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kie

We use cookies to improve your browsing experience. By clicking «Accept all», you agree to the use of cookies.

avatar

옹꾸 생각정리 일기장

옹쿠입니다

Show more
Advertising posts
3 915
Subscribers
+124 hours
+367 days
+1730 days

Data loading in progress...

Subscriber growth rate

Data loading in progress...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42.6점
Show all...
여기에 제 개인적인 사견을 하나 더 보태어봅니다. (블로그 등의 검색을 통해 접근가능한 오픈 공간에는 올리면 난감해질까봐 텔레그램에만 올리면) 향후 마더라인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양극은 "하이니켈(니켈 80% 이상) & 단결정" 이며, 아바코는 해당 소재에 대한 테스트까지 통과를 했다고 합니다. 단결정 하이니켈 양극재에 대해서 통과했다는 점의 함의는 - 전극공정 테스트에 있어서 음극보다 양극쪽이 더 까다로우며, 그 중에서도 가장 최신 공법이자 향후 삼원계 양극의 방향인 "단결정 하이니켈"에 대해서 테스트를 잘 통과하였다는 것. - 오창 공장에서 만들어지는 전극 혹은 원통형 배터리의 고객사이자 협력 파트너인 테슬라가 적용하고자 하는 양극이 "단결정 하이니켈" - LG-ES가 향후 증설하고자 하는 라인의 표준이 되며, 건식공정을 적용하게 된다면 "단결정" 양극재를 적용해야함. [이차전지 -- 건식전극공정] 에서 정리한 내용을 참고. 다만, 오창 마더라인이 습식/건식 중 어떤 공정을 양극/음극에 적용하는지는 확실하게 알려진바가 없음. 건식공정을 적용하면 "단결정 하이니켈"로 적용을 해야만 한다는 것 정도만 이야기할 수 있음. - IR에서도 질문이 나왔고 저도 받는 질문인데, "피엔티/한화모멘텀과 같은 회사보다 기술적 우위, 기술적 격차가 어떻게 되는지?" 라는 질문을 종종 받음. 기술격차라는 질문은 매우 직관적인 질문이지만, 답변을 쉽게 하기 힘듦. 회사 홈페이지/IR자료 등에서 소개하는 스펙 상으로 판단하기 힘든 경우가 대부분이고, 결국 "기술력의 입증"은 "고객사의 테스트 완료와 실제 라인에 적용"이라는 레퍼런스가 보여준다고 생각함. 그런 측면에서, 가장 최신공법이자 향후 가야할 방향인 "단결정 하이니켈" 양극재에 대해서도 테스트를 통과했고 장비 수주를 받게 되면, 그 자체가 레퍼런스(기술력의 입증)가 될 것이라고 생각함.
Show all...
👍 10🙏 1
1. 롤프레스 - "임박했다" 라는 표현을 많이 쓰셨음. - 이전에 기사 상으로나 주주분들 문의 때 "다음 달 쯤 나올 것으로 예상되면, 다음달 쯤 되지않겠느냐? 라고 답변드렸었다. 오늘 임박했다라고 말씀드리는 것은 그것보다 더 임박했다라는 의미로 말씀드린다" 라고 하셨네요. - 선거때 개표율이 어느정도 넘어가면 "OOO후보 당선 확정적!" 하는 것처럼, 그만큼 임박하고 유력하다. - (누군가의 P사 등과의 기술수준 비교를 질문에, 강진구 상무님 답변) 저희가 타 회사와 직접 비교하는 것은 적절치않은 것 같고, 마더라인은 고객사의 표준이 되는 라인인데, 그 라인에서 수준높은 공정에 대해서 테스트를 다 통과했다. 그 말인즉슨 향후 고객사의 표준이 되는 공법을 저희 장비로 구현할 수 있는만큼, 기술격차는 없다고 본다. - 스마트 팩토리 등의 이야기도 하심 2. 디스플레이 - 올해 Boe 공시가 나왔는데, 수주금액과 마진은 말씀드리기 힘듦. 고객사와의 관계 난처. - 다른 장비들도 영업 중. 아직 고객사 구체화된 바 없음 (스퍼터 등의 이야기) - 올 하반기? 연말즈음이면, CSOT/VISIONOX/L사 등의 투자 계획 구체화 됨. 그 때되면 추가수주 및 내년 사업계획 말씀드릴 수 있을 것. - 저희는 절대 저가수주 안한다. 출하시 90% 금액 인식되는 조건으로만 계약. 항간에 선익/아바코 저가수주 이야기가 도는데, 저희는 저가수주 하지도않고 하지도 않았다. 3. 수주/매출/이익 관련 - 작년에 1800억 정도 매출을 하였는데, 올해는 그 두배정도 하지 않을까 싶다. (그럼 3600억인데, 그보다 적을수도 있다고 개인적으로는 생각함.) - (마진율 질문에 대하여) 장비업은 기본적으로 고정비가 있기 때문에 매출 볼륨이 중요하다. 매출 볼륨이 크면 영업이익율이 크게 개선된다. 올해 매출이 크게 증가하는만큼 영업이익률도 개선될 것이라고 본다 - 수주는 올해 5천억 정도 할거로 예상. 4. 주가 관련 - 저희 회사 주가에 불만이 있다. - (양치기 소년 이야기도 하시면서) 아무래도 롤프레스가 나와야되는 것 같은데, 여러번 말씀드리듯 임박했다 - 저희가 이제 해마다 3천억대 이상 매출을 기본으로 하는 회사가 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반도체 등의 여러 산업 기술개발을 끊임없이 할 것이다. - 주주환원으로 배당등도 할것이다. - 여러모로 저희 회사 주가에 만족하지 않으니 좋게 봐주시라.
Show all...
👍 9 1
어제 있었던 아바코 IR을 참고하였었고, 다른 분이 작성한 후기를 공유드립니다. 카톡방 여기저기서 공유되는거보니 텔레그램에 재공유해도 될 것 같아서 업로드 드리는데... IR에서 언급된 내용을 시간순으로 정리하셔서, 회사에서 전달하고자하는 메인 메시지들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은 것 같아 제가 따로 작성한 것을 아래와 같이 공유드립니다.
Show all...
👍 10
-향후 수주는 선익과 같이 어떻게?? → 선익이 증착기, 우리는 물류를 하다보니 메인 증착기하고 같이 가는것을 계속적으로 노력할 것임. 증착 말고 국내 고객사 물류라인 많이 했음, 앞으로도 협력관계를 유지하면서 영업을 진행할 것임. 선익 뿐만 아니라 국내 야스도 있음, 야스 진출할때도 컨소시엄 같이 할 것임. 도끼가 할때는 자체적으로 소화함. 우리와 진행은 안될것이라고 보임. -롤프레스 엔지엔솔 진행상황? → 임박 언론공개는 고민중임. 고객사 피해 안주는 범위에서 할 예정임. -장비 리드타임? → 8개월정도 보면 된다.
Show all...
👍 1 1
240627 아바코 NDR 김태윤 책임 대표이사 김재호 14:00~15:30 # 소개 QNA순 # 소개 : 디스플레이, 모듈, 자동화 장비. 2000년 1월 설립, # 실적 : 23년 1860억, 영익 2.4%, 2차전지 자동화 물량이 많아서 신규장비임, 시행착오로 인한 영익 떨어짐. 수주금액 : 23년 이월 수주 3000억 올해 신규수주 디스플레이, 2차전지, mlcc 총 포함해서 그 이상이 될것으로 보임. 올해부터 각 장비마다 매출 인식이 상이하게 적용이 될거지만, 올해부터 내년까지 매출재원 3000억 그 이상이 잡혀질것임. # 대응전략 : 중국 BOE Ph1 수주한 상황임. 향후 국내 고객사 선제대응함으로써 boe 장비 외에 공급할려고 선제대응중임. 2차전지 자동화 물류장비는 이미 사업화되어서 실적 나옴. 현재도 신규 수주 확보중임. 전극공정 진입 시작중임. 현재 막바지 단계임. 반도체쪽은 개발 진행하는 장비는 후공정 증착장비, 웨이퍼 계측기 검사장비 고객사와 테스트하면서 개발 진행중임. MLCC 개발 완료, 관계사 아바텍 이쪽으로 공급할 계획임. # 스퍼터 : 독보적인 기술력 가짐. 효자 장비중 하나임. # 진공증착물류장비 : 기판 유기물 증착해야함, 증착 정확도 높여주고 안정적 유지하기 위한 진공상태로 공정마다 진공으로 연결해줌. 이 장비는 온도 유지나 습도유지 진공상태 유지도 가능함. 기술 집약적인 장비임. 8.6세대 대응가능한 기업은 국내에는 아바코가 유일함. p1 16k 물량공급 # 2차전지 : 전극 롤프레스 대응중임. 22년도에 싱글타입 개발 완료, 고객사 중간에 스마트 팩토리 사업기조에 따라서 싱글 타입을 탠덤구조로 업그레이드 함, 하면서 우리가 가진 무인 자동화 기술을 개발 완료함. 고객사와 테스트 완료한 상황임, 진입 막바지 단계임. # 2차전지 업턴할것임. 작년가지 수주한 자동화 물류쪽 기반으로 전극공정 들어가면 2차전지 사업부분에서 매출 상당히 기여할 것임. # MLCC 제조 핵심장비 적층기 개발완료함. 적층기 위주로 납품을 진행중임. 관계사 아바텍, 중국 S사 진입 준비중임. 적층기 외에 13가지 장비 개발완료해서 영업 진행중임. # 관계사 아바텍 : 구미에 4개라인 증설 계획이 있음, 올 연말부터 1개라인 선가동할 계획임. 그 계획에 맞춰서 아바텍의 장비가 공급될 예정임. # pcb : 독일 슈미드와 공동개발한 제품, 반도체 패터닝 공정에 사용 가능한 장비임. 20년도에 중국 대만 유럽에 알앤디 납품 이력 있음, 올 연말에 파일럿 장비를 납품해서 양산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임. 이 장비는 미세 선폭 패터닝이 가능함, 향후 글라스 기판에도 적용이 가능한 장비임. 아직 글라스 기판 자체가 연구 단계임. 양산에 대한 상세 일정 수립된게 없음. 지켜봐야 할것 같음. # 반도체 : 메탈 증착장비, 웨이퍼 계측 검사기, 개발 진행중임. 고객사 hbm쪽 장비를 대여해주고 테스트를 진행하고 피드백 받아서 장비 업그레이드 진행중임. 내부적으로 내년 하반기 빠르면 목표임. 상황에 따라 달라질듯함. # 23년 11월 상주 6공장 증설함. 작년에 캐파 증설 완료함. # QNA -아바텍은 어디 납품함? → mlcc개발해서 2년간 글로벌 기업 영업함, 작년에 이스라엘 솔라엣지라는 태양광 기업에 납품함. 향후 아바텍이 갈곳은 L사 위주로 해서 디스플레이쪽 , 전장용으로 나갈 예정임. 지금은 태양광 산업이 침체되어 있음, 회복이 되면 다시 솔라엣지로 영업할것임 -실적 가이던스??--> 여기 기자분들이 많아서 말씀하시면 기사나가서 곤란할듯. 정확히 숫자는 못드림. 작년 숫자의 매출의 약 2배 가능할듯. 영익도 굉장히 호전될 것으로 추정됨. -작년 매출은 디플장비, 2차전지 장비가 많은데, 올해 mlcc 포함 매출 비중은?? → 올해는 대부분 작년에 수주잔고 3000억, 디스플레이 일부 있고, 2차전지 매출이 70% 차지할것 같다. mlcc는 관계사 아바텍에서 올 4분기 정도에 mlcc 전용공장 건립후에 발주나올듯. 매출은 내년에 인실될것임 -2차전지 장비 매출비중 70%이면 23년 생각보다 영익이 안나온게 2차전지인데, 영익이 증가가 못미치지 않냐? → 그렇지 않다. 장비 업체들은 볼륨이 중요함, 작년은 1800억 중간 매출, 올해는 2배 한다면 보증비 추가되는 포지션보다 매출 성장 포지션이 크다. 이익률 작년보다 좋아질듯함. 디스플레이 위주 장비 회사에서 2년전부터 2차전지 자동화 장비시스템 매출함. 전극 공정장비 몇년간 걸쳐서 싱글, 텐덤 개발 완료함. 작년부터 언론에 매출 수주한다고 이야기 많이함. 그 시점이 임박했다. 임박이란 말은 어떻게 보면 언론 지상에 보도한게 곧 될것이다라고 말함. 임박은 가가운 시일이다. -분기 수주잔고는? → 2분기 수주잔고는 말 못함. B사급 수주규모 나온다. 1분기는 이미 공시가 다 나가서 그거 참고하면 될것 같다. -수주잔고 2배 되나? → 그건 안될듯, 신규수주가 전체적으로 약 5000억 가까이는 될것 같다. -2차전지 피엔티 경쟁사 비교우위, 피엔티도 수주잔고도 크다. 그쪽 매출처랑 겹치는 부분인가? 2차전지 매출비중이 늘어나면 운영자금이 늘어나서 차입금 늘어나는 것은? → 차입금은 얼마전 700억 규모로 했다. 그 부분은 B사 고려 안하고, 2차전지 자동화 장비 우리가 제작해서 고객사 납품하면 대금이 나옴. 그때까지 규모가 조금 커서 협력업체 규모를 감당못함. 우리가 선지급해야하마. 우리가 선지급하고 매출채권 회사가 된다. 일시적인 자금운용의 부분이라서 큰 문제 없다. 만약 B사꺼 계약금 받으면, 그이후 출하해야지 잔금 받아야 한다. 운영에 700억 받아도 문제 없음. -boe b16 스퍼터 트라이 중인가? → 지금 첫번째로 boe는 여러 장비가 있다. 증착장비에 들어가는 진공증착물류가 있다. 스터터도 할것이다. 사양 미팅 견전 대응 완료가 됨. -내년에 대한 가이던스? → B사는 오늘 공시가 나감. 수주를 받아서 내년부터 납품됨. 26년1월 30일 종료, 나눠서 나가서 25년 70% 후내년 30% 반영할 예정임. 내년 초 되어야지 가이던스 나올듯. -국내 고객사 8.6g 투자에 관해서는? → 고객사 통보 없었음. 투자시점 안나옴. -캐파대응 가능하냐? → 가능하다. -금액 규모? → 보안상 언급 못함. -시장규모는? → 마더라인은 표준라인임. 양산 만큼 댓수를 완전하게 깔지는 않음. 기본 댓수를 깔아서 테스트하는거임. 기본적 라인 롤프레스 슬리터가 한세트임. 롤프레스는 기술적인 라인을 깔기때문에 규모는 양산만큼 된다고 말씀 못드림. -마더라인을 깔고 실질 양산라인에 들어갈 것임. 시간 소요는? → 2차전지 캐즘상태임, 언제 풀릴지 모름, 전체적인 시장 전망이 크게 나오고 있음 내년쯤에 좋은 실적 기대함. -마더라인 이후 양산라인 얼마정도?? → 명확히 말씀 못드림. - 롤프레스 기술격차는 어찌 나나? → 싱글 탠덤 스마트화, 아날로그 장비가 대부분, 우리는 디지털화로 장비 만듬. 스마트와 무인화 대응임. 지금까지 옹ㄹ 디지털화 되어서 만든 설비는 우리 설비가 유일하다. 기술 격차를 이야기 하면 우리가 고객사 검증을 통해서 양산 수준에 가능하다고 받았음. 마더라인 참여 및 임박 말씀드릴수 있음. -올해 2차전지 매출 70% 자동화 장비향 내년 디스플레이 투자해야할것이다. 국내 고객사 내년, 중화향 csot 비젼녹스 올해 하반기. 4000억 매출 꾸준히 확보 가능함. 매출 성장 가능함. 매출액이 3000억 중반되면 영익 opm이 커짐. 고배당 정책 이어 나갈것임. 롤프레스 핵심장비 1대라도 수주해서 진입한다면 향후 투자는 충분히 전극장비 자동화 장비 충분히 수주 많이 할 것이다. 아바코가 디스플레이 장비주가 아닌 2차전지 두개다 가능함 도약의 시기가 다가 왔다라고 보인다. 중국쪽 매출채권 회수가 중요하게 한다. 우리는 물건 출하되면 90% 받는 조건 아니면 영업 안할것이다. B사는 저가수주 아니고 적정이익 확보하는 수준에서 수주했다.
Show all...
👍 2 2
아바코, 인라인 물류 '2500억 PO' 관측 산업용 진공물류 장비 제조사 아바코가 중국 BOE가 주도하는 8.6G 대형 캐파 투자의 수혜주로 거듭날 전망이다. 시장에선 약 2500억~3000억원 수준의 공급계약(3년)을 관측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 공정에서 진공 상태로 이송(transfer)하는 자동화장비 제작 기술에 특화된 회사다. 아바코가 BOE 8.6G 양산라인에 입고하는 제품은 인라인 진공물류 시스템(OLED In-line Vacuum Transfer System)이다. 정확한 공급 대수와 단가는 공개되지 않았다. 기존 양산 레퍼런스가 풍부한 제품을 공급하는 만큼 마진율은 상대적으로 더 높을 것으로 분석된다. 10% 이상의 OPM(이익률)이 예상된다. 아바코는 BOE로부터 수취하게 될 선계약금(약 20%)과 내부 캐시플로를 활용해 원재료비 등 운영자금을 충당할 것으로 보인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406261147382480108248&lcode=00&page=1&svccode=00
Show all...
아바코, 인라인 물류 '2500억 PO' 관측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 8
드디어 BOE!!!
Show all...
👍 6
(코스닥)아바코 -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0627900093 2024.06.27
Show all...
👍 9🙏 1
👍 2
Choose a Different Plan

Your current plan allows analytics for only 5 channels. To get more, please choose a different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