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kie

Мы используем файлы cookie для улучшения сервиса. Нажав кнопку «Принять все», вы соглашаетесь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cookies.

avatar

돌비콩의 코인정복

함께 크립토 공부를 해보아요. 올라오는 정보는 투자적 조언이 아닙니다. 문의 @bitxrpmax 채팅방 https://t.me/dolbikong2 트위터 https://twitter.com/DBKventures 블로그 https://blog.naver.com/dolbikong

Больше
Рекламные посты
8 072
Подписчики
+624 часа
+567 дней
+30130 дней
Время активного постинга

Загрузка данных...

Find out who reads your channel

This graph will show you who besides your subscribers reads your channel and learn about other sources of traffic.
Views Sources
Анализ публикаций
ПостыПросмотры
Поделились
Динамика просмотров
01
✍️크립토 프로덕트 개발에서 흔히 저지르는 실수들 source 1. UX가 bottle-neck이라는 오해 - 웹3의 UX가 완벽하진 않지만, 대체로 충분함 - 진정으로 유용한 제품을 만드는 것이 진짜 문제 - 물론, 온/오프 램프 및 브리징의 UX는 중요함 - 많은 앱들이 훌륭한 UX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다시 사용되지 않음 2. 시장 세분화를 잘못 정의함 - 개발자들이 "사용자"를 단순히 돈을 벌고 싶어 하는 사람들로 일반화하는 경향 - 목표 시장을 신중하게 선택하고 정의해야 함. 사용자의 피드백이 매우 중요 - "더 이상 내 제품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면 매우 실망할 사람은 누구인가?"를 고려하기 3. 소셜/마케팅을 인턴이나 에이전시에 위임 - 마케팅과 제품 개발은 밀접하게 연결됨 - 시장을 이해하고, 차이를 구별하고, 솔루션을 구축하기 - 제품을 효과적으로 마케팅하지 못하면 사용자에게 도달할 수 없음 - 인턴에게 소셜/마케팅을 위임해선 안 됨. 이러한 업무는 회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 4. 기존 웹2 아이디어에 웹3 얹기 - 웹2 아이디어에 단순히 웹3를 붙이는 것은 의미가 없음 - 시장 격차에서부터 역으로 접근해야 함. 실제 문제를 식별하고 솔루션을 구축하기 - 기성의 생각을 복제하는 대신 혁신이나 명확한 차별화를 추구 5. 기존 사용자 수 때문에 기초 체인에 지나치게 집중 - 특히 DeFi에서는 사용자 수 때문에 체인을 선택하는 것이 잘못될 수 있음 - 단순히 그들이 있는 체인이 아닌, 사용자가 직면한 문제에 따라 시장을 정의해야 함 - 일시적인 사용자 인센티브 때문에 확장 불가능한 플랫폼에 구축하는 것을 피해야 함 6. 깊이 생각하지 않고 트렌드를 따름 - 기본 원칙에 대한 생각 없이 현재 트렌드를 맹목적으로 따름 - 명확한 이유 없이 NFT 프로젝트에 스테이킹을 추가하거나 다른 회사들이 포인트를 도입하는 경우 - 크립토 산업은 새로운 기회로 가득 차 있으므로 대담하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추구해야 함
1 00010Loading...
02
👀난센 CEO가 말하는 TOP 20위 코인 source 1. 상위 20위에서 나가야 하는 체인 - XRP - Cardano - Bitcoin Cash 2. 그 대신 올라가야 하는 체인 - Polygon - Aptos - Ronin ✍️요즘 크립토 트위터에서 XRP에 대한 비판(조롱?)의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는데, 저점 시그널인지 종말의 진혼곡인지 잘 모르겠음...
2 55119Loading...
03
💰 이더리움을 전통 금융에 홍보하기 위한 6가지 내러티브 source 1. "토큰화 플랫폼"- 내러티브 등급 B - 토큰화는 금융 시장에서 마찰과 비용을 크게 줄이고, 접근성과 유동성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 - 이는 이더리움을 세계적인 토큰화 자산 플랫폼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전통 금융 참여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 - 그러나 규제 불확실성이 일부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음 2. "온체인 앱 스토어" - 내러티브 등급: C - 이더리움은 고도로 표현력 있는 스마트 계약을 통해 애플 앱 스토어와 같은 온체인 앱 스토어 역할을 함 - ETH는 가스 요금을 지불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는 주주에게 배당되는 암호화폐 네이티브 주식 환매 버전과 같음 3. "인터넷 채권" - 내러티브 등급: C - 이더리움의 스테이킹 스키마는 고정 수익 상품과 유사하며, 투자자는 32 ETH를 스테이킹하여 보상을 받음 - 하지만 스테이킹이 포함되지 않은 현물 ETF는 이 서사가 투자자에게 매력적이지 않을 수 있음 4. "울트라 사운드 머니" - 내러티브 등급: D - ETH 공급은 블록 수요 증가와 함께 감소할 수 있으며, 이는 우수한 가치 저장 특성을 부여할 수 있음 - 만약 인플레이션이 계속될 경우 이 서사는 매력이 떨어질 수 있음 5. "디지털 오일" - 내러티브 등급: D - 이더리움의 온체인 애플리케이션 사용은 ETH의 가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됨 - 그러나 전통 금융 참여자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음 6. "인터넷 머니" - 내러티브 등급: F - ETH는 많은 사람들이 가치를 저장하고 결제에 사용하는 네이티브 "인터넷 머니"임 - 다만 전통 금융 투자자에게는 매력적이지 않을 수 있음 ✍️6가지 내러티브 중 어느 것도 단독으로 투자자를 유치하는 데 완벽한 해결책은 아님. 이더리움의 전체 네트워크를 이해하는 것이 이 기술의 혁신적인 영향을 완전히 이해하는 데 필요함. 토큰화의 개념이 블록 공간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이는 이더리움을 온체인 앱 스토어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 규제 명확성이 필요하지만, 울트라 사운드 머니 서사는 정책 입안자가 글로벌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디플레이션 정책을 선택할 경우 유력한 서사로 자리 잡을 수 있음
3 87639Loading...
04
🧑‍💻온체인 평판(On-chain Reputation)의 중요성 source 온체인 평판은 탈중앙화 시스템에서 우리가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방법. 중앙화된 시스템에서는 제3자가 신뢰를 보증하지만, 탈중앙화된 시스템에서는 이를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까? 1. 탈중앙화 정체성을 주류로 만들기 위한 방법론 - 사람들의 오프체인 경험과 소속을 온체인에 매핑하는 시스템 구축 - 온체인에 추가될 데이터 표준화, 처리 및 우선순위 매기기 - 온체인 기록에 대한 맥락 부족 문제와 탈중앙화 웹 접근 문제 해결 2. 온체인 평판 시스템의 핵심 단계 a) 데이터를 온체인에 기록 b) 데이터를 매핑하고 해석 c) "평판 점수"로 변환 3. 표준화된 평판 시스템 - 온체인 평판이 성공하려면 표준화된 시스템이 필요. 예를 들어, FICO 점수나 Google 페이지 랭크와 같은 평판 점수를 만들 수 있음. 지갑은 위험한 주소에 대한 경고를 제공하여 사기 방지 메커니즘으로 사용할 수 있음 4. 주요 프로젝트 - Debank: Debank Credit 점수를 통해 사용자 활동성, 진정성 및 가치를 종합적으로 측정 - Gitcoin Passport: 신원 확인 집계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 활동을 검증하는 여러 웹2 및 웹3 인증기관에서 스탬프를 모아 사용자의 신뢰도를 측정 - Ethos Network: 신뢰 플랫폼 사용자가 사람들에게 스테이킹하여 신뢰를 표시하고, 악성 행위자는 패널티를 받음 5. 실질적인 사용 사례 - 오픈 이력서: 모든 기여와 활동을 기록하여 평판 증거로 사용할 수 있음 - 유명인 토큰: 유명인의 신뢰 프로필을 빠르게 평가하여 사기를 예방 - 밈 개발자: 사기성 밈 개발자를 식별하여 사용자 위험 평가에 도움을 줌 - KOL 덤핑: KOL의 신뢰성을 평가하여 팔로워를 보호 - 로열티 프로그램: 고품질 상호작용을 보상하는 맞춤 프로그램 개발
1 54913Loading...
05
💰 우리는 왜 이더리움을 사용해야만 하는가? source 1.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에 새롭게 입문한 사람들은 "더 빠르다고 알려진 다른 체인이 있는데 왜 이더리움을 사용해야 할까?"라는 질문을 할 수 있음. 이에 대한 이유는 다소 철학적이며, "어떤 세상에서 살고 싶은가?"라는 질문으로 귀결됨 2. 암호화폐는 사람들이 은행을 신뢰했지만, 은행이 우리의 저축을 비밀리에 카지노처럼 사용했다는 철학적 동기로부터 시작됨.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불투명하고 검증이 불가능함. 우리는 그들이 올바른 일을 한다고 그냥 믿어야 함 3. 비트코인과 더 넓게는 암호화폐는 일반 사람들이 집에서 보통의 컴퓨터와 인터넷 연결로 완전히 검증할 수 있는, 궁극적으로 민주적이고 접근 가능하며 포괄적인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 생성됨. 비트코인에서는 채굴자들이, 이더리움에서는 검증자들이 네트워크를 제어하지 않습니다. 풀 노드가 네트워크를 제어하며, 누구나 스테이킹 없이도 풀 노드를 운영할 수 있음 4. 이더리움은 노드 요구 사항을 설정할 때 비트코인으로부터 이 중요한 접근성 특성을 보호하고 계승함. 이는 이더리움을 모든 인류가 접근할 수 있도록 유지하기 위한 것임. 이더리움은 당신이 집에서 직접 검증할 수 있고, 제3자를 신뢰할 필요 없이 최종 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금융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음. 풀 노드 운영은 점점 더 쉬워지고 있으며 이는 연고주의를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함 5. ZK와 옵티미스틱 롤업의 발전 덕분에, 접근성을 유지하면서도 zk 처리 또는 신뢰 가정을 추가하여 이더리움의 기능을 새로운 극한으로 확장할 수 있음. 실패 시에도 매우 합리적인 대안 또는 탈출구(예: 이더리움 L1 자체)를 제공함 6. 이더리움의 롤업 프로젝트들은 이러한 가치와 미래를 믿기 때문에 존재함. 이더리움의 확장 환경에서 발생하는 조각화와 보안 구현 문제를 해결하고, 궁극적인 블록체인 종착점을 완성할 것임. 이는 저렴하고 빠른 거래 이상의 문제로, 모든 인간의 금융 및 개인 주권의 운명과 관련됨. 시장의 선택에 따라 여러 L1들이 나타나고 사라지더라도, 우리는 여전히 이더리움과 완전히 검증 가능한 미래를 선택할 것
2 42435Loading...
06
💡크립토와 새로운 마켓플레이스의 탄생 source 1. 세계에서 가장 큰 기업들은 네트워크 효과를 기반으로 한 마켓플레이스로, 아마존($1.9T), 메타($1.2T), 텐센트($459B) 등이 있음. 이들 기업은 공급과 수요를 집계하며, 이를 더 많이 통제할수록 네트워크의 가치가 높아짐 2. 크립토도 마찬가지. 비트코인($1.4T), 솔라나($79B), 이더리움($460B)과 같은 최고 가치 네트워크는 개발자, 사용자, 네트워크 운영자로 구성된 다면적 네트워크로, 확장될수록 더 가치가 높아짐 3. 웹2 마켓플레이스는 목록화 시대에서 "우버 포 엑스" 시대, 관리된 마켓플레이스로 진화함. 그러나 각 시대는 신기술 또는 새로운 시장 요구에 대응하면서도 혁신을 제한하는 도전 과제를 동반함 4. 전통적인 웹2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하고 확장하는 데는 막대한 비용이 듦. 이는 새로운 플레이어에게 장벽이 되며, 많은 자본이 필요해 전체 마켓플레이스 카테고리가 구축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음 5. 일부 산업에서는 마켓플레이스 참가자 간의 높은 신뢰 수준이 필요함. 이를 위해 관리된 마켓플레이스는 추가 서비스와 운영 레이어를 구축함. 이는 높은 운영 비용을 초래하며, 다양한 마켓플레이스가 동일한 노력을 중복하게 되어 비효율성이 발생함 6. 암호화폐는 세 가지 주요 능력을 통해 새로운 마켓플레이스 혁신의 잠재력을 열어줌: a) 확장성: 암호화폐는 토큰 인센티브를 통해 성장할 수 있음. Helium과 Hivemapper는 토큰 인센티브를 통해 초기 공급 측면을 부트스트랩함 b) 온체인 평판과 이력: 암호화폐는 휴대 가능한 평판 시스템을 제공함. Uber에서의 배경 조사가 온체인에 저장되어 Lyft에서도 동일한 정보가 사용될 수 있음. 이는 관리된 마켓플레이스의 비용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킴 c) 결제: 암호화폐는 국경 간 결제를 원활하게 지원함. 최근 구매한 NFT는 온체인 데이터 커뮤니티에서 분석 질문을 할 수 있게 해주고, 분석가는 토큰으로 보상을 받음 7. 암호화폐는 새로운 마켓플레이스의 다음 단계임. 토큰 인센티브를 활용해 더 자본 효율적으로 성장할 수 있음. 온체인 평판과 이력은 마켓플레이스 운영자의 오버헤드를 줄임. 암호화폐 기반 결제는 마켓플레이스가 처음부터 원활하게 글로벌하게 운영될 수 있게 함. 이 모든 것은 기존 마켓플레이스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비용 구조와 확장 전술로만 존재할 수 있는 새로운 마켓플레이스를 탄생시킬 것
1 65114Loading...
07
🌎아시아가 이끄는 다음 크립토 사이클: 국가별 특징 source 1. 대한민국 - 활발한 리테일 투자자 보유. 거래에 적극 참여하며, 알트코인이 거래량의 80%를 차지 - 인기 있는 크립토 기반 이스포츠, 새로운 P2E 게임 등장 - 스캔들 이후 투자자 보호 법률 강화. 이달에만 7개 가상자산 거래소가 규제로 인해 폐쇄 2. 필리핀 - Axie Infinity 같은 웹3 게임이 여전히 인기를 끌며, NFT를 얻기 위한 길드 형성 - 법정 통화로는 인정되지 않지만 거래는 허용. 중앙은행은 디지털 통화 파일럿 진행 중 - 블록체인 게임 채택의 중심지 허브로 인식 3. 홍콩 - 리테일 거래자들은 높은 레버리지를 사용하며 소셜 미디어에 영향 받음 - 암호화폐 거래소 통제 및 소비자 보호를 위한 새로운 규제 도입 - 암호화폐 ETF 상장, 홍콩을 규제된 디지털 자산 허브로 만들기 위한 노력 호주 - 비트코인보다 이더리움을 선호하며, 평균 지갑에 59.4%의 이더리움 보유. ETF로 인해 이더리움에 대한 관심 높음. - 지원ive 규제 환경으로 암호화폐 거래 및 혁신을 지원 4. 일본 - 정부는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웹3와 암호화폐 규제 완화 추진 - 뮤추얼 펀드는 암호화폐 보유 불가. 금융 회사들은 천천히 암호화폐 활동에 참여 5. 인도 - 자유송금제도를 통한 US 비트코인 ETF에 대한 관심 - 엄격한 세금 제도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 파생상품에 대한 수요 증가 - 정부는 CBDC를 추진하고, 해외 거래소에 대한 단속 강화 6. 싱가포르 - 주로 기관 시장으로 리테일 암호화폐 거래에 제한이 있음 - 블록체인 프로모션: 토큰화 및 국경 간 송금을 위한 블록체인 사용 촉진 - Project Guardian: 중앙은행의 주요 이니셔티브 7. 대만 - 비트코인 ETF가 화제지만, 현지 중개업체들은 주문을 받을 수 없음 - 비트코인 ETF 서비스를 재개하기 위한 규제 논의 중 8. 태국 - 2022년 가격 급락의 영향: 가격 하락과 현지 거래소 붕괴로 시장에 영향 - 새로운 정부는 태국을 디지털 자산 거래 허브로 만들기 위해 일부 세금 면제 - 새로운 진입자들로 인해 암호화폐 거래 시장의 경쟁 증가 9. 베트남 - 웹3 게임 개발의 핵심 플레이어: Sky Mavis와 같은 회사들로 웹3 게임 개발에 중요한 역할 - 규제 샌드박스 환경 속에서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투자자들 - 암호화폐는 법정 결제 수단이 아니며, 정부는 관련 위험을 다루기 위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개발 중
9 932114Loading...
08
👀크립토 시장 업데이트: 현시점을 더 주목해야 하는 이유 source 크립토에서 6년 동안 활동하면서, 이번처럼 시장에 엄청난 변화가 일어난 것은 처음 봄. 정치적, 제도적 관점에서 상황이 크게 개선됨. 이번 여름은 특히 주목해야 할 때 1. 이번 주는 비트코인 ETF 출시 이후 가장 강력한 긍정적 흐름을 보임 2. 로빈후드는 가장 오래된 암호화폐 거래소인 비트스탬프를 인수하여 암호화폐에 본격적으로 진입 3. 유럽중앙은행과 캐나다 중앙은행이 4년 만에 처음으로 금리를 인하 4. 바이낸스가 마스터카드 결제를 재개했으며, 주요 결제 제공업체들이 다시 참여 5. 모두의 예상과 달리 이더리움 ETF가 승인됨 6. 선거 시즌이 오면서 1년 전의 "Operation Chokepoint 2.0"때와 상황이 180도 달라짐 7. 유명인들이 밈 코인을 출시하고 있음. 일부는 이를 부정적으로 보지만, 올바르게 실행된다면 새로운 사용자를 유입하는 강력한 방법이 될 수 있음 8. BTC는 현재 사상 최고치에 근접해 있으며, 주식 시장도 새로운 고점을 향해 나아가고 있음. 역사적으로 선거 연도 S&P 500은 80% 상승했으며, 공화당 승리 시 수익률은 더 높았음
1 62925Loading...
09
👀 Crypto x AI 이해하기: 4가지 핵심 프레임워크 source 1. 생성 AI x Web3 - 생성 AI의 폭발적인 증가로 디지털 제작 비용이 급감하고 있음 - 콘텐츠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 소스의 출처를 확인하고, 크리에이터에게 보상을 제공하며, 콘텐츠 배포를 위한 플랫폼 의존성을 줄이기 위한 더 나은 도구가 필요함 2. 무한한 세계 - 게임 내에서 생성 AI를 사용하는 가능성을 탐구, GTA 5와 같은 오픈 월드 게임에서 자율 에이전트가 게이머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 - 프로토콜에서 온체인 에이전트가 등장하여 가상 경제에 지능을 부여하고 새로운 경험을 창출함. 이는 끝없는 게임과 가상 세계와의 상호작용이 재구상된 새로운 게임 개발 시대를 열 수 있음 3. 데이터는 흐르다 - ChatGPT와 Claude와 같은 AI 혁신의 기반인 LLM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로 훈련됨. LLM이 개선될수록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며, 이는 데이터 부족과 데이터 가치 상승으로 이어짐 - 대형 기술 회사들은 데이터의 가치를 높여 더 많은 요금을 부과하면서 울타리를 치고 있음. Web3 프리미티브는 이러한 장벽을 허물고 데이터 접근을 민주화하고 있음 4. 오디널스 - 비트코인과 AI의 결합은 예상치 못한 조합일 수 있음 - 오디널스를 활용한 흥미로운 파일 공유 프로토콜인 GOAT(Globally Open AI Transfer)의 목표는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AI 모델이 영원히 존재할 수 있도록 하고 제거 위험을 줄이는 것임
1 71626Loading...
10
👀크립토 산업 큰 거 온다, 티핑 포인트 임박? source 1. 크립토에서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 필자도 느끼고 있고, 여러분도 느낄 거라 확신함. 정확히 무엇인지 모르지만, 시장에는 변화의 조짐이 있음. 수년간 우리는 크립토 인프라를 구축하며 대중 채택을 준비해 왔음. 최근의 주요 예시는 다음과 같음: Coinbase의 스마트 월렛 출시 Privy의 쉬운 크립토 온보딩 Rabby의 무료 가스 거래 추가 EIP-4844 업그레이드로 L2에서 거래 비용 절감 2. 각각은 작아 보이지만, 멀리서 보면 사용자 온보딩에 엄청난 진전을 이루었음. 하지만 아직 대중적인 크립토 채택은 이루어지지 않았음. 우리는 우리가 구축한 잠재력을 완전히 터트릴 킬러 크립토 앱이 나타나기를 기다리고 있음. 그리고 그건 매우 가까이 와 있음 3. 햄스터 레이싱, 프렌드 테크, 파캐스터... 각 시도마다 우리는 임계점에 더 가까워지고 있음. 그 킬러 앱은 솔라나 및 이더리움에서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추가한 스트라이프, 아니면 페이팔이 출시한 PYUSD 스테이블코인, 혹은 다음 물결의 디젠들을 온보딩할 연예인 밈코인일수도 있음 4. 한편 크립토 특이점 임박 신호는 외부 요인에서도 분명하게 감지할 수 있음: BTC/ETH ETF 출시 친화적인 정책으로 크립토에 다가서는 제도권 EU와 캐나다의 금리 인하 시작 게다가 주요 기관들이 크립토 미래를 대비하고 있음: 블랙록의 토큰화 촉진 및 텍사스에 새로운 거래소 준비 비트스탬프를 인수하며 크립토에 집중하는 로빈후드 BTC ETF를 구매하는 기존 기관들 5. 이러한 발전은 시장의 큰 변화의 신호임. 주요 플레이어들이 긍정적인 크립토 미래를 대비하고 있음. 현재 BTC가 71k에서 횡보세를 보이지만, 이 지루함은 오래가지 않을 것 같음. 강력한 FOMO를 불러일으킬 무언가가 있을 것이며, 우리는 그 신호를 알고 있음. 천천히 그리고 한 번에, 촉매제·킬러 크립토 앱·다른 거시적 이벤트가 출현할 것임
4 69350Loading...
11
USDT가 시장에서 활성화될수록 XRP의 존재가치는 떨어지는 듯...
2 6603Loading...
12
😇시총 100위 안의 거품 코인 리스트(Defi_Mochi) source 1. XRP - 조작된 것으로 알려진 코인 2. ADA -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음 3. BCH - 더 이상 사용 사례가 없음 4. MATIC - 재정이 고갈되고 사용자 기반이 축소되는 ZK 거품 5. LEO - 시가 총액의 0.1%에 불과한 24시간 거래량을 가진 비트파이넥스 코인 6. ETC - 대세는 POS로 전환됐기 때문에 더 이상 사용 사례가 없음 7. STRK - 커뮤니티 개발 및 사용자 인센티브가 부족한 ZK 거품 8. EOS - 사실상 사용자 채택이 거의 없는 원시의 L1 9. ALGO - 사실상 사용자 채택이 없음 10. SEI - 리테일을 병렬 EVM 내러티브로 유인하면서 OTC 거래를 통한 내부 덤핑 중 11. WBT - 조작된 낮은 유동성과 낮은 거래량의 거래소 토큰 12. CHEEL - 대부분의 사용자가 앱이 작동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구글 플레이의 가짜 다운로드 13. WLD - 매일 이뤄지는 700만 달러 규모의 토큰 배출, 터무니없는 수준 FDV 14. BSV - 비트코인 캐시의 하드 포크
4 23094Loading...
13
💰 앤드류 강, 이더리움 브레이크 아웃 임박 source 1. 머지 이후 ETHBTC에 대해 냉담했지만, 시장 구조가 ETF 출시 이후에도 지속적인 성과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 2. BTC는 패시브 흐름이 강하지만, 대규모 물량을 서두르지 않기 때문에 천천히 상승할 가능성이 높음 3. 반면 ETH는 ETF 출시를 앞두고 있고, $4k를 넘으면 ATH까지 테크니컬 갭이 존재하며, ethena 덕분에 레버리지 자금을 저렴하게 제공하여 투자자들이 몰릴 수 있음 4. 현명한 시장 참여자들은 또한 포지티브 캐리 ETHBTC 및 ETHUSD 거래를 구성할 수 있을 것 5. 언젠가 시장은 출시일/S-1에 대한 명확성을 얻게 될 것이며 이는 많은 사람들에게 트리거가 될 것. 이더리움의 '브레이크 아웃'은 임박함 ✍️한편 현재 BTC ETF는 놀랍게도 $13.7억의 순유입액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출시 이후 가장 강력한 자금 흐름. 즉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미국 기관 자금이 올리고 있다는 의미
4 81939Loading...
14
🤔 Web2와 Web3 소비자 앱 구축의 차이점 source 1. 자금 조달 - 소비자 Web3 자금 조달은 활발하며, 소셜 및 게임 분야에서 큰 투자를 받고 있음(예: Farcaster, Fantasy.top) - 소비자 Web2는 주요 분야(게임, 소셜 등)에서 자금 조달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 암호화를 사용하지만 이를 사용자에게 숨기는 Web2.5 앱(NBA Top Shot, Nifty Gateway 등)은 이번 투자 사이클에서 많은 투자를 받지 못함 - 실제 돈이 걸린 도박은 Web2(Betr, Simplebet 등)와 Web3(MyPrize, MonkeyTilt 등) 모두에서 여전히 인기 2. 채용 - 두 분야 모두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Web3에서는 기술적 능력과 암호화폐에 대한 깊은 관심을 모두 가진 사람이 이상적인 후보자이므로 찾기 더 어려움 - Web3 채용 전략 대부분의 역할에서는 Web2 배경을 가진 사람들 중 암호화폐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데려옴 3. 제품 개발 - Web3 제품을 Web2 제품과 동등한 기능과 사용자 경험으로 구축하는 것은 3배는 더 어려움 - 매우 성능이 좋은 블록체인조차 AWS보다 느리고 오류가 더 많고, 심각한 종속성을 가지고 있음 - 해결책은 암호화를 결제에만 사용(Stake.com)하거나, 암호화의 강점을 활용하고 Web2와 경쟁하지 않는 것(fantasy.top) 4. 결제 - Web3가 우월한 단 하나의 영역이 있다면 그건 결제. Web2에서는 결제 공급망(인수자, 게이트웨이, 은행 관계 등)을 설정하는 것이 큰 고통임 - Web3는 결제 설정이 쉽고, 거의 즉시 이루어지며 사기와 차지백이 없음 - Web2는 결제 공급망 설정이 복잡하고, 고위험 카테고리는 많은 불확실성을 동반함. 비용은 매출의 5-10%가 소요되며, 앱 기반일 경우 30%에 달함 5. 마케팅 - 21년 애플이 메타의 사용자 추적 능력을 제한하면서 web2 사용자 확보는 큰 타격을 입었음 - Web3는 잠재 사용자 풀이 작고, 메타와 구글은 Web3 광고를 거의 수락하지 않음. 가장 성공적인 채널은 인플루언서와 유기적 소셜 미디어(주로 X) 6. PMF(제품-시장 적합성) 찾기 - Web3의 PMF를 찾는 것이 더 어려움. Web2에서는 전환율, 사용자 유지율, 매출 유지율 등의 지표로 PMF를 확인할 수 있음. - Web3에서는 인센티브(포인트 파밍 등)로 인해 이러한 지표가 잘 작동하지 않고, 인센티브가 없어지고 나서야 PMF를 확실히 알 수 있음
2 29128Loading...
15
🇰🇷비트코인 스테이킹 프로토콜 바빌론: Bitcoin Connect by Babylon KR 바이낸스 랩스, 패러다임 등으로부터 $88m 상당의 투자를 유치한 비수탁형 비트코인 스테이킹 프로토콜인 바빌론(Babylon)이 6월 12일에 한국에서 첫번째로 밋업을 개최합니다 · 일시: 6.12(수) 18:30~22:00 · 장소: 서울 (자세한 주소는 luma에 신청하고 참석이 확인된 분들께 공개) 바빌론 창업자인 스탠포드 교수 David Tse의 연설, 주요 프로젝트 리더들과의 흥미진진한 패널 토의, 네트워킹이 예정되어 있으며 ​영어 동시통역이 제공됩니다. 다과 제공과 함께 경품 추첨 시간도 있다고 하네요. 서울 직장인 분들이라면 퇴근 후 무료 한끼 꺼억하기 좋은 기회 같습니다. 맨틀 코리아의 Gemma님이 행사의 주요 패널로 참여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luma 밋업 등록하기
1 7966Loading...
16
🤨DePIN의 토큰 경제 평가: 비용 추정 source 1. DePIN 개요 및 비용 논의의 필요성 - DePIN은 컴퓨팅, 스토리지, 무선 네트워크, 데이터 측정 등 다양한 용도로 하드웨어 리소스를 제공하는 분산 네트워크임. 이들은 Web3 인센티브 모델(토큰 보상 시스템 등)을 활용하여 물리적 인프라 네트워크 구축을 촉진함 2. 초기 성공과 지속 가능한 참여의 중요성 - 초기 DePIN 프로젝트는 토큰 프레임워크 설계 덕분에 큰 관심을 얻음. Helium은 HNT 토큰으로 기여자를 보상하고, Filecoin은 초과 스토리지 공간을 임대할 수 있게 함. 그러나 토큰 발행만으로는 장기적인 노드 참여를 보장하기 어려움. 노드 운영이 수익을 내지 못하면 운영자들은 DePIN 인프라 운영을 중단할 것임 3. DePIN 플라이휠 구조 - DePIN 토큰 경제의 전형적인 플라이휠은 다음과 같음: 서비스 공급 측 구축 > 인플레이션 토큰 보상을 통해 초기 인프라 제공 장려 > 수요 증가 시 네트워크 활동 수익화로 노드 운영자 수입 증가 > 계속된 수익화와 수입 증가로 공급 장려 4. 비용 추정 프레임워크 - 주요 네트워크 기여자: 서비스 노드/프로듀서(물리적 인프라 제공), 검증자/감시 노드/피셔맨(서비스 노드 작업 검증), 회계 레이어(작업/서비스 흐름 및 상태 추적), 게이트웨이(사용자, 서비스 노드, 회계 레이어 간의 조정), 위임자(스테이킹을 통해 경제에 참여) - 비용 구성 요소 평가: 하드웨어/인프라, 인건비, 대역폭·전력 및 기타 운영 비용, 스테이킹 비용 ✍️DePIN에서 노드의 지속가능한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네트워크 관리자는 노드 운영자의 비용을 고려해야 함. Livepeer는 비용 최적화를 위해 이더리움에서 아비트럼으로 전환하여 정산 비용을 95% 이상 절감함. 노드가 지속적으로 손실을 입으면 운영자들은 노드 운영을 중단하게 되어 전체 노드 공급이 감소함
2 60327Loading...
17
😎게이밍 체인 BEAM(aka 메리츠 서클) 생태계 톺아보기 source 1. MeritCircle이 개발한 게임 전용 블록체인으로, 빠르고 안전한 Avalanche 서브넷을 활용해 웹3 게이밍 환경을 구축하고자 함 2. 게임 개발자와 플레이어 모두에게 매끄러운 웹3 게이밍 경험과 소유권, 커뮤니티 참여를 보장하는 것이 주요 과제 3. 주요 프로덕트로는 NFT 마켓 Sphere, 게임 토큰 교환 및 브리지하는 Swap-Bridge, 계정 관리를 위한 Companion 앱, 커뮤니티 포럼인 BeamHub, 게임 개발 도구인 Beam SDK 등으로 구성됨 4. 빔은 Immutable, Polygon과 같은 다른 블록체인과도 호환됨. 특히 현재 이더리움의 zkEVM과 Immutable Passport를 활용해, 안전하고 빠른 거래 처리를 목표로 하고 있음 5. 현재 파티게임 Forgotten Playland, 직접 빌딩하는 메인 NFT IP 프로젝트 Edenhorde, 마피아st 게임 Castle of Blackwater 등 다양한 게임이 빔 에코시스템에 온보딩되어 플레이되고 있음 6. 현재 100개가 넘는 게임 스튜디오를 지원하고 있으며, 2억 달러 이상의 트레저리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생태계 빌딩의 지속가능성은 어느 정도 보장된 것으로 보임 #BEAM #ECOSYSTEM #KOL
1 76411Loading...
18
💰 맨틀(Mantle) MIP-30 프로포절 요약: cMETH와 COOK 출시 source 1. 맨틀의 LSP는 현재 50만개 이상의 ETH를 점유하고 있으며, 이는 LST 중 4위 수준 2. 이러한 유동성을 바탕으로 수익 창출 기회를 모색하며, mETH를 리스테이킹하여 cMETH를 발행 3. cMETH는 맨틀의 기존 Whitelisted Protocol(예: EigenLayer) 등에서 사용할 수 있음 4. 맨틀은 LSP를 독립적인 거버넌스로 분리하고, 새로운 거버넌스 토큰인 $COOK을 발행하여 이를 운영할 예정 5. 이를 통해 독립적인 거버넌스 운영을 보장하며, 거버넌스 토큰을 보상으로 포인트 파밍 내러티브를 조성 - cMETH 메인넷 출시와 함께 포인트 프로그램이 시작되며, mETH 및 cMETH 보유자에게 우선 순위를 부여함 - mETH 보유자는 $COOK 에어드랍을 받을 수 있으며, 다양한 리스테이킹 프로젝트(: Karak, EigenLayer 등)에서 cMETH를 사용할 수 있음 - 맨틀 트레저리는 현재 $4.2B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 $1B는 $COOK 기반 LRT에 활용될 예정 - 포인트 프로그램을 통해 mETH 보유자들은 보유량에 따른 소급적용 보상을 받을 수 있음 - mETH를 리스테이킹하여 cMETH를 발행하면 기존 보상 외에도 $COOK 에어드랍 등 추가 보상을 받을 수 있음 - 독립적인 거버넌스와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통해 프로토콜의 성장을 지원하며, 생태계 참여자들에게 더 많은 참여 기회를 제공 #MNT #MIP #KOL
2 19112Loading...
19
🤔곧 도래할 AI 시대에 대한 닉 카터의 견해 source · AI는 생산성을 높이지만 번역, 전사 및 요약과 같은 분야에서 인간 자본의 가치를 떨어뜨림 · 프로그래밍, 웹 개발, 그래픽 디자인에서 주니어의 역할은 점점 불필요해지고 있음 · AI의 영향은 자본에 유리하게 작용해, 자본과 노동 간의 격차를 심화시킴 1. AI는 자본을 노동보다 강화 - AI는 적은 인력으로 생산성을 높여 직원의 필요성을 줄임 - 이 변화는 노동보다 주주와 기업에 유리하게 작용하며, 이는 전문 서비스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침 2. AI를 간과하면 10년의 가장 큰 테마를 놓치는 것 - 초기 단계 투자자는 AI가 스타트업에 필요한 직원 수를 줄이기 때문에 크게 이익을 봄 - 이제 초보 기업가들도 프로그래밍 지식 없이 성공할 수 있음 3. AI는 "탈진실(Post-Truth)" 시대를 끝낼 것 - 콘텐츠 제작 비용이 0에 가까워지면서, 신뢰성은 서명되고 증명된 콘텐츠에 달려 있음 - 이는 블록체인이라는 인프라를 통해 검증될 가능성이 큼 - 디지털 증명에 초점을 맞춘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중요 4. AI는 미국 경제 전망을 향상시킬 것 - AI는 미국 GDP 성장률을 2-4포인트 상승시켜 현재의 부채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것 - 미국은 AI 개발의 중심지로, 이는 미국의 재정 전망에 대한 낙관론을 강화 ✍️AI 기회는 인터넷이나 철도 이상의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그 성공은 사회적 혼란을 초래할 수 있음.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규제 및 정치적 반발이 발생할 수 있음: 성장 둔화를 위한 AI 규제 강화, 자본 이득세 인상, 복지 지출 증가, AI 개발에 대한 국가의 직접 개입, 사회주의 정치 운동의 강화
7 195121Loading...
20
🤔VIKTOR's 주요 코인들에 대한 짧은 평가 source 1. BNB - 중립적 입장, 장기 투자에 적합 - 특히 약세장에서 강력한 포트폴리오 - 큰 시총에서 비롯한 제한적 상승 가능성 2. SOL - BTC와 ETH 다음으로 현물 포트폴리오에 좋은 코인 - 3대 주요 암호화폐로 자리매김 - ETH보다 높은 리스크와 리턴 3. XRP - 지속적인 하락으로 인한 상시 숏 포지션 - 높은 시가총액으로 안전한 숏 - 차기 ETF 후보 가능성 - 간헐적 급등과 함께 지속적 하락 예상 4. DOGE - 지속적 하락으로 인해 약세 전망하나 3월의 강세는 무시할 수 없음 - 커뮤니티의 빠른 반응, 높은 인지도, 가장 인기 있는 밈코인 - 급격하고 폭력적인 상승, 보유 및 거래 시 고통스러울 수 있음 - $1 목표 합의, 그에 따른 매력적인 위험/보상 5. ADA - 2021년 최고점 이후지속적 하락으로 인해 헤지용 숏 포지션 - 약화된 내러티브와 높은 시가총액으로 인해 편안한 숏 - 또 다른 알트 L1 시즌의 위험 존재, 하지만 상승 여지는 제한적 6. TON - 텔레그램의 거대한 사용자 기반으로 인해 잠재력 있음 - 상위 20위 내에서도 크립토 네이티브들 사이에서 인지도 낮음 - 높은 시가총액과 FDV, 숏 편향 7. SHIB - 절대 보유하고 싶지 않은 유일한 밈코인 - 다른 밈코인보다 크게 저조할 것이라 예상했으나 그렇지 않음 - 대부분의 다른 대형 밈코인에서 더 나은 위험/보상을 기대할 수 있음 8. AVAX - 약세장에서 크게 저조한 성과, SOL 보유의 하위호환 - SOL의 놀라운 성과로 인해 '구조됨' - 12월 중순 이후 SOL 대비 지속적 하락 9. LINK - 좋은 프로젝트지만 높은 시가총액과 오래된 역사가 상승 여지를 제한 - 때때로 롱 포지션에 대한 헤지 숏으로 사용 10. DOT - 오래된 알트 L1, 낮은 인지도 - BTC 대비 지속적 하락, 높은 시가총액으로 인해 편안한 숏 12. TRX - 저스틴 선이 설립한 오래된 알트 L1 - 지속적인 생명력, 낮은 인지도와 높은 시가총액으로 인해 저조한 성과 예상 - 2020년 수준을 유지하는 TRXBTC, 헤지 숏으로 사용 13. BCH - 높은 시가총액으로 인해 저조한 성과 예상, 그러나 '죽은 코인' 숏의 위험성 존재 - 반감기로 급등했으나 이후 하락, 미래 ETF 후보 가능성 14. NEAR - 이전 사이클의 알트 L1, 'AI 알트 L1'로 두 번째 생명 획득 - 높은 시가총액이 상승 여지 제한 15. MATIC - 지난 사이클 동안 첫 "유사" L2로 자리매김 - 23년 2월 이후 지속적 하락, 시장 전반의 부정적 감정 - 높은 시가총액으로 인해 잠재적 숏 후보 16. PEPE - 새로운 사이클의 주요 밈코인으로, SHIB 추월이 목표 - 10월 가격 대비 20배 상승, 밈코인에서 승리한 포지션 17. LTC - 2019년 이후 BTC 대비 지속적 하락 - 편안한 숏, 상승 여지가 제한적
3 64248Loading...
21
✍️이번 사이클에 배운 크립토 시장의 교훈들 source • 포크 프로토콜에 투자하지 말 것: 원조보다 성과가 좋은 경우는 드묾 • 최고의 투자는 처음에는 가장 혼란스러울 때가 많음 • 토큰에 대해 bullish하다면 그냥 보유하는 게 좋음: 고수익 farm에 넣어도 비영구적 손실이 투자를 망칠 수 있음 • 단기 거래 및 디앱 테스트를 위해서는 핫 월렛을 사용하고, 주요 자산에는 하드웨어 월렛 또는 멀티시그를 사용할 것 • 피곤하거나 바쁠 때는 지갑을 만지지 말 것. 실수를 피하기 위해서임 • 타임락이 있는 수익 농장은 피할 것: 유동성을 빨리 인출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함 • 신규 체인에서 출시되는 복제 NFT 프로젝트는 건너뛸 것 • 모든 불장 사이클에는 새로운 내러티브가 등장하여 당신이 토큰을 사게 만듦: 스토리가 아닌 토큰 그 자체를 살 것 • 약세장 규칙: 알트코인을 보유하지 말 것. 특히 언락이 있는 코인들은 피할 것 • 최고의 에어드롭은 예상치 못한 곳에서 온다: 모든 독특한 디앱을 테스트해 볼 것 • 문서에 많은 유행어를 사용하는 프로젝트는 주의할 것. 현금 강탈 프로젝트의 경고 신호 • 프로젝트 웹사이트에서 강조하는 토큰 사용 사례가 많을수록, 토큰 성과는 오히려 더 나빠지는 경향이 있음 • 수익원이 어디서 오는지 모르면 당신이 수익원: 하지만 깨닫기 위해 망할 필요도 있음 • 내러티브는 오고 감. 그러나 실제 기술 혁신에 기반한 내러티브는 여러 번의 하이프 웨이브를 경험함 • 마찬가지로, 새로운 하이프 웨이브가 오기 전에 촉매제를 발견할 수 있는 사람에게는 큰 수익이 기다리고 있음. 씬이 지나치게 긍정적일 때 판매할 것 • 사용자에게 이익을 주는 프로토콜에 투자할 것 • VC 투자 발표는 투자 완료 시점이 아니라 프로토콜에 대한 Hype를 만들 필요가 있는 타이밍에, 즉 종종 토큰 출시 시점에 마케팅됨
6 251114Loading...
22
☝️ 업비트 3연속 상장: 신규 거래지원 빔(BEAM) - BEAM은 aka Merit Circle로도 알려진 P2E DAO로, 풍부한 블록체인 게임 생태계를 구축이 목표. 엑시인피니티, 스타 아틀라스, 일루비움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과거 길드 메타 프로젝트 중 하나 - 아발란체 서브넷 기반으로 자체 체인을 구축했으며 최근 이뮤터블, zkEVM으로도 확장함. 빔 SDK를 활용하여 게임과 빔 네트워크를 연동하고 자체 NFT 마켓 플레이스인 Sphere를 통해 게임 자산들을 거래할 수 있음 - 요즘 커뮤니티에서 업비트의 보수적인 거래지원 정책에 대한 불만이 폭발하며 여러 비판이 이어짐. 업비트 측에서도 이를 반영하듯 연속 원화 상장을 진행, 민심과 일부 타협한 느낌 - 게다가 경쟁사 빗썸이 BIG2까지 치고 나온 만큼, 앞으로는 좀 더 전향적인 상장 기조가 기대됨. 최근 업비트 라인업엔 빅타임, 오아시스, 빔 등 게이밍 관련 프로젝트가 다수 포진하기도 함
2 7647Loading...
23
👀 Move 개발자가 Move-VM 생태계를 탈주한 이유 source 1. Move는 단일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가 아니며 Diem에서 시작되었으나, Aptos, Sui, Movement 같은 회사들이 각자의 버전을 개발하면서 크게 분화된 언어임 2. 따라서 개발자가 Move에서 다른 체인으로 전환할 때 겪는 어려움은 더욱 커질 수 밖에 없음. 각 체인은 고유한 VM과 툴킷을 가진 독립된 생태계임. EVM L2의 초기 시절에도 VM의 작은 차이로 인해 나쁜 경험이나 보안 침해가 발생하는 사례가 있었음 3. Move 체인 간의 차이는 너무 커서(프로토콜이 새로운 기능을 출시하면서 계속 커지고 있음) 거의 다른 언어 수준임. 그럼에도 이 격차를 줄이고자 하는 노력은 전혀 없는 상황임 4. Move 프로젝트는 Move를 [매우 안전한 언어]라고 마케팅하고 있음. 그러나 Move는 단일 언어가 아니기 때문에 실제로 논의되어야 할 것은 Aptos-Move / Sui-Move / xyz-Move의 보안임. 언어는 프로토콜 구현이 안전할 때만 안전함 5. 일례로, Zellic은 Sui Move에서 수십억 달러의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는 버그를 발견한 적이 있음. 아이러니하게도 위에서 언급한 버그는 Aptos에도 존재했지만, Aptos 측은 해당 취약점이 Sui에서 발견되었다는 이유로 Zellic의 버그 바운티를 거부함 6. 관리자가 가진 키가 유출되면 스마트 컨트랙트는 절대 안전할 수 없음. Solidity에서는 컨트랙트 업그레이드 가능 여부의 필요성에 대해 의문을 가지며 경계하지만, 기본적으로 Move 컨트랙트는 관리자 권한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함 7. 컨트랙트를 변경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는 옵션이 있지만, 변경 불가능한 컨트랙트는 변경 가능한 컨트랙트에 의존할 수 없음. 업그레이드 가능한 외부 오라클을 호출하려면 자신의 컨트랙트도 업그레이드 가능해야 함 8. 그 외에도 Move는 (1) 지갑 서명자의 권한이 너무 커서, 어떤 지갑도 1건의 트랜잭션 서명으로 모든 자금을 잃을 수 있다는 점 (2) 블록 익스플로러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검증이 부족하다는 점 (3) 새로운 개발자가 온보딩할 수 있는 고품질의 프로덕션 코드 예제가 부족하다는 점 (4) 정형 검증이 관련될 경우, 감사 비용이 높다는 점 등 다양한 문제가 존재함
3 01920Loading...
24
🫡볼텍스게이밍 x 엑시 챔피언스 콜라보 이벤트 국내 최대 게임 미디어 커뮤니티인 인벤에서 만든 웹3 자회사인 볼텍스게이밍에서 웹3 게임인 ‘엑시 챔피언스’와의 콜라보레이션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이번 콜라보 이벤트에서는 200만원 상당의 경품이 제공되고, 참가자 전원에게 지급되는 기본 보상도 있다고 하네요! 이벤트 내용 · 기간 : ~ 6/10(월) 낮 12시 · 참여 방법 : 볼텍스게이밍의 미션 페이지 엑시 챔피언스 콜라보 미션 수행 · 보상 : 3,000 CUBE, 높은 등급의 챔피언을 뽑을 수 있는 골드 캡슐, 루비 골드 등 인게임 재화 및 아이템, VOR 포인트 · CUBE : 엑시 챔피언스의 핵심 재화, 각종 아이템 구매와 $AXS 토큰으로 교환 가능 · VOR 포인트 : 향후 $VRTX 토큰으로 교환 가능 엑시 챔피언스는 한국을 대표하는 퍼즐 게임 애니팡의 원년 개발진이 모여 만든 게임입니다. 한국 대표 퍼즐 게임의 개발진과 웹3 게임을 대표하는 엑시 인피니티 IP가 만난 게임이 한국 최대 게임 커뮤니티와 함께 진행하는 이벤트며 엑시 챔피언스는 NFT 및 유료 VPN이 없이도 플레이가 가능하고, 미션도 쉬워 간단하게 응모할 수 있습니다! 🔗 이벤트 참여: https://bit.ly/3yCmTn3 #NEAR #VORTEX #KOL
2 4932Loading...
25
😢점점 악화되는 크립토 시장의 포인트 중독 현상 source 1. 모두 이 중독을 멈추고 싶지만, 그럴 수 없음. 프로토콜 팀들은 에어드롭이 끝난 후 사용자가 dApp 사용을 중단할까 봐 걱정함 2. 에어드롭 발표 후 LayerZero의 거래량 감소를 보면 알 수 있음. Aevo 역시 에어드랍 이후 신규/재방문 예금자 수가 급락함. FriendTech의 Club 활동 또한 역대 최저 수준으로, 또 다른 프로그램 캠페인을 실행하여 또다시 Hype 돌려막기를 하려는 것은 놀랍지 않음 3. 개발자들 또한 이러한 급락 현상을 보고, 가능한 한 오랫동안 포인트 프로그램을 연장함. 시장 가치가 더 높은 시점에 출시하여 수수료 수익을 더 많이 창출할 수 있는 바나나 존에 들어가기를 기다리면서 말임 4. Hyperliquid는 포인트 프로그램을 4개월 더 연장한다고 발표했는데, 커뮤니티는 이에 분노하고 있음. Marginfi는 포인트 중독이 너무 심해져서 CEO가 사임해야 했음 5. 프로토콜 팀들을 이러한 결정을 비난하기는 어려움. 선택할 수 있는 많은 선물 프로토콜들이 (크게 다르지 않은) 있는 상황에서 트레이더들은 인센티브가 높은 곳에서 거래할 것임 6. 따라서 포인트 농사는 유기적인 프로토콜 사용을 왜곡함. 모든 인위적인 인센티브가 사라진 후에야 진정한 PMF을 확인할 수 있음 7. 그러나 모든 프로토콜이 포인트를 사용하고 있다면, 당신 또한 그것을 해야 함. 그렇지 않으면 처음부터 관심을 끌지조차 못할 것임 8. 긍정적인 점은, Jupiter는 에어드롭 이후에도 성장을 지속한다는 것(추가 $JUP 에어드롭 라운드가 예정되어 있지만, 6개월 이상 남음) 9. 어느 시점에서는 이 크립토 씬과 빌더&팀들이 이 중독을 멈추고 금단의 결과에 직면해야 할 것임. 이미 명확한 사실은 다음과 같음: 1)유통량이 적고 FDV(총 평가액)가 높은 토큰들은 하락세를 보임 2)커뮤니티는 끝없는 포인트 시스템에 지쳤음 3)에어드롭 프로그램이 끝난 프로토콜은 유기적인 사용자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10.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포인트가 토큰 판매로 위장되어 있으며, 더 불투명하다는 점임 11. 플랫폼에서 거래하면서 수수료를 지불하여 포인트를 획득함. 나중에 그 포인트가 토큰으로 전환되지만, 내부자만이 'ICO' 참가자에게 할당된 총 공급량의 비율을 알고 있음 12. 안타깝지만, 그렇다고 현재 시점에서 포인트 시스템을 대체할만한 명확한 대안이 존재하는 것도 아님
7 43165Loading...
26
🤔전통 금융과 비교한 크립토 밸류에이션 source TL;DR: Yes, valuation can sometimes be a bit crazy 1. $AAVE가 은행이었다면, 미국에서 가치 평가 기준으로 상위 100위 안에 들었을 것 2. 게이밍 체인 $IMX의 현재 시총은 탑 게임사인 Ubisoft보다도 높음 ($45.6억 vs $29.8억). 3. 솔라나 기반 DEX인 $JUP의 시총은 나스닥 운영사의 1/3 수준 4. $TON의 현재 가치는 Pinterest보다도 높음 ($332억 vs $283.5억). 5. $FIL이 ATH 시점 기준 시총은 $4000억에 달했으며, 이는 현재 인텔 가치의 두 배가 넘는 수준 6. $WLD의 시총은은 General Motors보다도 높음 7. $DOGE의 현재 시총은 Kellogg's보다도 높음 8. $LINK의 시총은 Robinhood보다도 높음
2 99537Loading...
27
👀모듈러 내러티브(thesis) 시즌 임박? source 현재 모듈러 관련 투심은 바닥을 치고 있지만, Celestia 생태계는 마침내 자리를 잡고 활기를 찾았으며, 몇 달 전부터 활동이 가속화되고 있음 1) 앞으로 몇 달 안에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Astria, Initia, Eclipse 등)의 첫 번째 물결이 시작됨 2) 연말 이전에 ZK 어카운트가 활성화되어 Celestia와 그 롤업 간의 신뢰 최소화 브리징이 가능해짐 (모듈러 머니 + 리스테이킹). 3) 이더리움 L2의 지속적인 채택과 함께 Bitcoin L2 생태계 내 초기 실험에서 Celestia를 DA로 사용하는 사례가 증가 ✍️여기에 더해, Solana가 몇 달 후 첫 L2(협력 프로세서 및 롤앱) 출시를 하게 되면서 모듈러 thesis가 더욱 입증될 것. TIA 고점 이후로 모듈러 thesis는 몇 달 동안 어려움을 겪었으며, 초기 hype 랠리는 가장 취약한 시기임. 그 이후 Celestia가 거대한 에어드롭 농장에 불과하다고 생각하고 관심을 끊었다면, 앞으로 다가올 일들에 놀랄 수 있음
7 19660Loading...
28
🪙 맨틀 네트워크: yield farming 최적화 체인 source Mantle 생태계 다섯 가지의 핵심 프로덕트: Ethena, Pendle, IntentX, Catizen, mETH 1. Ethena - USDe라는 스테이블코인을 제공하며, 포인트 프로그램 발표와 함께 엄청난 인기를 얻으며 $2B TVL를 돌파 - 1단계 shards 에어드랍은 성황리에 종료됐으며, 2단계 sats 에어드랍이 진행 중 - 맨틀에서 sats 프로그램을 통해 sats와 EIGEN 포인트를 모두 얻을 수 있음 2. IntentX - 곧 TGE가 시작됨. Galxe 캠페인을 완료한 사용자는 Galxe 포인트, xINTX 포인트, NFT를 받게 됨 - 맨틀로부터 250K MNT 보조금을 받았으며, 해당 보조금은 거래 수수료 환급 및 MNT Blitz 미니게임에 활용될 예정 3. Catizen - 텔레그램 기반의 고양이 테마 게임으로 크립토의 트래픽 허브가 되는 것이 목표 - 플레이 to 에어드랍 구조로 많은 유저를 유치함. 이들이 다양한 캣티즌 게임에 참여하여 vKitty를 얻어 에어드롭을 청구하는 구조 - 보조금으로 230K MNT가 할당됐으며 낚시, 가스 보조금 청구, 계정 충전 등 보상으로 사용됨 4. mETH - 맨틀 기반의 LST로, 현재 표준인 3%보다 살짝 높은 수익률 제공 + Eigen 포인트 얻을 수 있음 - 맨틀은 아이겐레이어와 100K mETH를 리스테이킹하여 상당한 양의 EIGEN 포인트를 획득 중(한때 EN 포인트의 3위 수익원) - 해당 포인트는 mETH 홀더에 모두 분배될 것이며 Pendle, INIT 등 디앱에도 배포될 예정 ✍️최근 맨틀이 디파이 일드파밍 최적화 체인을 타깃하면서 크립토 유동성 유치에 심기일전하는 모습. 과거 디파이/파밍 특화체인으로 브랜딩된 팬텀의 시장 진출 전략과 유사. 과연 맨틀은 성공한 팬텀이 될 수 있을지..? #MNT #KOL
2 69322Loading...
29
👀Misha가 예상(희망)하는 향후 웹3 대중화 과정 source 2024년 -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ETF 승인 ✔️ 2025년 - 자산 토큰화의 메인스트림 진입 2025년 - 스테이블코인이 글로벌 결제의 표준이 됨 2025년 - GPU 및 AI 기술 스택의 탈중앙화 2025년 - 블록체인 인증이 딥페이크 방지에 배치됨 2025년 - 주요 아티스트들이 이벤트 티켓팅 및 팬 참여를 위해 NFT 사용 시작 2026년 - 웹3 소셜 플랫폼이 특정 주제(음악, 뉴스, 스포츠, 기술 등)에 집중하여 사용자들이 몰림 2026년 - NFT가 마케팅 도구로서 표준이 됨 2027년 - 주요 국가 기관들이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ZK 기술 배치 2028년 - LA 올림픽에서 블록체인/웹3를 사용하여 게임 관리 2029년 - 전체 금융/은행 업계가 블록체인으로 전환 2030년 - 중소기업청이 자금 조달 메커니즘으로 토큰 전면 채택
3 92258Loading...
30
✍️Minty의 크립토 내러티브 티어리스트 source 1. S Tier - AI- TAO, RNDR, NMT 2. A Tier - Memes: PEPE, MOG, APU, BONK - RWA: ONDO, Pendle - Infra: LINK, SAFE, NEAR, GEL 3. B Tier - ETH Beta: ENS, ETHFI, ARB, Metis, LDO - DePin: AR, AKT, HNT, NOS, RDNR - GameFi: MAGIC, RON, PRIME, SKL, DMT - Runes: DOG, PUP 4. C Tier - Stablecoins: ENA, MKR, LQTY - Lending: Morpho, Kamino, - Restaking: KELP, SD, REZ - Derivatives: GMX, SNX, DRIFT, GEAR - MEV: UMA, JTO, FOLD - Modularity: TIA, DYM - SocialFi: Friend, Degen - GambleFi: RLB, Azuro, WINR 5. D Tier - DEX - DeSci - Launchpads - Privacy - NFTFi
7 278164Loading...
31
😎저스틴 본즈의 TOP 50 크립토 평가: 희망편 source BTC = 모든 것을 시작한 자유의 상징 ETH = 프로그래머빌리티를 발명 USDT =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다 BNB = 대중을 온보딩 SOL = 병렬화를 통한 확장성 USDC = USDT의 존경할 만한 대안 XRP = SEC와의 소송에서 승리 DOGE = 대중화에 도움 TON = 텔레그램과 샤딩을 통한 대중화 ADA = 탈중앙화를 측정 AVAX = 사전 합의를 통해 빠른 속도 구현 SHIB = 사람들이 가스비를 배우게 함 DOT = 최고 수준의 탈중앙화 거버넌스 LINK = 암호화폐와 현실 세계를 연결하다 TRX = 극빈층 송금 지원 BCH = 선도적인 비트코인 NEAR = 샤딩을 통한 글로벌 규모 MATIC = 선구적인 ZK 기술 LTC = BTC 클론에 프라이버시 추가 PEPE = 목소리를 낼 수 없는 사람들에게 목소리를 주다 ICP = 역경 극복 UNI = 탈중앙화 거래소 활성화 LEO = 부채 상환 DAI = 신뢰가 필요 없고 탈중앙화된 안정적인 가치 ETC = 포크는 프리덤입니다 RNDR = 탈중앙화 컴퓨팅 APT = 확장 가능한 열린 생태계 HBAR = 비즈니스와 좋은 관계 구축 IMX = 크립토 게임 지원 ATOM = 시대를 앞서가는 확장성 및 상호 운용성 MNT = 장기적인 자금 조달을 위한 대규모 트레저리 FDUSD = 사람들을 지원하는 스테이블코인 FIL = 데이터 분배로 역사를 미래로부터 보호 CRO = 오프라인 소매업 활성화 XLM = 개발도상국 지원 KAS = DAG 기술을 통한 글로벌 확장 ARB = 사기 증명으로 사용자 주권 보호 GRT = DAPS를 위한 데이터 인덱싱 TAO = 컴퓨팅 촉진 STX = 비트코인의 희망과 꿈에 불을 지피다 WIF = DEX 거래량 증가 OP = 코인베이스의 자체 L2 구축 지원 AR = 역사는 더 이상 승자에 의해 쓰여지지 않습니다 XMR = 프라이버시를 위한 싸움; 진짜 사이퍼펑크들 VET = 기업의 공급망 지원 MKR = DAO의 작동 원리 입증 SUI = 사용성을 높이는 객체 중심 모델 INJ = 생태계 구축 THETA = 클라우드 탈중앙화
3 47456Loading...
32
🤔크립토 킬러 유즈 케이스: 퍼블리셔-익스체인지 source 인스타그램에서 좋아하는 인플루언서가 입고 있는 후디를 보고 몇 초 만에 앱을 나가지 않고 구매하는 것처럼, 콘텐츠와 상거래를 결합하여 거래를 원활하고 몰입감 있게 만드는 "퍼블리셔-익스체인지"의 시대 1. 퍼블리셔-익스체인지란? - 퍼블리셔: 사용자 관심을 끌어모으는 플랫폼 (예: 인스타그램, 유튜브, 스포티파이). - 익스체인지: 자금의 흐름을 통제하는 플랫폼 (예: 페이팔, 코인베이스). - 퍼블리셔-익스체인지는 이러한 역할을 결합, 사용자가 플랫폼에서 직접 참여하고 거래할 수 있게 함 2. 퍼블리셔-익스체인지의 예 - 스포티파이 머치 바: 아티스트가 스포티파이에서 직접 상품을 판매 - 인스타그램 라이브 쇼핑: 인플루언서가 라이브 스트리밍 중에 제품 판매 - 틱톡 샵: 크리에이터가 동영상과 함께 제품을 판매 - 유튜브 쇼핑: 쇼피파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라이브 스트리밍과 동영상에서 제품 판매 - 스냅챗 AR 필터: 사용자가 제품을 가상으로 착용하고 앱 내에서 바로 구매 - 트렌드 상 모든 주요 플랫폼이 퍼블리셔-익스체인지로 변모하여 상거래를 사용자 경험에 통합하고 있으며, 이는 상당한 수익으로 나타남 3. 토큰의 역할 - 토큰은 정보처럼 즉각적이고 원활한 가치 교환을 가능하게 하여 이 모델을 향상 - 이는 새로운 사용자 참여 형태를 촉진하고 더 깊은 사용자 몰입을 제공 4. 소비자 크립토 앱의 예 - 프레임: 여러 앱을 원활하게 통합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경험 - 지갑 큐레이션: 지갑이 다양한 앱을 통합하고 프로토콜을 큐레이션하며 보상을 제공하여 UX 향상 - 소셜 및 게임 앱: Farcaster, Unlonely, Parallel과 같은 플랫폼은 소셜 상호작용과 금융 요소를 결합 5. Web3 퍼블리셔-익스체인지의 장점 - 프로토콜 발행 신용 (PIC): 사용자의 참여를 직접 보상하여 새로운 마케팅 전략 가능 - 향상된 프라이버시: Web3 인프라는 기존 플랫폼보다 더 많은 프라이버시와 중립성을 제공 - 통합된 보상: 암호화폐를 통한 더 쉬운 가치 교환과 소규모 단위 거래로 새로운 사용 사례 촉진 6. Web2 플랫폼이 크립토를 채택하는 이유 - 인구 통계적 일치: 증가하는 암호화폐 사용자 기반이 퍼블리셔-익스체인지 사용자와 겹침 - 통합된 보상 시스템: 암호화폐의 가치 교환이 더 쉬워 새로운 보상 메커니즘 가능 - 신뢰성 있는 중립성과 프라이버시: 스마트 계약은 중립성을 제공하고, 프라이빗 결제 기술은 신중함이 필요한 산업에 적합 ✍️퍼블리셔-익스체인지는 전자 상거래의 미래이며, Web3는 돈과 관심을 원활하게 통합하는 고유의 장점을 제공함. Web3 인프라가 성숙해지면 전통적인 플랫폼에서도 더 많은 채택이 이루어져 암호화폐의 다음 물결을 주도할 것
2 39616Loading...
33
🪙 맨틀(MNT) 생태계 핵심 DEX: Merchant Moe 현황 source - 맨틀의 '머천트 모'는 아발란체의 '트레이더 조'를 오마주, 생태계 핵심 DEX로 기능하고 있음 - 지난 한 달간 TVL이 약 74% 늘었으며, 수수료 발생도 크게 증가하는 추세 - 이는 높은 초기 APR + 에어드롭 기대감에 이끌린 디파이 농부들로 인한 현상 1. 맨틀의 유동성 허브인 머천트 모는 최근 MDMA(Moe's Dynamic Maker Awards) 이니셔티브를 도입했으며, 현재 진행 중인 Moe Journey's SZN3에는 250,000 MNT가 에어드랍에 할당됨 2. 시장 가격이 변동할 때 'MDMA 레인지'는 빠르게 적응하여 유동성 기반 보상을 보장, 활성 가격 구간에서 depth를 유지·강화함. 따라서 파밍을 보다 효율화하고, SZN3 기간에는 MNT와 MOE 수익이 더욱 증대됨 3. MOE 스테이커를 위한 별도의 MNT 보상 또한 받을 수 있음. MOE 스테이커는 $mETH로 수집된 프로토콜 수익의 100%가 할당됨(앞서 $mETH을 사용한 유저는 EIGEN, ENA 에어드랍을 받은 바도 있음) + 현재 맨틀은 멘틀의 핵심 DEX인 머천트 모를 체험해 보는디파이 파라다이스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기도 함 #MNT #KOL
2 2479Loading...
34
클레바 2달만에 등장 "프로젝트 중단 고려되고 있지 않아" "서비스의 출시 및 운영 방향성 검토가 길어져" #KLEVA
2 0882Loading...
35
💩온체인 디파이 투자 특징 "지뢰찾기" source "온체인 투자? 돈 벌기가 이렇게 쉬웠나 느낌. 단, 지뢰를 밟기 전까지" 1. 토큰을 예치하고 에어드랍 포인트를 획득하는 건 매우 높은 이율로 돈이 복사가 됨. 모든 것이 순조로워 보이지만, 그러다 갑자기 터지기 십상임 2. 해킹이나 러그 풀 등 언젠가 지뢰를 밟을 수밖에 없음. 모아 온 돈을 크게 잃게 되고, 최악의 경우는 재산에 곱하기 0이 됨 3. DeFi 해킹으로 $10k를 잃는 것이 밈 코인 거래로 같은 금액을 잃는 것보다 훨씬 더 마음이 아픔. 아직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했다면, 당신은 운이 좋은 것 4. 필자 또한 비교적 운이 좋았음. 마지막으로 당했던 것은 Terra의 UST 지뢰였고, 이번엔 Alex에 당했음. 그나마 다행인 것은 Alex는 모든 사용자에게 일부 보상을 제공할 예정라는 점 5. 가장 공고하다고 인식되는 메이저 DeFi 프로토콜조차 해킹당할 수 있음. 온체인 투자에 안전한 세이프 존은 어디에도 없음 6. 디파이 투자의 제1원칙은 절대로 모든 돈을 하나의 프로토콜에 예치하지 말라는 것임. 프로토콜 분산 투자는 더 안전하면서도 더 많은 에어드랍을 받을 수 있음 7. 그나마 좋은 소식은 DeFi 프로토콜이 스마트 컨트랙트 익스플로잇에 대해 더 견고해졌다는 것임 8. 그러나 그만큼 개인 키와 기타 오프체인 관련 해킹 사례가 점점 많아지고 있음. 개인 투자자 입장에서는 어떤 프로토콜이 키를 제대로 보호하는지 확인하기란 거의 불가능함 9. 탈중앙화를 자처하는 블록체인 산업에서 다수의 L2/L3가 단일 멀티시그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는 것은 무서우면서 아이러니함 10. 포인트 파밍 게임 등 디파이는 너무나 재미있음. 돈이 너무 쉽게 복사가 되니까. 물론, 당신이 지뢰를 밟기 전까지만 😇저도 적지 않을 자산을 디파이에 두고 있지만, 언제든 0이 되어도 이상하지 않은 돈이라는 경각심을 갖고 있습니다.
2 79829Loading...
36
🔹이더리움 ETF의 승인 임박과 세 가지 중요한 영향 source - ETF에 ETH 스테이킹이 포함되지 않는 것은 매우 긍정적 - 규제 명확성이 자금 유입보다 더 큰 가격 상승 요인 - ETH ETF는 다른 L1이 아닌 ETH에 이익을 줌 1. ETF에 ETH 스테이킹이 없는 것이 왜 좋을까요? - ETF가 ETH를 스테이킹할 수 있다면, 스테이킹 수익률이 희석돼 솔로 스테이킹의 매력도가 떨어짐 - ETF 스테이킹은 중앙 집중화될 수 있으며, 이는 BTC 채굴과 유사한 문제를 초래함 - SEC는 역설적으로 탈중앙화된 스테이킹 설계를 촉진하고 있음 2. 규제 명확성이 자금 유입보다 더 중요한 가격 상승 요인 - ETH가 상품으로 인정받으면 기관 투자자들이 ETH를 기반으로 자산을 토큰화할 수 있음 - 이를 통해 더 많은 자본과 애플리케이션이 생태계로 유입됨 - BTC는 ETF 자금 유입이 가격 상승의 주요 요인인 반면, ETH는 더 많은 사용자와 자본을 통해 성장할 것 3. ETH ETF는 다른 L1이 아닌 ETH에 이익을 줌 - ETH는 올바른 방법으로 확장하고 지속 가능한 통화 정책을 구축하면서도 오랫동안 저평가되어 왔음 - 이제 ETH를 폄하하면서 보편성을 추구했던 동일한 다른 L1들이 ETF 승인을 바라보게 됨 ✍️이제는 ETH가 기관의 주목을 받을 차례임. 탈중앙화, 보안, 모듈화된 확장을 우선시하는 긴 여정이 SEC의 승인을 받은 플랫폼을 제공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전 세계 자산을 토큰화하고 금융 시스템을 재편할 수 있음
5 07951Loading...
37
😎GCRClassic의 7가지 크립토 시장 분석 source 1. 현재 사이클의 특징 - 비트코인은 ATH를 경신했지만, 알트코인 시즌은 아직 오지 않았음. - 이더리움은 크립토 트위터(CT)에서 저평가된 상태 - 오래된 코인들이 펌핑되고 있고, FDV는 더 이상 밈이 아님 2. 다음 불장의 연료: 중국과 아시아 - 다음 랠리는 아시아가 주도될 것으로 예상 - 홍콩이 첫 번째 현물 ETF를 승인하는 등 조짐이 보이고 있음 3. 탈중앙화 카지노 - 인간의 절망, 탐욕, 폰지 사기 의존도가 증가할 것 - 2023년에는 카지노 코인의 부상을 목격함 - 최근 GME 랠리는 이 트렌드의 지속성을 보여줌 4. Web4 진화 - 토큰 기반 경제가 '사람들'을 중심으로 전개될 것 - Friend Tech v2는 개인 및 커뮤니티에 대한 투자를 가능하게 함 5. NFT 부활 - 2022년 초 알트코인이 NFT에 비해 과대평가되었다고 관찰함 - NFT 토큰화가 알트코인 볼륨을 잠식할 것으로 예상 - 다음에 어떤 형태가 지배할지는 불확실함. AgentFi가 중요해질 수 있음 6. 이더리움 10k - BTC와 ETH만 보유해도 대부분의 트레이더를 능가할 수 있음 - 이더리움 10,000달러 돌파는 사실상 예정된 일 7. 2024년 시장 예측 - '5월에 팔고 떠나라'는 트렌드에 반대하며 항복에 대해 경고 - 높은 확신의 토큰으로의 규모 확장을 제안 - 코인 100%인 투자자에게는 현물 포지션 유지를 권장
5 48577Loading...
38
크립토 프로젝트는 운영진과 커뮤니티가 함께 프로젝트의 미래를 결정하는 탈중앙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이러한 요소는 커뮤니티를 단순히 사용자나 투자자들의 집합이 아닌, 프로젝트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게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한국 시장에 존재하는 다양한 커뮤니티를 분석하는 것은 한국 시장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작업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 크립토 커뮤니티만의 독특한 성향과 트렌드를 데이터를 통해 다각도로 분석하여 급변하는 크립토 시장 속 한국 투자자들의 움직임을 살펴보겠습니다. https://research.despread.io/kr-di-03
1 8674Loading...
39
👀코인 불장의 정점 - 2024년 또는 2025년 이후? source 주목해야 할 주요 포인트 - 금리 + 매크로 정책 - 글로벌 유동성 / M2 - 비트코인 대 알트코인 퍼포먼스 - 크립토에 대한 사회적 관심 - 정치/선거의 영향 - 이더리움 ETF 및 토큰화 개발 ❗️2024년 정점설을 지지하는 증거 1. 낮은 사회적 관심도 - $BTC의 새로운 최고가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관심이 여전히 낮음 - 알트코인의 성장에 필요한 주류의 관심이 부족함 - $BTC는 슈퍼 사이클에 들어갈 수 있지만, 알트코인은 모멘텀을 잃을 수 있음 2. 국채 수익률 스프레드 - 역전된 수익률 곡선은 신뢰할 수 있게 경기 침체를 예고함 - 과거 사례 (1948년, 1966년, 2000년)에서 시장 정점은 선거 연도에 발생함 3. 4월 및 4분기 패턴 - 선거 연도의 4월은 $BTC 반감기와 일치하며, 보통 4월에 지역 정점을 형성하고 4분기에 이를 초과함 - 2013년, 2021년에 발생한 패턴이 2024년에도 반복될 가능성이 있음 4. 금리 인하 + BTC 지배력 - 금리 인하와 함께 $BTC 지배력이 상승하면 보통 약 6개월 동안 시장이 냉각됨 - 자본이 위험한 소형 자산으로 이동하여 시장이 불안정해질 수 있음 💪2025년 이후 정점설을 지지하는 증거 1. 사이클 저점에서의 $BTC ROI - 현재 사이클의 ROI는 이전 사이클에 비해 성장할 여지가 큼 - 500일 동안 이 사이클의 ROI는 4.4배로, 이전 어느 사이클보다 높음 - 이는 현재 사이클이 가속화된 성장 추세를 나타냄 2. 시장 사이클 정점 이후의 ROI - 2021년 4월 정점을 참고로 분석한 결과, 과거 사이클에 비해 상당히 앞서 있음 - 현재 단계에서 $BTC가 이전 사이클과 유사한 패턴을 따른다면, Q4 2025년에 정점을 찍을 가능성이 있음 3. ALT/BTC 트렌드 - $BTC를 제외한 시장의 시가총액 비율(Total 3 - USDT)이 2025년 이후 정점을 시사함 - 과거 사이클에서 시장 정점은 ALT/BTC 비율이 0.25 이하로 떨어질 때 발생 4. 실업률 - 실업률이 상승하기 시작했지만, 과거 사이클에서 볼 수 있었던 높은 수준에 도달하지 않을 수 있음 - 실업률 상승은 연준이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하하도록 만들 수 있음 - $BTC는 실업률이 상승할 때 가치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지만, 2020년 코로나19 경기 침체 동안에는 증가함 ✍️TLDR 이번 사이클의 정점은 2024년 3분기/4분기 상황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높음. 고점 아래에서 횡보하는 기간이 지속된다면 2025년 이상 고점에 대한 근거가 강화됨. 반대로 큰 패러다임의 변화 없이 빠른 랠리를 보인다면 조기 정점을 시사함
3 47374Loading...
40
🤨DonAlt vs Ansem: 온체인 데이터 기반 시장 분석 source DonAlt: 이번 사이클은 끝났으며, 이제부터는 슬픈 시기만 남았다. Ansem: 파티는 아직 시작되지 않았고, 모두에게 백만장자가 될 기회가 있다. ✍️ 시장 다이나믹 - 시장은 역동적이며, 과거에 작동했던 것이 오늘날에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음 - 선택한 지표는 주관적으로 관련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것들로, 체리 피킹(편향적 선택)하지 않음 - 비트코인을 기준으로 분석, 비트코인이 여전히 시장의 왕이기 때문 1. 비트코인 시장 지배력 - 비트코인의 시장 점유율이 높아졌다가 빠르게 하락하면 불장이 끝나가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음 - 현재는 여전히 상승 여력이 있어 보임. Ansem에 한 표 2. MVRV Z-스코어 - 비트코인의 현재 시장 가치를 과거 평균 가치와 비교. 사이클의 정점은 보통 6 이상에서 발생 - 아직 성장 여력이 있어 보임. Ansem에 한 표 3. Puell Multiple - 새로 채굴된 코인의 가치를 평소의 양과 비교. 높은 값은 채굴자들이 많은 수익을 얻고 있다는 의미로, 보통 사이클의 정점과 일치 - 이전 사이클에서는 두 번의 급등이 있었으며, 이번 사이클은 첫 번째 급등을 완료한 상태. Ansem에 한 표 4. RHODL 비율 - 최근에 구매한 코인의 평균 가격을 1-2년 전에 구매한 코인의 평균 가격과 비교. 최근 구매자가 장기 보유자보다 훨씬 더 많은 돈을 지불하고 있다면 시장이 정점에 도달했을 수 있음 - 현재는 정점에 가까운 상태로 보임. DonAlt에 한 표. 5. NUPL (순 미실현 이익/손실) - 지금 모든 코인을 팔면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는지 분석. 상승 여력이 더 있을 수 있음. 무승부 6. 코호트 분석 (HODL 웨이브/실현 시가 HODL 웨이브) - 최근 구매자와 장기 보유자가 얼마나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는지 분석 - 최근 구매자가 많아지면 패닉 셀 가능성이 높아짐. 아직 상승 여력이 있음. Ansem에 한 표. 7. CVDD - 오랜 기간 보유된 코인이 얼마나 많이 이동하는지 분석. 오래된 코인이 한 번에 많이 이동하면 시장이 정점에 도달했을 수 있음 - 현재 상황은 좋지 않음. DonAlt에 한 표 8. 비트코인 유동 공급 비율 (LSR) - 장기 보유 비트코인이 줄어들면 불런이 끝나가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음 - 현재 사이클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것 같지만, 얼마나 오래 지속될지는 불확실. 무승부 9. 비트코인 채굴자 수익률 (RPH) - 채굴자들이 작업으로 벌어들이는 수익을 보여줌 -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전 두 번의 정점은 채굴자들이 TH/s당 약 $0.3을 얻었을 때 발생. Ansem에 한 표
2 79926Loading...
Фото недоступноПоказать в Telegram
✍️크립토 프로덕트 개발에서 흔히 저지르는 실수들 source 1. UX가 bottle-neck이라는 오해 - 웹3의 UX가 완벽하진 않지만, 대체로 충분함 - 진정으로 유용한 제품을 만드는 것이 진짜 문제 - 물론, 온/오프 램프 및 브리징의 UX는 중요함 - 많은 앱들이 훌륭한 UX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다시 사용되지 않음 2. 시장 세분화를 잘못 정의함 - 개발자들이 "사용자"를 단순히 돈을 벌고 싶어 하는 사람들로 일반화하는 경향 - 목표 시장을 신중하게 선택하고 정의해야 함. 사용자의 피드백이 매우 중요 - "더 이상 내 제품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면 매우 실망할 사람은 누구인가?"를 고려하기 3. 소셜/마케팅을 인턴이나 에이전시에 위임 - 마케팅과 제품 개발은 밀접하게 연결됨 - 시장을 이해하고, 차이를 구별하고, 솔루션을 구축하기 - 제품을 효과적으로 마케팅하지 못하면 사용자에게 도달할 수 없음 - 인턴에게 소셜/마케팅을 위임해선 안 됨. 이러한 업무는 회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 4. 기존 웹2 아이디어에 웹3 얹기 - 웹2 아이디어에 단순히 웹3를 붙이는 것은 의미가 없음 - 시장 격차에서부터 역으로 접근해야 함. 실제 문제를 식별하고 솔루션을 구축하기 - 기성의 생각을 복제하는 대신 혁신이나 명확한 차별화를 추구 5. 기존 사용자 수 때문에 기초 체인에 지나치게 집중 - 특히 DeFi에서는 사용자 수 때문에 체인을 선택하는 것이 잘못될 수 있음 - 단순히 그들이 있는 체인이 아닌, 사용자가 직면한 문제에 따라 시장을 정의해야 함 - 일시적인 사용자 인센티브 때문에 확장 불가능한 플랫폼에 구축하는 것을 피해야 함 6. 깊이 생각하지 않고 트렌드를 따름 - 기본 원칙에 대한 생각 없이 현재 트렌드를 맹목적으로 따름 - 명확한 이유 없이 NFT 프로젝트에 스테이킹을 추가하거나 다른 회사들이 포인트를 도입하는 경우 - 크립토 산업은 새로운 기회로 가득 차 있으므로 대담하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추구해야 함
Показать все...
1
Фото недоступноПоказать в Telegram
👀난센 CEO가 말하는 TOP 20위 코인 source 1. 상위 20위에서 나가야 하는 체인 - XRP - Cardano - Bitcoin Cash 2. 그 대신 올라가야 하는 체인 - Polygon - Aptos - Ronin ✍️요즘 크립토 트위터에서 XRP에 대한 비판(조롱?)의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는데, 저점 시그널인지 종말의 진혼곡인지 잘 모르겠음...
Показать все...
Фото недоступноПоказать в Telegram
💰 이더리움을 전통 금융에 홍보하기 위한 6가지 내러티브 source 1. "토큰화 플랫폼"- 내러티브 등급 B - 토큰화는 금융 시장에서 마찰과 비용을 크게 줄이고, 접근성과 유동성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 - 이는 이더리움을 세계적인 토큰화 자산 플랫폼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전통 금융 참여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 - 그러나 규제 불확실성이 일부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음 2. "온체인 앱 스토어" - 내러티브 등급: C - 이더리움은 고도로 표현력 있는 스마트 계약을 통해 애플 앱 스토어와 같은 온체인 앱 스토어 역할을 함 - ETH는 가스 요금을 지불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는 주주에게 배당되는 암호화폐 네이티브 주식 환매 버전과 같음 3. "인터넷 채권" - 내러티브 등급: C - 이더리움의 스테이킹 스키마는 고정 수익 상품과 유사하며, 투자자는 32 ETH를 스테이킹하여 보상을 받음 - 하지만 스테이킹이 포함되지 않은 현물 ETF는 이 서사가 투자자에게 매력적이지 않을 수 있음 4. "울트라 사운드 머니" - 내러티브 등급: D - ETH 공급은 블록 수요 증가와 함께 감소할 수 있으며, 이는 우수한 가치 저장 특성을 부여할 수 있음 - 만약 인플레이션이 계속될 경우 이 서사는 매력이 떨어질 수 있음 5. "디지털 오일" - 내러티브 등급: D - 이더리움의 온체인 애플리케이션 사용은 ETH의 가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됨 - 그러나 전통 금융 참여자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음 6. "인터넷 머니" - 내러티브 등급: F - ETH는 많은 사람들이 가치를 저장하고 결제에 사용하는 네이티브 "인터넷 머니"임 - 다만 전통 금융 투자자에게는 매력적이지 않을 수 있음 ✍️6가지 내러티브 중 어느 것도 단독으로 투자자를 유치하는 데 완벽한 해결책은 아님. 이더리움의 전체 네트워크를 이해하는 것이 이 기술의 혁신적인 영향을 완전히 이해하는 데 필요함. 토큰화의 개념이 블록 공간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이는 이더리움을 온체인 앱 스토어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 규제 명확성이 필요하지만, 울트라 사운드 머니 서사는 정책 입안자가 글로벌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디플레이션 정책을 선택할 경우 유력한 서사로 자리 잡을 수 있음
Показать все...
6
Фото недоступноПоказать в Telegram
🧑‍💻온체인 평판(On-chain Reputation)의 중요성 source
온체인 평판은 탈중앙화 시스템에서 우리가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방법. 중앙화된 시스템에서는 제3자가 신뢰를 보증하지만, 탈중앙화된 시스템에서는 이를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까?
1. 탈중앙화 정체성을 주류로 만들기 위한 방법론 - 사람들의 오프체인 경험과 소속을 온체인에 매핑하는 시스템 구축 - 온체인에 추가될 데이터 표준화, 처리 및 우선순위 매기기 - 온체인 기록에 대한 맥락 부족 문제와 탈중앙화 웹 접근 문제 해결 2. 온체인 평판 시스템의 핵심 단계 a) 데이터를 온체인에 기록 b) 데이터를 매핑하고 해석 c) "평판 점수"로 변환 3. 표준화된 평판 시스템 - 온체인 평판이 성공하려면 표준화된 시스템이 필요. 예를 들어, FICO 점수나 Google 페이지 랭크와 같은 평판 점수를 만들 수 있음. 지갑은 위험한 주소에 대한 경고를 제공하여 사기 방지 메커니즘으로 사용할 수 있음 4. 주요 프로젝트 - Debank: Debank Credit 점수를 통해 사용자 활동성, 진정성 및 가치를 종합적으로 측정 - Gitcoin Passport: 신원 확인 집계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 활동을 검증하는 여러 웹2 및 웹3 인증기관에서 스탬프를 모아 사용자의 신뢰도를 측정 - Ethos Network: 신뢰 플랫폼 사용자가 사람들에게 스테이킹하여 신뢰를 표시하고, 악성 행위자는 패널티를 받음 5. 실질적인 사용 사례 - 오픈 이력서: 모든 기여와 활동을 기록하여 평판 증거로 사용할 수 있음 - 유명인 토큰: 유명인의 신뢰 프로필을 빠르게 평가하여 사기를 예방 - 밈 개발자: 사기성 밈 개발자를 식별하여 사용자 위험 평가에 도움을 줌 - KOL 덤핑: KOL의 신뢰성을 평가하여 팔로워를 보호 - 로열티 프로그램: 고품질 상호작용을 보상하는 맞춤 프로그램 개발
Показать все...
6
Фото недоступноПоказать в Telegram
💰 우리는 왜 이더리움을 사용해야만 하는가? source 1.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에 새롭게 입문한 사람들은 "더 빠르다고 알려진 다른 체인이 있는데 왜 이더리움을 사용해야 할까?"라는 질문을 할 수 있음. 이에 대한 이유는 다소 철학적이며, "어떤 세상에서 살고 싶은가?"라는 질문으로 귀결됨 2. 암호화폐는 사람들이 은행을 신뢰했지만, 은행이 우리의 저축을 비밀리에 카지노처럼 사용했다는 철학적 동기로부터 시작됨.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불투명하고 검증이 불가능함. 우리는 그들이 올바른 일을 한다고 그냥 믿어야 함 3. 비트코인과 더 넓게는 암호화폐는 일반 사람들이 집에서 보통의 컴퓨터와 인터넷 연결로 완전히 검증할 수 있는, 궁극적으로 민주적이고 접근 가능하며 포괄적인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 생성됨. 비트코인에서는 채굴자들이, 이더리움에서는 검증자들이 네트워크를 제어하지 않습니다. 풀 노드가 네트워크를 제어하며, 누구나 스테이킹 없이도 풀 노드를 운영할 수 있음 4. 이더리움은 노드 요구 사항을 설정할 때 비트코인으로부터 이 중요한 접근성 특성을 보호하고 계승함. 이는 이더리움을 모든 인류가 접근할 수 있도록 유지하기 위한 것임. 이더리움은 당신이 집에서 직접 검증할 수 있고, 제3자를 신뢰할 필요 없이 최종 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금융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음. 풀 노드 운영은 점점 더 쉬워지고 있으며 이는 연고주의를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함 5. ZK와 옵티미스틱 롤업의 발전 덕분에, 접근성을 유지하면서도 zk 처리 또는 신뢰 가정을 추가하여 이더리움의 기능을 새로운 극한으로 확장할 수 있음. 실패 시에도 매우 합리적인 대안 또는 탈출구(예: 이더리움 L1 자체)를 제공함 6. 이더리움의 롤업 프로젝트들은 이러한 가치와 미래를 믿기 때문에 존재함. 이더리움의 확장 환경에서 발생하는 조각화와 보안 구현 문제를 해결하고, 궁극적인 블록체인 종착점을 완성할 것임. 이는 저렴하고 빠른 거래 이상의 문제로, 모든 인간의 금융 및 개인 주권의 운명과 관련됨. 시장의 선택에 따라 여러 L1들이 나타나고 사라지더라도, 우리는 여전히 이더리움과 완전히 검증 가능한 미래를 선택할 것
Показать все...
21
Фото недоступноПоказать в Telegram
💡크립토와 새로운 마켓플레이스의 탄생 source 1. 세계에서 가장 큰 기업들은 네트워크 효과를 기반으로 한 마켓플레이스로, 아마존($1.9T), 메타($1.2T), 텐센트($459B) 등이 있음. 이들 기업은 공급과 수요를 집계하며, 이를 더 많이 통제할수록 네트워크의 가치가 높아짐 2. 크립토도 마찬가지. 비트코인($1.4T), 솔라나($79B), 이더리움($460B)과 같은 최고 가치 네트워크는 개발자, 사용자, 네트워크 운영자로 구성된 다면적 네트워크로, 확장될수록 더 가치가 높아짐 3. 웹2 마켓플레이스는 목록화 시대에서 "우버 포 엑스" 시대, 관리된 마켓플레이스로 진화함. 그러나 각 시대는 신기술 또는 새로운 시장 요구에 대응하면서도 혁신을 제한하는 도전 과제를 동반함 4. 전통적인 웹2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하고 확장하는 데는 막대한 비용이 듦. 이는 새로운 플레이어에게 장벽이 되며, 많은 자본이 필요해 전체 마켓플레이스 카테고리가 구축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음 5. 일부 산업에서는 마켓플레이스 참가자 간의 높은 신뢰 수준이 필요함. 이를 위해 관리된 마켓플레이스는 추가 서비스와 운영 레이어를 구축함. 이는 높은 운영 비용을 초래하며, 다양한 마켓플레이스가 동일한 노력을 중복하게 되어 비효율성이 발생함 6. 암호화폐는 세 가지 주요 능력을 통해 새로운 마켓플레이스 혁신의 잠재력을 열어줌:
a) 확장성: 암호화폐는 토큰 인센티브를 통해 성장할 수 있음. Helium과 Hivemapper는 토큰 인센티브를 통해 초기 공급 측면을 부트스트랩함 b) 온체인 평판과 이력: 암호화폐는 휴대 가능한 평판 시스템을 제공함. Uber에서의 배경 조사가 온체인에 저장되어 Lyft에서도 동일한 정보가 사용될 수 있음. 이는 관리된 마켓플레이스의 비용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킴 c) 결제: 암호화폐는 국경 간 결제를 원활하게 지원함. 최근 구매한 NFT는 온체인 데이터 커뮤니티에서 분석 질문을 할 수 있게 해주고, 분석가는 토큰으로 보상을 받음
7. 암호화폐는 새로운 마켓플레이스의 다음 단계임. 토큰 인센티브를 활용해 더 자본 효율적으로 성장할 수 있음. 온체인 평판과 이력은 마켓플레이스 운영자의 오버헤드를 줄임. 암호화폐 기반 결제는 마켓플레이스가 처음부터 원활하게 글로벌하게 운영될 수 있게 함. 이 모든 것은 기존 마켓플레이스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비용 구조와 확장 전술로만 존재할 수 있는 새로운 마켓플레이스를 탄생시킬 것
Показать все...
8
Фото недоступноПоказать в Telegram
🌎아시아가 이끄는 다음 크립토 사이클: 국가별 특징 source 1. 대한민국 - 활발한 리테일 투자자 보유. 거래에 적극 참여하며, 알트코인이 거래량의 80%를 차지 - 인기 있는 크립토 기반 이스포츠, 새로운 P2E 게임 등장 - 스캔들 이후 투자자 보호 법률 강화. 이달에만 7개 가상자산 거래소가 규제로 인해 폐쇄 2. 필리핀 - Axie Infinity 같은 웹3 게임이 여전히 인기를 끌며, NFT를 얻기 위한 길드 형성 - 법정 통화로는 인정되지 않지만 거래는 허용. 중앙은행은 디지털 통화 파일럿 진행 중 - 블록체인 게임 채택의 중심지 허브로 인식 3. 홍콩 - 리테일 거래자들은 높은 레버리지를 사용하며 소셜 미디어에 영향 받음 - 암호화폐 거래소 통제 및 소비자 보호를 위한 새로운 규제 도입 - 암호화폐 ETF 상장, 홍콩을 규제된 디지털 자산 허브로 만들기 위한 노력 호주 - 비트코인보다 이더리움을 선호하며, 평균 지갑에 59.4%의 이더리움 보유. ETF로 인해 이더리움에 대한 관심 높음. - 지원ive 규제 환경으로 암호화폐 거래 및 혁신을 지원 4. 일본 - 정부는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웹3와 암호화폐 규제 완화 추진 - 뮤추얼 펀드는 암호화폐 보유 불가. 금융 회사들은 천천히 암호화폐 활동에 참여 5. 인도 - 자유송금제도를 통한 US 비트코인 ETF에 대한 관심 - 엄격한 세금 제도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 파생상품에 대한 수요 증가 - 정부는 CBDC를 추진하고, 해외 거래소에 대한 단속 강화 6. 싱가포르 - 주로 기관 시장으로 리테일 암호화폐 거래에 제한이 있음 - 블록체인 프로모션: 토큰화 및 국경 간 송금을 위한 블록체인 사용 촉진 - Project Guardian: 중앙은행의 주요 이니셔티브 7. 대만 - 비트코인 ETF가 화제지만, 현지 중개업체들은 주문을 받을 수 없음 - 비트코인 ETF 서비스를 재개하기 위한 규제 논의 중 8. 태국 - 2022년 가격 급락의 영향: 가격 하락과 현지 거래소 붕괴로 시장에 영향 - 새로운 정부는 태국을 디지털 자산 거래 허브로 만들기 위해 일부 세금 면제 - 새로운 진입자들로 인해 암호화폐 거래 시장의 경쟁 증가 9. 베트남 - 웹3 게임 개발의 핵심 플레이어: Sky Mavis와 같은 회사들로 웹3 게임 개발에 중요한 역할 - 규제 샌드박스 환경 속에서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투자자들 - 암호화폐는 법정 결제 수단이 아니며, 정부는 관련 위험을 다루기 위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개발 중
Показать все...
15
Фото недоступноПоказать в Telegram
👀크립토 시장 업데이트: 현시점을 더 주목해야 하는 이유 source
크립토에서 6년 동안 활동하면서, 이번처럼 시장에 엄청난 변화가 일어난 것은 처음 봄. 정치적, 제도적 관점에서 상황이 크게 개선됨. 이번 여름은 특히 주목해야 할 때
1. 이번 주는 비트코인 ETF 출시 이후 가장 강력한 긍정적 흐름을 보임 2. 로빈후드는 가장 오래된 암호화폐 거래소인 비트스탬프를 인수하여 암호화폐에 본격적으로 진입 3. 유럽중앙은행과 캐나다 중앙은행이 4년 만에 처음으로 금리를 인하 4. 바이낸스가 마스터카드 결제를 재개했으며, 주요 결제 제공업체들이 다시 참여 5. 모두의 예상과 달리 이더리움 ETF가 승인됨 6. 선거 시즌이 오면서 1년 전의 "Operation Chokepoint 2.0"때와 상황이 180도 달라짐 7. 유명인들이 밈 코인을 출시하고 있음. 일부는 이를 부정적으로 보지만, 올바르게 실행된다면 새로운 사용자를 유입하는 강력한 방법이 될 수 있음 8. BTC는 현재 사상 최고치에 근접해 있으며, 주식 시장도 새로운 고점을 향해 나아가고 있음. 역사적으로 선거 연도 S&P 500은 80% 상승했으며, 공화당 승리 시 수익률은 더 높았음
Показать все...
11
Фото недоступноПоказать в Telegram
👀 Crypto x AI 이해하기: 4가지 핵심 프레임워크 source 1. 생성 AI x Web3 - 생성 AI의 폭발적인 증가로 디지털 제작 비용이 급감하고 있음 - 콘텐츠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 소스의 출처를 확인하고, 크리에이터에게 보상을 제공하며, 콘텐츠 배포를 위한 플랫폼 의존성을 줄이기 위한 더 나은 도구가 필요함 2. 무한한 세계 - 게임 내에서 생성 AI를 사용하는 가능성을 탐구, GTA 5와 같은 오픈 월드 게임에서 자율 에이전트가 게이머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 - 프로토콜에서 온체인 에이전트가 등장하여 가상 경제에 지능을 부여하고 새로운 경험을 창출함. 이는 끝없는 게임과 가상 세계와의 상호작용이 재구상된 새로운 게임 개발 시대를 열 수 있음 3. 데이터는 흐르다 - ChatGPT와 Claude와 같은 AI 혁신의 기반인 LLM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로 훈련됨. LLM이 개선될수록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며, 이는 데이터 부족과 데이터 가치 상승으로 이어짐 - 대형 기술 회사들은 데이터의 가치를 높여 더 많은 요금을 부과하면서 울타리를 치고 있음. Web3 프리미티브는 이러한 장벽을 허물고 데이터 접근을 민주화하고 있음 4. 오디널스 - 비트코인과 AI의 결합은 예상치 못한 조합일 수 있음 - 오디널스를 활용한 흥미로운 파일 공유 프로토콜인 GOAT(Globally Open AI Transfer)의 목표는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AI 모델이 영원히 존재할 수 있도록 하고 제거 위험을 줄이는 것임
Показать все...
4
Фото недоступноПоказать в Telegram
👀크립토 산업 큰 거 온다, 티핑 포인트 임박? source 1. 크립토에서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 필자도 느끼고 있고, 여러분도 느낄 거라 확신함. 정확히 무엇인지 모르지만, 시장에는 변화의 조짐이 있음. 수년간 우리는 크립토 인프라를 구축하며 대중 채택을 준비해 왔음. 최근의 주요 예시는 다음과 같음:
Coinbase의 스마트 월렛 출시 Privy의 쉬운 크립토 온보딩 Rabby의 무료 가스 거래 추가 EIP-4844 업그레이드로 L2에서 거래 비용 절감
2. 각각은 작아 보이지만, 멀리서 보면 사용자 온보딩에 엄청난 진전을 이루었음. 하지만 아직 대중적인 크립토 채택은 이루어지지 않았음. 우리는 우리가 구축한 잠재력을 완전히 터트릴 킬러 크립토 앱이 나타나기를 기다리고 있음. 그리고 그건 매우 가까이 와 있음 3. 햄스터 레이싱, 프렌드 테크, 파캐스터... 각 시도마다 우리는 임계점에 더 가까워지고 있음. 그 킬러 앱은 솔라나 및 이더리움에서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추가한 스트라이프, 아니면 페이팔이 출시한 PYUSD 스테이블코인, 혹은 다음 물결의 디젠들을 온보딩할 연예인 밈코인일수도 있음 4. 한편 크립토 특이점 임박 신호는 외부 요인에서도 분명하게 감지할 수 있음:
BTC/ETH ETF 출시 친화적인 정책으로 크립토에 다가서는 제도권 EU와 캐나다의 금리 인하 시작
게다가 주요 기관들이 크립토 미래를 대비하고 있음:
블랙록의 토큰화 촉진 및 텍사스에 새로운 거래소 준비 비트스탬프를 인수하며 크립토에 집중하는 로빈후드 BTC ETF를 구매하는 기존 기관들
5. 이러한 발전은 시장의 큰 변화의 신호임. 주요 플레이어들이 긍정적인 크립토 미래를 대비하고 있음. 현재 BTC가 71k에서 횡보세를 보이지만, 이 지루함은 오래가지 않을 것 같음. 강력한 FOMO를 불러일으킬 무언가가 있을 것이며, 우리는 그 신호를 알고 있음. 천천히 그리고 한 번에, 촉매제·킬러 크립토 앱·다른 거시적 이벤트가 출현할 것임
Показать все...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