 2배 늘어날 것으로 예측 텍사스 주의 주요 전력 운용업체들은 6년 이내에 2배의 전력을 제공해야하는 높은 예측치를 냈습니다 높은 예측치에는 크게 2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데이터센터, 수소 생산시설, 석유 및 가스 회사등 전기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회사들의 전력 요청치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2. 텍사스 주 인구가 계속해서 늘어나며 전력 수요 증가가 예측됩니다. 텍사스의 전력망 수요는 '23년 85GW의 역대 최고 신기록을 세웠으며, '30년까지 약 150GW까지 이를 수 있다고 말합니다. https://apnews.com/us-news/texas-state-government-texas-general-news-d8f648128b1661d0c86865eab788b4e5
5977Loading...
32
#알테오젠 이효석 아카데미 갓민용 핵심요약 1. 지금이 기회다 2.임상 3상 성공은 확정이고 유효성이 얼마나 좋게 나오느냐만 확인하면 된다 3. ADC SC계약은 6-8월 사이에 나올것으로 예상 *이효석님 계속 놀람
2359Loading...
33
마지막 3부입니다! 띄엄띄엄 올리면 기다리다 지치실 것 같아서 바로바로 올렸으니 얼른 팔로우업하세용 ㅎㅎ 삼성바이오, 셀트리온 뒤를 이을 차세대 바이오 대장주는 '여기'⎮신한투자증권 엄민용 연구위원 [알테오젠 3부] https://youtu.be/YAk16_Niwz4 1부 https://youtu.be/O789YgAxkL8?si=h3yWMAJ5zsRfobst 2부 https://youtu.be/2h1NRws2C-w
3223Loading...
34
S&P500, 나스닥 신고가 행진 '준비' - 미국에서는 야간선물이 진행 중이고 한국에서는 데이마켓 거래가 진행 중입니다. S&P500 선물(미니) +0.2%, 나스닥 선물(미니) +0.5% 상승 중입니다. 엔비디아가 +7.7% 상승하며 $140를 돌파한 상태이고 델이 +8.8% 상승하며 $154 기록 중입니다. *오후 1시 10분 기준 - 델 CEO인 마이클 델은 엔비디아 칩을 이용해 xAI의 AI factory를 만들고 있다는 트윗을 남겼습니다. - 그록(Grok)은 xAI의 생성형 AI 챗봇으로 OpenAI의 ChatGPT와 경쟁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2872Loading...
35
※ AI발 에너지 대란과 태양광+ESS+가스발전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AI산업이 급성장하면서 전력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황입니다. AI로 인해 전력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전력공급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고, 원전/SMR과 같은 전력원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원전/SMR이 훌륭한 무탄소 전력원이기는 하지만, 지금 당장 급증하는 전력수요를 충당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지금 당장 필요한 전력을 가장 빠르게 공급하는 방법은 원전/SMR보다는 태양광+ESS+가스발전 결합이 좀 더 현실성 있어 보입니다. ● 원전/SMR의 문제점 원전/SMR의 문제점은 데이터센터는 지금 당장 필요한데 원전/SMR의 공사기간(특히 대형원전)과 상업화(SMR)까지의 기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입니다. 대형원전은 설계부터 원전가동까지 최소 8년이상이 필요합니다. 또한 건설예정기간을 초과하는 경우가 매우 많은데(특히 서구권), 프랑스 아레바사는 핀란드에서 원전건설을 13년이상 지연시켰고, 프라망빌 원전도 10년이상 지연시켰습니다. 미국 웨스팅하우스도 보글3,4호기를 원래 계획보다 6년이상지연시켰고, 서머2,3호기도 6년을 지연한 끝에 건설을 포기하였습니다. 그나마 한국이 UAE에 원전을 지을 때 공기내인 10년만에 성공적으로 건설하였습니다. UAE 원전은 2009년에 수주를 받아, 2020년 8월 19일에 1호기가 전기 송전을 시작하였습니다. 즉, 대형원전은 공사기간이 너무나도 길기 때문에 지금 신규원전을 계획한다고 해도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지금 당장 폭증하는 전력수요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기가 어렵습니다. SMR은 모듈화를 통해 대형원전의 오랜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문제는 아직 상업화가 안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미국의 뉴스케일이 SMR의 상업화에 가장 근접해 있는 기업인데, 뉴스케일은 2013년 미국 정부로부터 국책과제로 선정된 이후, 2017년 NRC(미국 원자력 규제위원회)에서 DCA(SMR 설계 인증)을 신청하여, 2020년 NRC의 DCA를 받음으로써 상업발전의 근간을 마련하였습니다. 2022년에 발표되었던 SMR의 상업화 계획을 보면, 2024년 부지여건을 반영한 건설 및 운영 인허가건을 제출하고(아직 미제출), 2026년 승인을 받고 착공하여 2029년 미국에서 첫 원자로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뉴스케일의 계획대로 된다 해도 SMR이 첫번째 가동(송전 시작)에 들어가는 때는 2030년 이후입니다. 하지만 2022년 뉴스케일의 계획도 상업성 문제로 계속해서 뒤로 미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처럼 원전/SMR이 지금 당장 급증하는 전력을 충당하기에는 너무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 태양광+ESS+가스발전 현실적으로 가장 빠르게 미국에서 전력을 공급을 해줄 수 있는 전력원은 태양광입니다. 태양광은 공사기간(유틸리티 규모)이 1년으로 매우 짧기 때문에 즉각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한 전력원입니다. 하지만 태양광은 신재생에너지의 문제인 간헐성과 경직성 때문에 보조전력원이 반드시 필요하며 ESS와 가스발전과 함께 진행되어야 합니다. 태양광 발전이 되지 않는 시기(주로 밤시간대)에 ESS통해 전력을 공급하고 기후 문제로 인하여 장기간 태양광 발전이 어려운 경우 가스발전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이 현재로서는 전력공급을 가장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방법입니다. (무탄소 전력원 기준) 서브발전용으로 사용되는 중소규모(50Mw – 200Mw)규모의 가스발전소는 1-2년의 공사기간으로 발전이 가능하며, 지리적 제약도 대형발전보다 덜 받습니다. 또한 출력조절(자동부하추종능력)이 매우 우수한 발전원으로 태양광발전의 간헐성을 매우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가스발전(LNG복합발전)은 신재생에너지의 가장 이상적인 보완발전원이 되어줍니다. 한국에서도 지난 정부 대규모 LNG복합발전 건설 계획을 세웠던 이유도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미국에서 가장 저렴한 발전원인 태양광을 근간으로 ESS와 가스발전이 결합된다면 가장 현실적이고, 이상적인 전력공급확대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https://view.asiae.co.kr/article/2024042222293747738 https://blog.naver.com/nihil76/222750220705
25114Loading...
36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9/0002881530
2842Loading...
37
출처: 6해치 운영자님(https://t.me/hatcherysix) [ IR Q&A 정리 ] - 민감 정보 제외 Q) 고용량 아일리아 시밀러 포함해서 계약이 나오면 계약금액 훨씬 더 큰 금액이나오나? A) 계약 마일스톤, SF도 당연히 커질 수 밖에 없다. 기존 계약한 업체들은 계약조항이 우선협상권을 가지고 있는 정도 그 업체들도 고용량 추가협상 진행 중 파이는 커진다. (계약규모는 커진다) Q) 미국에서 특허소송 관련해서 특허노이즈 명확한 설명 가능? A) 아일리아 PFS 팩트는 어떠한 자세한 설명은 못드리지만, 좀 전에 프랑스가 고용량 패키지로 시밀러 나온다고 했지않나 PFS로.. Q) 오리지날대비 70% 수준 판가여도 OPM 70~80%나온다는 얘기? A) 판가가 70% 떨어지면 50~60% OPM 로 떨어지겠지만, 초기에는 70~80% OPM 가능하다는 얘기 Q) 에스패스 . 세마글루타이드 특허 이슈 부각되면? A) 중국은 문제없고, 미국은 특허연장이 들어가버리면 그거는 우리가 어떻게 뭘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님. 최대 미국은 30~31년까지 보고있다. 그리고 제형특허소송이 들어올 가능성은 제로다. 물질 자체가 다르다. SNAC이랑 원물질을 아예 100% 다른 물질로 하기에 제형특허는 회피 완료. Q) 세마글루타이드 경구용 BE STUDY 결과는 언제? A) 올해 12월 ~ 늦어도 내년 1월에 나온다 Q) 세마글루타이드 에스패스 계약 나온다고 하면 계약금액은? 사이즈.. A) 밝히기 어렵다. 40조 시장 타겟에서 MS 몇프로 가져오고 거기서 나눠 갖지 않겠나. Q) 미국 아일리아시밀러 최악의 상황 마일란 승소.. 경쟁사도 PFS로도 진출가능한건가? A) 만약 마일란이 승소해서 27년에 판매가 된다하면 시기적으로 가능하다고 봐야하지않을까 함. 황반변성 PFS를 생산할 수 있는 site는 전세계 얼마 안됨. 우리나라에는 없다. ​Q) 이 경쟁사 (아일리아시밀러) 대비 우리가 왜 경쟁력을 갖나 A) PFS 아일리아를 원스탑으로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이 거의 없다. 그게 차이 ​Q) 865특허 마일란이 이기면 다같이 진출 24년? A) 다 같이는 힘들듯. 이 문제의 KEY는 아일리아의 PFS . 최악의 경우에도 미국시장에 PFS를 내놓을 회사가 과연 있을까라는 의구심 있다 ​Q) 소송결과에 따른 대응책이 다 있나? A) 예 다 있다. 미국시장은 보험등재 여부가 중요하다. 저희 파트너사는 그 부분 부족함이 없다고 검증 완료 계약시기가 865 특허 결과하고는 상관없다. 계약은 되는데 소송결과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건 마케팅전략이나 세일즈전략이다. 지금 독자적인 영업조직을 가지고 있지 않은 회사중에 아일리아 시밀러 허가신청 들어간 회사는 우리밖에없고 해외 파트너사랑 계약을 한 회사는 전무하다. 최악의 경우에도 미국시장에 PFS를 내놓을 회사가 과연 있을까라는 의구심 있다
1 04128Loading...
38
#에코앤드림 #전구체 전구체 산업 현황 전구체란 화학 반응을 통해 A라는 물질을 만들 때, 최종 물질인 A가 되기 바로 이전 단계의 물질임 이 화합물에 탄산리튬 혹은 수산화리튬을 섞으면 최종 물질인 양극재가 됨 1kWH의 배터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약 1.4kg의 양극재가 필요함. 보통 양극재와 전구체는 1:0.85 ~ 1:0.95의 비율로 혼합되기 때문에 1kWh의 배터리를 생산할 때는 1.19 ~ 1.33kg의 전구체가 필요 양극재와 전구체의 투입량은 비슷한데 반해, 전구체의 공급 부족 현상이 유독 부각되고 있는 이유는 2가지임 1) 국내 양극재 업체들의 CAPA 증설 대비 국내 전구체 업체들의 CAPA 부족은 심화될 전망 양극재 1만톤 당 전구체 0.9만톤이 필요한 점을 고려했을 때, '27년까지 전구체 수요 대비 공급 부족은 현재 73.7만톤 » 83.9만톤까지 증가함 또한, 최근 전기차 수요 둔화에 따라 셀, 소재 업체들의 과잉 증설 우려가 제가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구체 초과 수요는 현재 80.7만톤 » '27년 106.5만톤까지 확대될 전망 2) IRA 시행에 따른 중국 업체들의 후퇴도 전구체 공급 부족의 원인 '23년 기준, 중국의 전구체 생산 능력은 글로벌 전체 시장의 약 90%를 차지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양극재 업체들의 중국산 전구체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상황. CNGR, GEM, Huayo Cobalt, Brunp까지 4대 업체의 현재 CAPA는 100톤으로, 양극재 125톤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임 이에 국내 양극재 업체들은 전구체를 중국으로부터 조달해봤지만, '22년 8월 미국의 IRA 법안 발표 후 중국을 배터리 밸류체인에서 제외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며 전구체 국산화 필요성이 대두 IRA에 따른 FEOC 조항을 고려하지 않고, 전기차 시장이 본격적으로 확대되는 '25년 글로벌 전구체 수요-공급 전망을 비교해도 수요 219만톤, 공급 190만톤으로 여전히 공급 부족
62816Loading...
39
#카페24 진짜 유튜브쇼핑이 온다 TAM 확장을 즐길 때 유튜브쇼핑 전용 스토어 출시로 카페24 GMV 성장 가시성이 더욱 높아짐 유튜브쇼핑 GMV가 얼마나 빠른 속도로 올라올지 예측하기 어렵지만, 유튜브가 국내 이커머스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력이 계속 커질 것임은 자명 단기 밸류에이션 부담보다는 TAM 확장을 즐길 때 유튜브쇼핑 전용 스토어란? 6/19 세계 최초로 유튜브쇼핑 전용 스토어 기능 오픈. 전반적으로 해외 틱톡샵/네이버 스마트스토어와 유사한 형태 [이용자] 쇼핑 동성인 외부 링크 » 유튜브 웹/앱내로 확장. 페이지 이탈 없이 웹/앱내에서 주소, 결제정보 등만 입력하면 상품 바로 주문 가능 [판매자] 복잡한 개발이나 디자인 작업 없는 스토어 개설 및 간편한 상품/주문/배송관리. 유튜브 영상 태그 및 크리에이터 협업 용이 기존 외부링크 방식 대비 유튜브쇼핑 전용 스토어 확산 빠를 것으로 기대. 도입 간편할 뿐더러 판매자-크리에이터 니즈 일치 [판매자] 크리에이터 협업시 우수한 구매전환율 [크리에이터] 유튜브 수익화에 적극적. 6/4 도입한 쿠팡 제휴 프로그램 이용 사례 증가
48610Loading...
#India 인도는 5월에 러시아 석유를 기록적인 양으로 수입함 인도의 러시아 석유 수입량은 5월 하루 210만 배럴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음 이는, 중국의 러시아 석유 수요 감소때문이라고 로이터가 전함 이로인해 세계 3위 수입국이자 소비국인 러시아의 점유율은 지난달 거의 41%까지 증가하였으며, 동시에 사우디 아람코는 유가 인상 및 감산으로 인해 공급량이 10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짐 https://www.msn.com/en-ca/money/topstories/india-purchased-record-amount-of-russian-oil-in-may/ar-BB1oKa0f?cvid=98de7bcc1989457a8c7025cc397b3221&ei=22
Показати все...
India purchased record amount of Russian oil in May

India's oil imports from Russia rose to a record 2.1 million barrels per day in May. This is due to a decline in China's demand for Russian oil, states Reuters. In particular, this increased Russia's share as the world's third largest importer and consumer to almost 41% last month. At the same time, supplies from Saudi Arabia fell to a 10-month low...

#Apple #Meta 메타는 메타의 생성형 AI 모델을 애플과 합치는데 논의를 했다고 WSJ에서 밝힘 이런 논의는 구글과 애플의 오래된 검색 도구 파트너쉽을 유지한 것처럼 애플의 기기에 메타의 AI 기능을 추가하는 형태임 애플은 오픈AI가 금지된 다른 지역에서 추가적인 AI 기업들과 협업하는 것을 의논하고 있다고 밝힘 ============================================= Apple and Meta have discussed AI partnership, WSJ reports https://www.reuters.com/technology/apple-meta-have-discussed-an-ai-partnership-wsj-reports-2024-06-23/
Показати все...
Apple and Meta have discussed AI partnership, WSJ reports

Facebook parent Meta Platforms has discussed integrating its generative AI model into Apple's recently announced AI system for iPhones, the Wall Street Journal reported on Sunday.

#삼성전기 #FCBGA 삼성전기, 베트남 FC-BGA 공장 가동 개시…AI 반도체용 기판 양산 삼성전기가 베트남 FC-BGA 공장 가동을 시작함 ■ 삼성전기의 베트남 FC-BGA 공장 개요 삼성전기는 2년 6개월 동안 약 1조원을 투자하여 베트남 법인에 인공지능용 반도체 기판을 생산할 공장을 설립 2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기는 최근 베트남 FC-BGA 공장에서 제품 생산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 시생산을 마치고 초기 목표 수율 확보, 본격 양산을 개시 FC-BGA는 칩과 메인보드를 연결하는 반도체용 고밀도 패키지 기판으로, HPC용 반도체에 적용되는 부품임 삼성전기는 우선 AI PC용 반도체 기판을 만들어 글로벌 빅테크 기업에 공급할 예정 베트남 공장에서 ARM 기반 차세대 AI PC용 반도체 기판을 제조하는 데 이어, AI서버와 네트워크용 기판도 생산할 것으로 보임 현재 FC-BGA 시장은 일본 이비덴과 신코텐키, 대만 유니마이크론 등 의존도가 높은데, 삼성전기가 베트남 공장 생산량 확대와 적용 제품 다각화에 성공하면 시장에서 주도권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됨 앞서 삼성전기는 '21년 12월 베트남 법인에 1조원 이상을 투자해 FC-BGA 생산 라인을 구축하겠다고 발표함 저부가가치 제품인 RF-PCB 사업에서 철수하고, 베트남 공장에 FC-BGA 전환 투자를 결정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0/0003216772
Показати все...
삼성전기, 베트남 FC-BGA 공장 가동 개시…AI 반도체용 기판 양산

삼성전기가 베트남 플립칩-볼그리드어레이(FC-BGA) 공장 가동을 시작했다. 베트남 법인 1조원 투자 이후 약 2년 6개월여 만에 양산 돌입으로, 인공지능(AI)용 반도체 기판을 생산한다. 급성장이 예상되는 AI 반

#SCFI 예멘 후티 반군이 발사한 드론이 홍해 선박에 충돌한것으로 추정 =================================== Aerial drone likely launched by Yemen’s Houthi rebels hits ship in the Red Sea https://apnews.com/article/yemen-houthi-rebels-red-sea-attack-israel-hamas-war-74992b2f95c18fadcc2e8138d5117374
Показати все...
Aerial drone likely launched by Yemen's Houthi rebels hits ship in the Red Sea

An aerial drone likely launched by Yemen’s Houthi rebels struck and damaged a vessel in the Red Sea.

NH 7월 월간 공유 KOSPI 3,000P로 가는 길 ‘Everything rally’의 조건이 재차 성립되고 있습니다. 미국 주식시장은 비싸다는 점이 유일한 걱정거리지만, 연방정부와 민간의 투자가 동시에 진행되고, 혁신 기업의 독점적 지위가 유지되는 상황에서는 프리미엄이 정당화될 수 있습니다. 정치/외교적 노이즈로 인해 단기 조정이 나타난다고 해도, 기업이익은 여전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상승 추세에 걸림돌이 되기 어렵습니다. 현재는 정책 사이클입니다. 정책이 변화하기 전까지는 기존 주도주의 상승이 지속될 것입니다. (完讀 要)
Показати все...
NH투자증권_주식_이슈전략_20240621162446.pdf3.48 MB
#MRDIMM ■ MRDIMM(Multi-Ranked Buffered Dual In-Line Memory Module)이란? 여러 개 D램을 기판에 탑재한 모듈을 DIMM이라고 하고, MRDIMM은 기존 D램 모듈 대비 데이터 전송 속도를 끌어올려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 데이터센터에 쓰일 수 있도록 한 DIMM의 한 종류임 MRDIMM은 D램 모듈에서 CPU로 보내는 기존 데이터 전송 단위 묶음인 '랭크' 두 개를 동시에 작동시켜 메모리 대역폭(데이터가 오가는 토올의 폭)을 두 배 늘렸음 한 개 랭크만 작동했던 기존 방식과 비교해 한 번에 더 많은 데이터양을 처리할 수 있게 된 것임 이 같은 작업이 가능하게 하려면 모듈 위에 탑재돼 D램과 CPU 신호 전달을 지원하는 부품인 특수 버퍼가 있어야함 ■ 국내 기업 개발 현황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23년 하반기 주요 칩셋 업체와 제품 성능을 검증했고, 최근 들어선 성능, 용량뿐 아니라 전력 효율을 개선한 MRDIMM을 고객에 보내 테스트하는 샘플링 작업 중임 연초엔 향후 32Gb DDR5 D램을 활용한 MRDIMM을 선보이겠다는 예고를 함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는 '22년 미국 인텔, 일본 르네상스와 협업해 MRDIMM 샘플 개발에 성공함 '23년 11월엔 미국에서 열린 '슈퍼컴퓨팅2023'에서 최대 초당 8800Mb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구현한 MRDIMM을 전시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435554
Показати все...
[피스앤칩스]'HBM만 주목?'…차세대 메모리 'MRDIMM'에 쏠리는 눈

최근 메모리 반도체 시장과 관련해 빼놓지 않고 등장하는 키워드가 고대역폭메모리(HBM)입니다. HBM은 불과 2~3년 전만 하더라도 이렇게까지 주목을 받는 제품이 아니었습니다. 그러다 지난해부터 AI 효과로 단기간에

#실리콘인터포저 ■ 실리콘 인터포저란? 인터포저란 반도체 패키징 기술의 한 부분으로 다양한 반도체 다이를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함 AI반도체와 같이 고성능 반도체에서 로직 다이와 HBM 등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핵심 요소임 ■ 실리콘 인터포저의 장점 일반적으로 반도체 칩은 PCB 위에 실장이 됐었는데, 아무리 잘 만들어도 10마이크로 수준의 배선이 한계임 실리콘 인터포저는 실리콘 위에 배선을 만들어 나노미터 단위로 만들 수 있어 그 위에 칩들과 아주 빠르게 소통할 수 있음 다시 말해서, 다이와 기판 사이에 위치하여 다이 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이 패키징과 칩 간 통신에 중요한 역할을 함 ■ 실리콘 인터포저의 단점 실리콘 인터포저는 매우 비쌈 PCB 기판과 비교하면 20배 가격 차이도 나지만, NVIDIA의 H100, H200 제품들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부품이라 수요가 많은 상황 '23년에 나온 3.3x 렉티클 슈퍼 패리어 인터포저의 경우, 12인치 웨이퍼에서 16개 정도 나오는 상황임 실리콘 인터포저를 대면적화하기 위해 하나의 렉티클을 쓰는 것이 아니라 다른 렉티클을 같이 사용해서 렉티클 사이즈의 한계를 극복하는 렉티클 스티칭이라는 기술을 씀 그렇게 해서 렉티클 사이즈의 2배, 3배 크기를 만들 수 있는 것임. 이론적으로는 16개가 나와야 하지만 수율 등을 감안하면 10개 정도 나온다고 봐야함 * 스티칭(Reticle Stitching):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단일 (Reticle)로는 커버할 수 없는 대형 집적 회로(IC)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기술. 이 기술을 통해 여러 개의 이미지를 하나로 결합하여 더 큰 다이를 만들 수 있음 '26년에는 5.5x 렉티클 슈퍼 캐리어 인터포저가 나올 예정이며, 12인치 웨이퍼 한 장에서 3~4개 밖에 안나오는 상황임 ■ 실리콘 인터포저의 동향 NVIDIA GPU가 공급병목의 원인들 중에 인터포저의 병목도 포함됨 코어스 패키지를 만드는 것이 TSMC인데 인터포저 생산량을 맞추지 못하는 상황이라 다른 파운드리 업체와 협업을 제안한 상황임 사실 웨이퍼를 GPU도 만드는 데도 써야하고 로직 만드는 데도 써야 인터포저의 크기가 3.3x, 5.5x, '27년에는 8x까지 커진다는 전망임 이를 극복하기 위해 유리기판에 대한 검토토 이뤄지고 있는 것 같음 ■ 삼성전자의 기회 유리기판이 양산화되기 전까지 인터포저의 사용량이 점점 많아지면 NVIDIA 입장에서는 삼성전자 제품에 대한 관심이 갈 수 밖에 없음 인터포저는 레거시 공정을 할 수 있는 파운드리 회사는 다 할 수 있음. TSMC, 삼성, UMC 정도가 실리콘 인터포저를 직접 설계하고 만들 수 있는 회사이고 삼성전자가 생산 capa도 상당히 크고 준비도 많이 해놓은 상태임 ■ 실리콘 인터포저 - 글로벌 기업의 대응 실리콘 인더포저가 웨이퍼 CAPA를 많이 잡아먹게 되면서 각 기업들은 실리콘 인터포저를 최소화하는 방향의 기술 개발로 대응하고 있음 TSMC TSMC는 CoWoS-L이라는 기술에 주목하고 있음. CoWoS-L에서 L은 로컬을 뜻하는 것으로 로컬 실리콘 브릿지를 중간중간에 심어서 칩들을 연결하는 방식인데 이렇게 하면 실리콘 인터포저를 계속 크게 만들 필요가 없어짐 Intel EMIB 기술을 개발하여, PCB 속에 실리콘 인터포저 조각을 심음 삼성전자 I-Cube-L이라고 로컬 실리콘 인터포저를 필요한 부분에만 올리는 제품을 보유하고 있음. 인터포저를 더 크게 못하는 상황이 올 것이 자명하기 때문에 이런 기술을 전략적으로 갖고 있어야 함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8606
Показати все...
[Y인사이트]실리콘 인터포저 수요 폭발, 어디까지 갈 것인가?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인터포저 기술이 AI 반도체 패키징의 핵심요소로 부상하면서 시장 규모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2023년 기준 인터포저 시장 규모는 약 218백만달러였으며, 2030년까지 약 790.2백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

1
Показати все...
김종국-제자리 걸음

김종국-3집 제자리 걸음

Фото недоступнеДивитись в Telegram
.. 삼전은 반도체 강세장에서 제자리 걸음 중
Показати все...
의지를 믿지 말고 환경을 먼저 바꿔라. https://m.blog.naver.com/cy2863/223255262303
Показати все...
의지를 믿지 말고 환경을 먼저 바꿔라.

스스로 의지가 강하다고 믿는 사람일수록 자신을 바꾸기 어렵다. 암스테르담 대학 연구팀 실험에 의하면 자...

Авторизуйтеся та отримайте доступ до детальної інформації

Ми відкриємо вам ці скарби після авторизації. Обіцяємо, це швидк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