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kie

We use cookies to improve your browsing experience. By clicking «Accept all», you agree to the use of cookies.

avatar

다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다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채널입니다.

Show more
Advertising posts
1 890
Subscribers
+224 hours
+107 days
+5130 days

Data loading in progress...

Subscriber growth rate

Data loading in progress...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DAOL퀀트 김경훈] Active Quant의 定石 - 6/5 "1Q가 베타장이었다면, 2Q는 알파장" 2분기 2번째 업데이트 (6.5 ~ 6.26) ▪︎ RESULTS: * SURPRISE 예상 LG이노텍, 현대오토에버 등 6종목 * SHOCK 예상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솔루엠 등 6종목 ▪︎ COMMENTS: - 2분기 들어 "숏장에서 벗어난 모습"은 이번 2번째 업데이트까지도 지속 중 - 포지션 구성은 여전히 극대형주들 중심 침묵을 이어가는 가운데, 2차전지는 간만에 롱숏 혼재 및 운송업종은 긍정적인 흐름 유지 중 - 대형주 대비 중소형주들의 최근 활발한 리포트 발간으로 인한 다수의 포지션 생성은 지난달부터 시작된 "알파 종목장세"를 지속 시사하는 부분. 직전 포트폴리오(5.23~6.3)는 롱 2.2%, 숏 -3.0% 기록하며 롱숏 합산 +5.2% 시현 (원본 링크 → https://parg.co/U79A )
Show all...
[다올 의료기기 박종현] - 06/04일 의료기기 News update ▶ 국내외 주요 뉴스 - 또 밴드초과…'수요예측 참여기관 최다' 라메디텍, 공모가 1만6000원 확정 (https://zrr.kr/QTE8) - 원텍, 태국의료진 초청 기술력 설명회 열어 (https://zrr.kr/RCAE) - 세라젬 "헬스케어 도전, 매출 3조 목표" (https://zrr.kr/LWtz) - AI 피부분석서 탈모진단으로 영역 확대 (https://zrr.kr/FObU) - 임상재평가로 퇴출됐던 뇌 기능 개선제 대체제 기지개 편다 (https://zrr.kr/o8fC) - 국내 첫 SGLT-2i 신약 엔블로정 활용 방안 확대 움직임 (https://zrr.kr/gdQX) - 박재경 대표 "알피바이오, 40년 부동의 국내 1위 CDMO社" (https://zrr.kr/eFCP) - Abbott, Lingo OTC 혈당 측정기 FDA 승인 획득 (https://zrr.kr/6K2d) - 캐나다 Nova Scotia 주, Dexcom의 1형, 2형 당뇨환자들에 CGM 보장 제공시작 (https://on.ft.com/3Kpmp6F)
Show all...
[IPO] 또 밴드초과…'수요예측 참여기관 최다' 라메디텍, 공모가 1만6000원 확정 - 더스탁(The Stock)

[더스탁=김효진 기자] 오는 17일 코스닥 상장 예정인 라메디텍(대표이사 최종석)이 공모가를 1만6000원으로 확정했다. 이는 밴드 상단보다 26%가량 높은 가격이다.앞서 그리드위즈가 올해 두 번째로 공모가를 희...

★ DAOL Daily Morning Brief (06/04) ▶미국증시: Dow (-0.30%), S&P500 (+0.11%), Nasdaq (+0.56%) - 미국증시, 엔비디아의 AI 칩 공개 속 제조업 지표 둔화 영향으로 혼조세 - 미 안보보안국장, 중국이 미국 기반 시설에 사이버공격 시 필요한 경로 확보를 위해 네트워크에 침투하고 있다고 밝힘 - 연준, 연레포 잔액 3,871억 달러로 세금납부 시즌인 4월 이후 처음으로 4천억 달러 하회 - 다케시 BOJ 이사, 중앙은행이 보유한 상당한 양의 ETF를 즉각적으로 줄일 계획이 없다고 밝힘 - 엔비디아, 차세대 AI GPU '로빈' 공개 및 2026년 양산 계획을 발표하자 4.9% 상승 - ARM, 2025년 말까지 1,000억 대 이상의 AI기기 판매 가능성을 언급한 영향으로 5.5% 상승 - 테슬라, 경쟁업체 BYD의 중국 내 판매 급증 소식으로 1.0% 하락 - S&P500, 기술 +1.0%, 헬스케어 +0.7% vs 에너지 -2.6%, 유틸리티 -1.3% - 변동성지수(VIX), 전일대비 1.5% 상승한 13.1 기록 ♣ 보고서 원문 및 링크: https://parg.co/U7ix
Show all...

[한올바이오파마(009420)/ BUY(유지) / TP 5.3만원(유지)/ 다올 의료기기 박종현/이정우] ★ IMVT-1403로의 집중은 정해진 수순 ▶ 5월 30일 Immunovant IR 데이 임상 결과 발표 지연으로 주가 하락 후속 후보물질 IMVT-1402에 대한 개발을 우선시하며, 바토클리맙에 대한 임상 결과 발표 타임라인 지연. FDA와 Type B를 통해 2025.03.31일까지 IMVT-1402에 대한 임상을 4-5개 적응증에 대해 진행할 예정 ▶ 일정 업데이트(지연) IMVT-1402로 진행 중인 GD(그레이브스병)은 2H24E 확인 예정. 2025.03월까지 5번째 적응증까지 확대 예정. 2026년까지 10개로 확대 목표. 적응증 확대 계획 변동 없음 ▶ 바토클리맙 MG 3상 Topline 및 CIDP 임상 2b상 초기 데이터는 2025.03월 확인 예정(기존 2024년말과 3Q24E에서 지연). Argenx CIDP 임상 결과와 비교를 통해 IMVT-1402 CIDP 임상 디자인 최적화하기 위함. 또한, 바토클리맙 MG 임상 결과를 기반으로 IMVT-1402 MG 임상 개시 여부 결정 예정. 바토클리맙 TED 3상 Topline은 1H25 확인 전망 ▶ FcRn 시장 확대 모멘텀 여전히 유효 6/21일 Argenx CIDP PDUFA 예정되어 있으며, FcRn에 대한 시장성 확대와 함께 개발사들의 주가가 동행한다는 투자 포인트 유효. 임상 타임라인 지연으로 Immunovant 주가 하락과 함께 한올바이오파마 주가 하락하였으나, 바토클리맙에서 IMVT-1402로의 선택과 집중은 정해진 수순. FDA과의 미팅을 통해 해당 기조가 명확해진 것으로 판단 ▶ 한올바이오파마에 대한 적정주가 5.3만원, 투자의견 BUY 유지 * 보고서 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 https://bit.ly/4aONV8m > * 텔레그램 채널 링크 < https://t.me/alexppark >
Show all...
다올 의료기기 박종현

안녕하십니까. 다올 증권 의료기기 애널리스트 박종현입니다.

6/4(화) 채권 모닝 서포터【리서치센터 허정인 연구원】 【US국채: 미 국채 금리 전구간 하락 마감. 금리 인하 기대 유지되는 가운데 미국 제조업 PMI와 ISM 지수 엇갈리는 방향으로 발표되었으나 예상치 하회한 ISM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 하락. 미국 5월 제조업 ISM지수, (실제: 48.7/예상: 49.5/이전:49.2)로 예상치 및 이전치 하회. 미국 5월 제조업 PMI, (실제: 51.3/예상:50.9 /이전: 50.9)로 예상치 및 이전치 상회. 한편 무디스, 중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 상승세와 중국 당국의 부양책 등을 감안해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4.5%로 상향(이전: 4.0%) 】 ▣ 2yr 4.81% (-6bp), 5yr 4.4% (-11bp), 10yr 4.39% (-11bp), 30yr 4.54% (-11bp) 【유럽국채】 ▣[2Y] 이탈리아 3.51%(-6bp)/스페인 3.21%(-7bp)/프랑스 3.09%(-7bp)/독일 3.03%(-7bp) ▣[10Y] 이탈리아 3.88%(-10bp)/스페인 3.3%(-9bp)/프랑스 3.05%(-9bp)/독일 2.58%(-8bp) 【중국국채】 ▣5y 2.07% (-1bp), 10y 2.31% (-1bp) 【US증시: 미 주가지수, 엔비디아의 AI 칩 공개 속 제조업 지표 둔화 영향으로 보합권 마감.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 새로운 인공지능 칩 로드맵 발표하자 4.9% 상승 】 ▣ DOW 38,571(-0.3%), S&P500 5,283(+0.1%) 【FX/Cmdty: 원/달러 환율 전일 대비 8.4원 하락한 1,376.1원 마감. 미국 물가 지표 예상치 부합 영향으로 금리 인하 기대 되살아나며 달러 약세 】 ▣ USD 104.082(-0.6%), EUR 1.0904(+0.5%), JPY 156.08(-0.8%), INR 83.145(-0.4%), IDR 16,230(-0.1%), BRL 5.2444(0%) ▣ WTI 74.22(-3.6%), GOLD $2,369.30/oz (+1.0%) ▣ 뉴욕 원달러 NDF 1개월 1,369.53원 1개월 스왑포인트 -2.35원 감안 현물환율 1,371.88원(-12.6원) 【KR: 한국 금리 전구간 하락 마감. 미 국채 금리에 연동되는 가운데 국고채 30년물 입찰 소화하며 하락. 국고채 30년물 응찰률 3.13배(이전: 3.05배), 낙찰금리 3.380%(이전: 3.545%)에 3조 8천억원 규모 발행. 최상목 기재부 장관, 4월 산업활동은 제조업이 전산업의 반등을 견인했으며 24년을 R&D로의 대전환 원년으로 삼겠다고 밝힘 】 ▣ KOSPI 2,683(+46,+1.7%), 원달러 1,376.1(-8.40,-0.6%) ▣ 국3 3.432% (-2bp), 국5 3.467% (-4bp), 국10 3.537% (-4bp), 국20 3.447% (-6bp) ▣ 통1 3.4% (0bp), 통2 3.435% (-2bp) ▣ KTB 104.35 (+8틱), LKTB 112.17 (+39틱) * 당사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없이 제공
Show all...
[ISSUE & PITCH/자동차(Overweight) | DAOL 자동차 유지웅] ★ 5월 판매: SUV 판매집중에 관심을 가질 시점 ▶ 현대차와 기아 5월 판매실적은 대체로 강보합세. 지난 3월 이후 완성차 판매볼륨은 꾸준히 강세를 보이고 있음. 2Q24 전반으로 들어서 나타날 수 있는 성수기 효과를 시사. 수출 물량 및 미국 현지생산 SUV차종의 생산 본격화 단계이나, 세단 차량의 출고는 지속적으로 감소세 ▶ 현대차와 기아의 5월 도매판매량은 각각 35.6만대(YoY +1.9%, MoM +2.8%), 26.4만대(YoY -2.1%, MoM +1.2%) 기록. 현대차의 경우 내수/해외 판매량이 각각 6.2만대/29.4만대 (YoY +4.0%/+4.7%), 기아는 4.6만대/21.7만대 (YoY -8.3%/-0.6%) 기록 ▶ 내수판매의 경우, 세단판매 감소세와 SUV 판매볼륨 증가세가 5월에도 뚜렷하게 부각. 현대차의 경우 세단은 YoY -14%, 기아의 경우 YoY -32%의 뚜렷한 감소세 기록. 해외시장에서도 유사한 흐름 기록 중 ▶ 현대차 브랜드의 미국시장내 약진 확인. 현대차그룹의 현재 미국내 M/S는 4위권 고정(2023년까지는 스텔란티스가 4위). 5월 판매에서 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7.8만대(YoY +12%, 제네시스 제외), 7.5만대(YoY +5.6%)를 기록. 5월 미국 판매는 특히 EV판매 호조가 동반 ▶ 현대차와 기아의 미국내 EV판매량은 각각 YoY +42%, +127% 성장. 현대차의 경우 아이오닉5가 4,449대를 기록했으며, 기아의 경우 EV9이 전년대비 새롭게 투입되며 2,187대 판매를 기록 ▶ 2Q24에는 6월에도 볼륨효과가 이어진다는 가정하에 현대차와 기아 판매볼륨이 각각 107만대, 80만대까지 도달 가능성을 보유. 이 경우 양사 모두 YoY, QoQ (+) 볼륨성장이 가능함을 시사 보고서 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노티스 → <https://parg.co/U7iI>
Show all...

[다올투자증권 2024년 매크로 하반기 전망 / 투자전략팀 ☎ 02-2184-2351] ★ Slow, Change, Make ▶ 경제, 환율: 둔화되는 것과 변화되는 것 - 생각보다 강했던 매크로 사이클에 대한 재점검 - 마찬가지로 견조한 인플레이션과 금리 정책에 대한 고민 - 기존 리스크 요인들에 대한 점검 - 환율 점검 ▶ 채권, 금리: A Mission to Build the Future - 미 국채시장 구조적 변화, 비 패시브 자금 확대와 기간 프리미엄 부활 가능 - Fed, 9월 인하 예상(연말 5.25%). 예상보다 이른 시점에 제한적 인하 시행 - 한은, 10월 인하 예상(연말 3.25%). 건설투자 마이너스 전환 가능성 예방 차원 ▶ 주식전략: 보이기 시작한 것들에서 찾는 기회 - 하반기 초입은 정체되는 인플레이션과 낮아지는 성장률에 대한 고민이 상존 - 미 대선과 FOMC 라는 변수들이 있어 굴곡진 증시 흐름이 예상 - 연말로 가며 미국의 중간재 수입 증가와 함께 한국의 수출 금액 회복가능성에 무게 - 미국에 대한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산업들을 전략의 중심에 둘 필요 ▶ 이슈분석: 새로운 바람에서 찾는 기회 - 기업가치 제고를 통한 밸류업 프로그램 -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한 시스템 구축.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기대 - 바이든 vs. 트럼프 재대결. 시나리오별 시장 영향 점검 ♣ 보고서 원문 및 Compliance Notice : <https://parg.co/U7ie>
Show all...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DAOL퀀트 김경훈] 6월 국내증시 스타일 전략 "더 강해진 성장주 환경" ▪︎ 현재 4개월 연속 "성장장"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그 강도 또한 지난달 대비 더 강화된 상황 ▪︎ 이번달 변화가 발생한 총 3개의 매크로 변수 중 국내 외국인 수급 변수는 "가치"로 개선됐지만, BSI(기업실사지수) 및 PUT/CALL RATIO 1의 역수 등 센티먼트 관련 지표들이 "성장" 시그널로 추가 둔화 ▪︎ 결과적으로 올해들어 지난 1~2월 "가치주" 전략에서 3~4월 "블랜드 성장주" 그리고 5~6월 "퓨어 성장주" 대응으로 이어지는 추세 (e.g. 국내 상장섹터 중 "블랜드 성장" 시작점은 전달과 동일한 "필수소비재" 부터) (보고서 원본 ☞ https://parg.co/U7V5 )
Show all...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DAOL퀀트 김경훈] 6월 국내증시 리스크 시그널 "전고점 도달은 결국 물건너 간건가?" ▪︎ 지난 5월부터 기존 확장추세에서 벗어난 국내 경기 사이클 지표는 전달대비 RISK-ON 강도가 재차 반도막 이상 발생한 상황 ▪︎ 작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국내 경기 사이클의 반등은 재작년 낮은 기저효과로 인한 기술적 반등이었던 만큼, 올해 시간이 경과 될 수록 그 힘을 잃어갈 개연성 높다는 기존 시각 지속 유지. 이는 곧, 올 하반기부터 국내 경기 사이클의 수축 전환을 의미 ▪︎ 결론적으로 향후 실물경기의 점진적 둔화는 불가피한 가운데 국내증시는 현 수준이 고점인 반면, 미국증시는 신고가 경신을 지속해나갈 것으로 판단. 이러한 미국의 센티먼트가 국내 경기 사이클 부재에도 불구 KOSPI 횡본장세 연출의 배경. 결국 미 증시는 "쏠림현상" 극대화로 인한 신고가, 국내 증시는 제한적인 상단 속 "순환매" 지속 전망 ▪︎ 특히, 지난달부터 RISK-ON 강도 감소로 "중소형주" 로테이션에 대한 변곡점이었으나, 이번달 중후순 이후부터 기존 "대형 성장주" (i.e. AI, 건강관리 등)로의 재전환에 대한 기존 시각 또한 유지! (리포트 원본 ☞ https://parg.co/U7VU )
Show all...
[6/3(월) 그린인프라/2차전지 News Update|다올 그린인프라/2차전지 전혜영 ☎2184-2311] 🌞신재생 ▶ 2038년 원전·신재생으로 국내 전기 70% 무탄소 생산한다 (뉴시스) https://parg.co/U7Ny -2038년까지 필요한 최대 전력수요는 239.3GW, 원전과 신재생 등 무탄소 비중을 2023년(39%) 대비 1.8배 확대 -태양광·풍력 설비용량 지난 2022년 23GW에서 2030년 72GW로 증가 ▶"100% 수소터빈으로 청정수소발전 계획" (한국경제) https://parg.co/U7tg -지멘스에너지, 하반기 시작될 예정인 청정수소발전 입찰 시장에 참여 예정으로 가스터빈의 수소 혼소 비율을 점진적으로 높이고, 100% 수소만 쓰는 수소터빈 엔진도 들여올 계획 ▶과잉 생산 완화 목적? 中, 태양광·풍력 장비 설치 규제 완화 (세계일보) https://parg.co/U7tF -기존 95% 이상의 가동률에 도달해야 가동 허용 -> 90%로 완화 🚗2차전지 ▶中 전기차·배터리, 유럽 시장 안착 난항…창청자동차 철수, CATL·SVOLT 공장 축소 (글로벌이코노믹) https://parg.co/U7N9 -유럽 소비자들의 높은 기대 수준, 규제환경, 현지 기업들과의 경쟁 등으로 사업 규모 축소 및 철수 중 ▶현대차 첫 대형 전기 SUV에…SK온, 배터리 공급사로 선정 (한국경제) https://parg.co/U7t1 -내년 제네시스 GV90에 탑재 -현대차 울산 공장과 오는 4분기 가동할 예정인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하이브리드카 공장에 공급할 예정 ▶포항에 포스코·CNGR 그룹 공장 착공 (대구신문) https://parg.co/U7tW -2개 공장에 1조 5천억원 투입 -1천여명 고용·연매출 3조 기대 *위 내용은 보도된 사실의 단순 요약으로 별도의 컴플라이언스 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Show 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