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kie

Sizning foydalanuvchi tajribangizni yaxshilash uchun cookie-lardan foydalanamiz. Barchasini qabul qiling», bosing, cookie-lardan foydalanilishiga rozilik bildirishingiz talab qilinadi.

avatar

조기주식회 공부방

평범한 직장인 투자자의 조기은퇴 도전기 by 벤저민규, 리아멍거, 학봉이, 성공을바라본다

Ko'proq ko'rsatish
Reklama postlari
16 931
Obunachilar
+124 soatlar
+2327 kunlar
+40630 kunlar
Post vaqtlarining boʻlagichi

Ma'lumot yuklanmoqda...

Find out who reads your channel

This graph will show you who besides your subscribers reads your channel and learn about other sources of traffic.
Views Sources
Nashrni tahlil qilish
PostlarKo'rishlar
Ulashishlar
Ko'rish dinamikasi
01
https://www.youtube.com/live/JllypFTagGg?si=9DGFh0-MeNBTBYjU
3 54818Loading...
02
[삼성증권 금일 삼성전자 관련 반도체 세션] 1. HBM3 관련해서 초기에는 열나서 못쓰겠다. 소프트웨어랑 먹통이다 등의 문제가 있었다. 지금은 해당 문제들은 해결되었고 전력소비 큰 것을 해결 해달라는 요청을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 (Broadcom에 의하면 SK Hynix HBM보다 전력 30% 더 소모, 마이크론 보다는 이보다 더 크게 소모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2. 삼성전자 3nm GAA 관련 AMD 서버향 받은건 아니고 Legacy 쪽 4nm 수주를 받은 것으로 확인된다. 3. 삼성증권은 삼성전자가 Risk 대비 Return이 엄청 좋은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Top Pick으로 상향한다. (SK하이닉스는 여전히 Top Pick 유지) 3. HBM3 퀄 통과는 예정대로 5~6월에는 나올거라고 생각하고 있다. (전럭소모 개선 조건부 퀄 통과가 나올수도 있다.) 4. 다만, 열나는건 Metal Layer를 두껍게 한다던지 해서 해결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오류는 사람 붙이면 된다. 그런데 전력소모 개선은 쉽지 않다. 기본 Die 자체가 빨라져야 한다.. => 물리적으로 봤을때 electron 을 더 빨리 밀어야 하니까 변압을 더 높게 걸어야 하고 이로 인해 저항이 더 생기고 열도 나고 이런건데 이걸 어떻게 해결할지..? 당장 1a를 뜯어 고치기는 늦었고 1c에서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 그와중에 이것저것 땜빵을 해보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5. 엔비디아향 HBM3e는 SK하이닉스가 거의 다가져갈거다. 삼성 공급량은 얼마 안될거다. 다만, 변수는 AMD다. 6. HBM 때문에 메모리 업체들 Capa가 없고 (삼성은 Capa 감소효과) 범용 메모리 가격이 올라갈거다. 이런 상황에서 범용 디램 패가 남은건 삼성이다. 마진의 큰 상승이 범용 디램에서 일어날수 있다. 7. 삼성의 HBM 마진은 그렇게 낮지않다. 작년 하이닉스 마진 50%, 삼성전자 40% 물론 올해는 HBM3e가 들어와서 격차가 벌어지긴 하겠지만 엄청 크지 않을꺼고 범용 가격이 올라오면 수익성은 많이 개선될거다. 8. 삼성도 하이닉스도 투자는 안하고 있다. 장비업체들이 가격을 내려가면서 까지 HBM 투자를 확보하고 있다. 두 업체 모두 투자를 더하겠다는 생각이 없다. 지금 감산하고 있는거랑 똑같다. (HBM 때문) 9. 소부장 밸류에이션이 매력적이 아닌데 뭘 사야되냐라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크게 두 회사를 본다 1. 피에스케이홀딩스 => 삼성전자 HBM 디레이팅 해소 필요. 닉스 마이크론에 디스컴 리플로우 공급중 2. 파크시스템스 => CoWoS 쪽에 활용성이 높아진다. 실리콘 인터포저 쪽에서 활용도 높아질 것 Q/A Session 1. END-USER(테슬라, 마소)에 따른 삼성HBM, 닉스HBM 구매변수가 있을까? => 없을 것이다. 그냥 무차별하다. 2. HBM4 Base Die를 TSMC가 가져가면 닉스 수익률은 얼마나 줄어드냐? => 예상해보자면 급격히 어닝이 줄어드는 환경은 아닐 것이다. 3. 삼성은 NCF를 고수하는지? 전력 소비만 문제라면 이 부분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건지 ? => MUF를 삼성이 처음 시도 했었는데 잘 안되었던 것 같다. 여러 이슈가 있었다. Each-layer thickness를 엔비디아에서 완화해주기 전까지는 NCF로 하는게 어려웠는데 어쩌다보니 엔비디아가 허용해주었다 HBM 쪽에서 MUF 테스트는 지금 계속해보고 있다. 발열이나 전력소비 이런건 전공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재 삼성전자 3D DRAM 스태킹 일부 MUF 사용 한미반도체는 올해 마이크론 중국 삼성 확장 노력중.. 삼성에 적극 영업중인것으로 파악된다. 여기서 단기 트레이딩 아이디어 적용 가능 추후 디램은 앞으로 3D 경쟁이 있을것 파운드리 라피더스 결국 TSMC가 흡수할 가능성이 높지 않나? => 마이크론이 일본 먹고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생각해보면 삼성전자는 파운드리에서도 유리한 게임에 있지 않다 실제로 EUV도 잘해올거라고 봤는데 그렇지 못했다. 삼성전자 FCF 입장에서 파운드리가 약점이긴 하다.
1 44050Loading...
03
https://youtu.be/hD3NaOG3CZ4?si=ozFM6qGQcbFWdwXd 정현이누나 목소리는 늙지도 않는군요... 이 노래에 대한 추억이 있다면 아재 인증... by 벤저민 (밝히기 부끄러움)
4 8645Loading...
04
K-뷰티 미국 진출 가로막는 'FDA 실사'에 대응하려면 https://www.beautynury.com/news/view/104795/cat/10/page/30 미국 내에서 사용되는 OTC(Over-the-counter drug, 일반의약품) 제품을 제조하거나 재포장, 재라벨링 하는 경우 받드시 FDA에 시설 및 제품 등록을 해야 한다. OTC에는 자외선차단제, 발한억제제, 비듬 샴푸, 여드름 제품, 피부보호제 등이 포함된다. 이들을 수출하는 기업들은 FDA 실사에 대비해야 한다.
7 54363Loading...
05
26년 스케쥴로 맥북이 준비되어야 한다면 필요한 케파와 증설이 이루어지고 있는 곳은 SDC밖에 없네요.
5 67123Loading...
06
26년에는 맥북에도 OLED 채택 가능성 높다 https://9to5mac.com/2024/05/28/oled-macbook-pro-launch-2026/
5 43044Loading...
07
그동안 더불어민주당을 포함한 야권에서는 금융투자소득세가 5000만원 이상의 투자 수익에 대해서만 과세하기 때문에 개미 투자자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며 적극 추진해 왔다. 윤석열 정부가 금융투자소득세 폐지를 추진할 때도 야당은 부자 감세라는 프레임으로 비판했다. 하지만 당장 직장인 ‘13월의 월급’으로 통하는 연말정산과 건강보험료에까지 금융투자소득세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나타나며 야당의 부자 감세 논리는 설득력을 잃을 것으로 예상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4/0000089369?rc=N&ntype=RANKING&sid=001
3 4379Loading...
08
Media files
5 23916Loading...
09
Media files
5 28157Loading...
10
Media files
5 13552Loading...
11
글로벌 OLED 스마트폰 침투율 21년 45% 22년 49% 23년 54% 24년 60% 확대지속
4 99145Loading...
12
온디바이스 AI 스마트폰 성장률은 애플 +222% 삼성전자 +72% 샤오미 +48% 오포 +84% 비보 +59% 아너 +73%
4 88747Loading...
13
[디스플레이] OLED 업 싸이클 https://blog.naver.com/ks200331022/223461539817
5 029107Loading...
14
Media files
4 98036Loading...
15
애플 M4 아이패드 프로, 탠덤 아몰레드 최근 양산 물량 동향 https://m.blog.naver.com/yeux1122/223461404272 종합 - 높은 비용 및 낮은 수율 등의 이슈에서 예상보다 첫 소화 물량이 잘 빠지고 있는중 * M4 아이패드 초반 수요 견실 - 라인확대 특히 패드 이외 닙품처 증가 등으로 양산 대비 목표치수익실현의 시기가 앞당겨 질 수도 있어 보임.
5 37647Loading...
16
2024.05.28 19:33:52 기업명: 두산에너빌리티(시가총액: 13조 9,642억) 보고서명: 풍문또는보도에대한해명(미확정) 보도내용 : [서울신문등] 두산에너빌리티(주) SMR 기자재 납품 발생일자 : 2024-05-28 해명내용 : - 2024년 5월 28일자 서울신문 지면기사에서 보도된 "美 SMR 협력사 '잭팟' 임박에..." 내용에 대한 해명공시(미확정)입니다. - 당사는 美 뉴스케일파워社에 지분투자한 전략적 투자자로서 뉴스케일파워社가 수주하는 프로젝트에 대해 일정 규모의 기자재를 공급할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 다만, 동 보도와 같이 뉴스케일社의 SMR 공급과 관련하여 당사의 기자재 납품은 구체적으로 확정된 바는 없습니다. - 상기 내용과 관련하여 확정되는 시점 또는 1개월 이내에 재공시 하겠습니다. - 공시책임자 : 두산에너빌리티 CFO 사장 박상현 재공시 예정일 : 2024-06-27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528800632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34020
3 38616Loading...
17
[OLED iPad Pro, 출하량 900만대 돌파] 📝 주요 내용 - 최근 전반적인 IT 기기 시장의 침체 속에서 애플의 첫 OLED 태블릿인 아이패드 프로의 출하량이 900만 대를 돌파하였음 - 옴디아에 따르면 2024년 글로벌 OLED 태블릿 출하량이 1,210만 대에 달할 것이며, 이 중 하이브리드 OLED가 812만 대(61.7%)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됨 - OLED 아이패드 프로가 하이브리드 OLED를 사용하는 최초의 태블릿이 될 것이기 때문에 옴디아의 하이브리드 OLED 출하량 예측의 상당 부분이 아이패드 프로 OLED로 구성될 것임 - 일부 시장 조사 업체는 2024년 OLED iPad Pro 출하량을 450만 대에서 500만 대 사이로 예측하고 있지만, Apple, LG디스플레이(LGD), 삼성디스플레이(SDC)는 기존 출하 목표를 고수하고 있음 - Apple의 OLED iPad Pro는 11인치와 13인치 두 가지 크기로, LGD는 두 가지 크기를 모두 공급하고 SDC는 11인치 OLED 패널을 공급할 예정이며 LGD의 OLED 출하 목표는 500만 대, SDC의 목표는 400만 대 이상으로 추정됨 - iPad Pro는 이론적으로 싱글 스택 구조에 비해 밝기는 2배, 수명은 4배 더 길어진 2스택 탠덤 구조가 적용될 예정임 🤗 관련한 생각 - 최근 미국의 OLED 도판트 소재 기업인 Universal Display 는 실적 발표 이후 상승세 - 호실적의 원인은 OLED의 침투율 상승과 IPAD OLED 향 수요 증가 - 지금까지 컨센서스는 800만대 수준이었으며 높은 가격 때문에 500만대 이하의 수요 예상도 있었지만 - IPAD OLED 버전의 호평이 이어지며 높은 가격에도 수요가 이어지는 중 - 이에 따라 프리미엄 IT 기기에서 탠덤 OLED의 채택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짐 - 또한, 탠덤 OLED는 소재를 일반 OLED 보다 많이 사용할 뿐만 아니라 수율도 낮아 예상보다 더 많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됨 BK TechInsight 텔레그램 채널 https://t.me/Barbarian_Global_Tech 바바리안 리서치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
4 73372Loading...
18
"지금 아이돌 중에 핸드마이크 들고 노래하면서 춤 출 사람이 누구냐 이거야. 걔가 살아남을 거야. 라이브로 춤출 수 있는 사람은 살아 남아." - JYP https://youtube.com/shorts/zRXZBFbSzNo?si=phj3Rq803Op3VeKT
4 74722Loading...
19
[미래에셋 김승민] 제약/바이오 (비중확대) K-신약 글로벌 성과 도출 구간 유효 ▶ 24년 연간 전망의 기본적인 틀을 유지한다. 국산 신약의 글로벌 성과 도출 구간에 진입했다는 판단이다. 연간전망에서 언급했던 1) 유한양행의 레이저티닙, 2) SK바이오팜의 엑스코프리, 3) 셀트리온의 짐펜트라, 4) HLB의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중 HLB는 FDA로부터 CRL을 수령했다. 캄렐리주맙 CMC 이슈, 임상 사이트 실사 관련 문제 때문이다. ▶ 유한양행의 레이저티닙, SK바이오팜의 엑스코프리, 셀트리온의 짐펜트라는 여전히 유효하다. 탑픽은 유한양행, SK바이오팜이다. 레이저티닙은 아미반타맙 병용요법으로 FDA의 우선심사 중에 있다. PDUFA는 ~8/22로 예상되며 우리는 3Q24에 미국 시장 출시, 유한양행의 출시 마일스톤 수령을 예상한다. 엑스코프리를 기반으로 SK바이오팜은 분기 실적 흑자 기조가 지속되고 있다. 올해 부터 본격적으로 고정비 레버리지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며, 매 분기 최대 실적을 경신해갈 것으로 예상된다. 24년 매출액 4,812억원, 영업이익률 10.4%를 예상한다. 짐펜트라는 미국 출시 첫해 24년 6,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지난 4월 주요 PBM Express Scripts에 등재되었고 올해 중순 추가적인 PBM 등재를 목표하고 있다. ▶ 미국 Biosecure Act가 구체화되고 있다. 상원 및 하원 위원회를 통과했고, 본회의 의결을 기다리고 있다. 양원 합의 후 협의된 법안에 대해 대통령 서명 이후 법안 제정 예정이다. 올해 안에 법안 제정 가능성이 존재하며, 법안이 실행될 경우 중국의 Wuxi AppTec 및 Wuxi Biologics는 미국 비즈니스가 제한된다. Wuxi AppTec의 23년 미국 지역 매출액은 약 4.8조원, Wuxi Biologics는 1.5조원 수준이다. cGMP 인증 등 기존 트랙레코드를 보유하고 있는 CDMO 업체들의 수혜가 기대된다. 항체 모달리티에서 다수의 빅파마를 고객사로 보유하고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 RNA API 빅파마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는 에스티팜 등의 수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항암제 시장에서 주요 화두는 키트루다와 ADC다. 머크는 28년 키트루다 IV 특허만료에 따른 매출 급감(Cliff)을 완화시키기 위해 키트루다 SC 임상 3상 중이고, 올해 8월 임상 종료 예정이다. 빠르면 올해 안에 데이터 도출, FDA 허가 신청 할 경우 25년에 출시 예정이다. 머크는 28년까지 SC 제형 침투율 50%를 가정하고 있다. 가능할 경우 키트루다 IV 특허 만료 이후 키트루다 전체 매출액은 점진적인 감소(Hill)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키트루다 SC에 적용된 히알루로니다제 라이선스-아웃한 알테오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ADC 딜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긍정적인 데이터가 계속 업데이트되고 있다. 단시간에 블록버스터로 등극한 HER2 ADC 엔허투는 최근 HER-2 low를 넘어서, HER-2 ultra low 환자에서도 긍정적인 데이터를 도출하며 TAM을 확장해가고 있다. 국내 업체 중 다수의 라이선스-아웃 트랙레코드를 보유한 리가켐바이오에 주목할 필요가 있고, ADC에 히알루로니다제 formulation을 통한 SC제형 라이선스-아웃이 기대되는 알테오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염증면역 부문에서는 TNF-alpha, Interleukin 제제들의 특허만료로 신규 타겟 파이프라인 확보 니즈가 높다. 대표적인 타겟은 FcRn이다. 작년부터 FcRn 첫번째 상업화 아이템을 보유한 Argenx가 M&A 타겟으로 언급되고 있다. 다만, FcRn의 경쟁 기전인 IL-6, IgG, C5 등에 대한 우려도 공존한다. 그러나 지난 3월 IL-6 antibody 개발중인 추가이는 stralizumab 이 회사 기대 이하라 코멘트 했고, Biohaven은 기존 임상1상 데이터 공개 스케줄보다 소폭 지연되었다. 우려는 완화되고 있다. 경쟁 업체의 데이터 업데이트 보다 자체적인 이벤트에 주목할 필요가 있고, 2Q24 or 3Q24에 다발성신경병증(CIDP) 임상 2상, 2H24중증근무력증(MG) 3상 데이터 업데이트 예정인 batoclimab, 후속 아이템인 IMVT-1402의 원개발사 한올바이오파마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편, 다른 빅파마들과 달리 사노피는 염증면역부문에서 IL-4/13 듀픽센트(아토피)를 기반으로 고성장하고 있다. 알테오젠이 2019년에 1.6조원 규모 히알루로니다제 라이선스 아웃 계약 상대방은 사노피로 추정되며, 알테오젠에 따르면 파트너가 임상1상 준비중이라 밝힌 바, 어떤 아이템일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알츠하이머 치료제 성과는 시장의 기대와 회사의 기대 미만이었다. 첫번째 상업화 알츠하이머 항체 레켐비(lecanemab) 개발사 에자이의 목표가 24년 3월까지 미국 누적 1만명 투약 목표였으나, 20%달성에 그쳤다. 두번째 알츠하이머 항체 릴리의 donanemab은 1Q24 허가를 예상했으나 6/10 FDA 자문위원회 개최로 약 1년 연기되었다. 알츠하이머 치료제에 대한 비용-효과성, 안전성 이슈가 존재한다. Best-in-class에 대한 니즈가 높다. 최근 로슈는 TfR 기반 BBB 투과 플랫폼 브레인셔틀을 적용한 Trontinemab의 긍정적인 데이터를 발표했다. 이후 에자이 또한 Bioactics와 TfR기반의 셔틀 적용 알츠하이머 항체를 확보했다. BBB 투과 플랫폼에 대한 기대가 높다. IGF1R기반 BBB 플랫폼을 적용해 사노피에 라이선스 아웃한 ABL 301의 임상1상(PoC)데이터 발표가 기대되는 에이비엘바이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비만 시장은 기대 이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수요가 공급보다 훨씬 큰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노보는 체중 감량을 넘어 CVOT 등 적응증 확대를 빠르게 진행중이며 올 하반기 위고비의 MASH 데이터 발표도 기대된다. 릴리 젭바운드는 위고비보다 늦게 출시되었으나 더 높은 체중 감량 효과로 신규 환자에서 점유율이 더 높다. 또한 후속 주사제, 경구제 모두에서 best-in-class로 기대되는 아이템들을 개발하고 있다. 다크호스는 암젠이다. GIP antibody+GLP-1 agonist로 개발중인 MariTide의 내약성 이슈가 존재했으나, 임상 2상 중간 분석 결과 중도 탈락 문제가 없으며 임상시험 진행에 매우 고무되어 있다고 코멘트하며 우려를 불식시켰다. 올해 말 업데이트 예정인 임상2상 탑라인 데이터가 기대된다. 위고비, 젭바운드는 주1회 제형인데 반해 MariTide는 월1회 제형이다. 국내 업체로는 올해 중순 GLP-1/GIP/GCG Tri-agonist 전임상 데이터 발표 예정인 한미약품, GLP-1/GCG 임상1상 데이터 발표 예정인 동아에스티, 월1회 서방형 기술 보유중인 펩트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종목 분석 유한양행 (000100), SK바이오팜 (326030) 텔레그램: https://t.me/bioksm 자료링크: https://han.gl/x1YQH
4 05667Loading...
20
AMD 로드맵 3nm 공정- GAAFET(Gate-All Around Field-Effect Transistor)을 사용 3nm 공정에서 GAAFET를 사용하는 파운드리는 오직 삼성 파운드리
3 10840Loading...
21
Media files
7 03866Loading...
22
최초 1,000만에서 800만, 400~500만으로 하향 이었는데 다시 전망이 상향되었네요. 전일 애플 로드맵이 화제였는데 초기성과가 잘 나온다면 애플의 OLED 도입은 더욱 가속화 될 것 같습니다.
6 06837Loading...
23
애플의 OLED iPad Pro 출하량 목표 900만 대 돌파 전망 - 애플의 첫 OLED 스크린 태블릿인 아이패드 프로의 출하 목표가 900만 대를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전반적인 IT 기기 시장의 침체를 고려할 때 주목할 만한 성과이다 https://www.digitimes.com/news/a20240527PD211/apple-oled-ipad-pro-shipments.html
7 15379Loading...
24
오타가 아니라면 3nm GAA 는 어디...?
5 65615Loading...
25
Su는 전력 효율과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AMD의 실리콘 로드맵의 다음 단계로 3nm Gate All Around (GAA) 트랜지스터를 지목했으며, 더욱 효율적이고 비용 효과적인 모듈형 디자인을 가능하게 하는 첨단 패키지 및 상호 연결에 대한 지속적인 집중과 함께 언급했습니다. 첨단 패키지는 단일 칩 패키지의 제약 조건 내에서 더 많은 성능을 발휘하는 설계를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하며, AMD는 2.5D 및 3D 패키징을 혼합하여 데이터 센터 실리콘의 각 제곱 밀리미터에서 짜낼 수 있는 컴퓨팅 성능 당 전력 소비를 최대화합니다.
5 77827Loading...
26
https://www.tomshardware.com/pc-components/cpus/lisa-su-announces-amd-is-on-the-path-to-a-100x-power-efficiency-improvement-by-2027-ceo-outlines-amds-advances-during-keynote-at-imecs-itf-world-2024
5 84821Loading...
27
Media files
5 7944Loading...
28
https://youtu.be/nFYwcndNuOY?si=PPeVW7qkIiqIceHg
6 1345Loading...
29
요즘 선재 신드롬이 대단한데, 흡사 예전 06-07시즌 당시 하이킥 정일우 때 정도의 임팩트를 느끼는 중이네요 재밌는 현상입니다ㅎㅎ by 성바
6 2209Loading...
30
애플 OLED 로드맵 정리해봤습니다
4 703130Loading...
31
[속보] 尹 "2025·2026년 '한일중 문화 교류의 해' 지정" [속보]리창 "2025~26년 중한일 문화교류의 해…왕래 확대"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40527_0002749584&cID=10301&pID=10300 [속보] 리창 "역내 산업망·공급망 협력 강화해 중·한·일 FTA 협상 추진"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40527010013809
5 22622Loading...
32
[ APPLE의 WWDC 프리뷰 : AI by 마크 거먼 ] - 애플의 WWDC 가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 이번 애플의 WWDC 는 AI 때문에 아이폰 초창기 만큼 관심이 높은 것 같습니다 - 그래서 Apple 프로 유출러인 마크 거먼도 요즘 Apple WWDC 이야기만 하는데요 - 지난 주말 사이 마크 거먼이 예상하는 WWDC 내용입니다 📝 주요 내용 1.AI 신기능 - Apple은 WWDC의 상당부분은 AI 관련 신기능에 할애할 것으로 전망 - 새로운 전략의 핵심은 주요 앱에 통합할 AI 도구 세트인 “Project Greymatter” - 올해에는 음성 메모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AI로 사진을 보정하고, 스포트라이트 기능에서 더 빠르고 안정적인 검색을 하는 등 기존의 기능을 보완해나갈 것 - Safari 웹 검색을 개선하고 이메일과 문자 메시지에 대한 답장을 자동으로 제안하는 기능이 추가될 예정임 - 개인 비서 Siri도 업그레이드되어 더욱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해질 것이며, 이동 중에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더욱 발전된 Siri가 Apple Watch에 추가될 것 - Xcode를 비롯한 개발자 도구에 AI 기능이 향상될 것 - 이모티콘에 AI를 도입하여, 사용자가 문자를 보내는 내용을 기반으로 즉석에서 맞춤형 이모티콘을 만들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 중임 - 가장 큰 부분은 스마트 요약 기능으로, 사용자에게 부재중 알림과 개별 문자 메시지, 웹 페이지, 뉴스 기사, 문서, 메모 등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에 대해 요약 정보를 제공할 예정임 2. 온디바이스VS클라우드 - AI 기능에 대한 대부분의 처리는 작년에 출시된 iPhone, iPad 및 Mac 칩에서 온디바이스 형태로 실행될 예정임 - 그러나 더 많은 연산 능력이 필요한 기능의 경우 작업은 클라우드를 이용할 것이며, 데이터센터에 위치한 M2 Ultra 칩으로 구동될 것 - Apple은 iOS 18과 macOS 15에 작업을 기기에서 처리할지 아니면 클라우드를 통해 처리할지 결정하는 소프트웨어를 신제품에 포함할 예정임 3. 자체 챗봇 애플의 AJAX는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됨 - Apple이 자체적으로 개발해 온 AJAX는 경쟁사대비 만족스럽지 못한 수준에 그침 - Apple의 일부 경영진은 자체 챗봇에 대해 철학적으로 반대하고 있음에도 챗봇의 필요성은 피할 수 없음 - Apple은 챗봇 도입을 위해 Google과 OpenAI과 논의하였고, 결국 Chat GPT를 선택하며 Gemini를 사용하는 삼성 기기에 비해 성능 측면에서 잠재적인 우위에 섬 - 그러나 애플은 Chat 가 단일 공급업체가 되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음. 따라서 구글의 Gemini를 옵션으로 제공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6월 WWDC에서 해당 옵션을 선보일 것으로 예상되지는 않음 - 가장 큰 문제는 Apple이 자체 챗봇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한지에 대한 여부임 4. 애플의 강점 Apple은 경쟁업체가 따라올 수 없는 두 가지 장점 1. 방대한 Apple 기기 보급률임 - 전 세계에 수억 대의 Apple 디바이스가 AI 기능을 지원할 것 - Apple의 기기를 소유한 사람들은 적어도 새로운 기능을 사용하며 Apple은 하룻밤 사이에 가장 큰 AI 플레이어로 도약할 수 있음 - 애플은 AI 기능을 9월 정식 출시 전에 프리뷰(베타 버전)로 마케팅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는데, 베타 버전의 출시는 이 기술이 아직 완전히 완성되지 않았음을 의미함 2. Apple은 개인 보안 측면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됨 - 클라우드 처리를 위해 사용하는 M 시리즈 칩의 보안 기능을 강조 - 클라우드 기반의 AI 기능이 잠재적으로 민감한 정보를 데이터 센터로 전송하더라도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음을 주장할 것 🤗 관련한 생각 - 기존 루머들과 거의 합치하며 챗봇에서는 GPT를 사용하고 그 밖의 기능에서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AI 모델들을 각각 특화된 상황과 기능에 사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 GPT를 대체하기 위한 AJAX 애플 AI 모델의 경우에는 현재 GPT 3.5~4 사이의 수준으로 생각됩니다 - 애플은 당연히 다양한 상황에 특화된 AI 모델을 개발할 뿐만 아니라 결국 GPT를 대체하기 위한 AJAX 개발도 계속해서 이어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 GPT 를 솔벤더로 사용하는 것조차 부담감을 느끼고 있기 때문입니다 - 거먼도 언급했듯이 애플은 워낙 보유하고 있는 생태계가 엄청나기 때문에 예상보다 더 빠르고 쉽게 주요 AI 기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최근 작곡 앱인 Logic Pro에서 생성 AI 기능이 대거 보강되었으며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인 Final Cut에서도 생성 AI가 도입되기 시작되었고 계속해서 추가될 예정입니다 - 애플 기기들을 위한 소프트웨어 작성 프로그램이 Xcode에도 Github Copilot 과 같은 생성 AI 기능이 추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따라서 애플이 WWDC를 기점으로 예상보다 빠르게 주요 AI 기업이 되고 AI를 수익화 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BK TechInsight 텔레그램 채널 https://t.me/Barbarian_Global_Tech 바바리안 리서치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
4 81965Loading...
33
https://blog.naver.com/ryankim1106/223459581791
5 87885Loading...
34
https://www.cosmobeautyseoul.com/fairDash.do?hl=KOR
9 35523Loading...
35
Media files
6 41118Loading...
36
• 관계 변화의 시작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042647?sid=100
5 92741Loading...
37
5월 조주회^^
6 7373Loading...
38
미국에서 가성비 열풍: 화장품과 식음료의 투자 방향 https://m.blog.naver.com/riamunger/223458209222
13 818210Loading...
39
Media files
6 84128Loading...
Repost from 점프
[삼성증권 금일 삼성전자 관련 반도체 세션] 1. HBM3 관련해서 초기에는 열나서 못쓰겠다. 소프트웨어랑 먹통이다 등의 문제가 있었다. 지금은 해당 문제들은 해결되었고 전력소비 큰 것을 해결 해달라는 요청을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 (Broadcom에 의하면 SK Hynix HBM보다 전력 30% 더 소모, 마이크론 보다는 이보다 더 크게 소모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2. 삼성전자 3nm GAA 관련 AMD 서버향 받은건 아니고 Legacy 쪽 4nm 수주를 받은 것으로 확인된다. 3. 삼성증권은 삼성전자가 Risk 대비 Return이 엄청 좋은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Top Pick으로 상향한다. (SK하이닉스는 여전히 Top Pick 유지) 3. HBM3 퀄 통과는 예정대로 5~6월에는 나올거라고 생각하고 있다. (전럭소모 개선 조건부 퀄 통과가 나올수도 있다.) 4. 다만, 열나는건 Metal Layer를 두껍게 한다던지 해서 해결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오류는 사람 붙이면 된다. 그런데 전력소모 개선은 쉽지 않다. 기본 Die 자체가 빨라져야 한다.. => 물리적으로 봤을때 electron 을 더 빨리 밀어야 하니까 변압을 더 높게 걸어야 하고 이로 인해 저항이 더 생기고 열도 나고 이런건데 이걸 어떻게 해결할지..? 당장 1a를 뜯어 고치기는 늦었고 1c에서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 그와중에 이것저것 땜빵을 해보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5. 엔비디아향 HBM3e는 SK하이닉스가 거의 다가져갈거다. 삼성 공급량은 얼마 안될거다. 다만, 변수는 AMD다. 6. HBM 때문에 메모리 업체들 Capa가 없고 (삼성은 Capa 감소효과) 범용 메모리 가격이 올라갈거다. 이런 상황에서 범용 디램 패가 남은건 삼성이다. 마진의 큰 상승이 범용 디램에서 일어날수 있다. 7. 삼성의 HBM 마진은 그렇게 낮지않다. 작년 하이닉스 마진 50%, 삼성전자 40% 물론 올해는 HBM3e가 들어와서 격차가 벌어지긴 하겠지만 엄청 크지 않을꺼고 범용 가격이 올라오면 수익성은 많이 개선될거다. 8. 삼성도 하이닉스도 투자는 안하고 있다. 장비업체들이 가격을 내려가면서 까지 HBM 투자를 확보하고 있다. 두 업체 모두 투자를 더하겠다는 생각이 없다. 지금 감산하고 있는거랑 똑같다. (HBM 때문) 9. 소부장 밸류에이션이 매력적이 아닌데 뭘 사야되냐라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크게 두 회사를 본다 1. 피에스케이홀딩스 => 삼성전자 HBM 디레이팅 해소 필요. 닉스 마이크론에 디스컴 리플로우 공급중 2. 파크시스템스 => CoWoS 쪽에 활용성이 높아진다. 실리콘 인터포저 쪽에서 활용도 높아질 것 Q/A Session 1. END-USER(테슬라, 마소)에 따른 삼성HBM, 닉스HBM 구매변수가 있을까? => 없을 것이다. 그냥 무차별하다. 2. HBM4 Base Die를 TSMC가 가져가면 닉스 수익률은 얼마나 줄어드냐? => 예상해보자면 급격히 어닝이 줄어드는 환경은 아닐 것이다. 3. 삼성은 NCF를 고수하는지? 전력 소비만 문제라면 이 부분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건지 ? => MUF를 삼성이 처음 시도 했었는데 잘 안되었던 것 같다. 여러 이슈가 있었다. Each-layer thickness를 엔비디아에서 완화해주기 전까지는 NCF로 하는게 어려웠는데 어쩌다보니 엔비디아가 허용해주었다 HBM 쪽에서 MUF 테스트는 지금 계속해보고 있다. 발열이나 전력소비 이런건 전공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재 삼성전자 3D DRAM 스태킹 일부 MUF 사용 한미반도체는 올해 마이크론 중국 삼성 확장 노력중.. 삼성에 적극 영업중인것으로 파악된다. 여기서 단기 트레이딩 아이디어 적용 가능 추후 디램은 앞으로 3D 경쟁이 있을것 파운드리 라피더스 결국 TSMC가 흡수할 가능성이 높지 않나? => 마이크론이 일본 먹고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생각해보면 삼성전자는 파운드리에서도 유리한 게임에 있지 않다 실제로 EUV도 잘해올거라고 봤는데 그렇지 못했다. 삼성전자 FCF 입장에서 파운드리가 약점이긴 하다.
Hammasini ko'rsatish...
15👍 10🔥 1
https://youtu.be/hD3NaOG3CZ4?si=ozFM6qGQcbFWdwXd 정현이누나 목소리는 늙지도 않는군요... 이 노래에 대한 추억이 있다면 아재 인증... by 벤저민 (밝히기 부끄러움)
Hammasini ko'rsatish...
노래할게요(Serenade) | 박정현 (Lena Park) - 사랑이 올까요

박정현 (Lena Park) - 사랑이 올까요 Vocal : 박정현 Lena Park Official -

https://www.instagram.com/lenaparklive

#박정현 #LenaPark #사랑이올까요 #4집 #노래할게요 #serenade

12
K-뷰티 미국 진출 가로막는 'FDA 실사'에 대응하려면 https://www.beautynury.com/news/view/104795/cat/10/page/30 미국 내에서 사용되는 OTC(Over-the-counter drug, 일반의약품) 제품을 제조하거나 재포장, 재라벨링 하는 경우 받드시 FDA에 시설 및 제품 등록을 해야 한다. OTC에는 자외선차단제, 발한억제제, 비듬 샴푸, 여드름 제품, 피부보호제 등이 포함된다. 이들을 수출하는 기업들은 FDA 실사에 대비해야 한다.
Hammasini ko'rsatish...
[뷰티누리] K-뷰티 미국 진출 가로막는 'FDA 실사'에 대응하려면

엄격한 FDA 시설 실사를 통과하려면 모든 제조 공정의 품질 관리 여부를 점검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대한화장품협회는 지난 23일 '미국 FDA의 제조소 실사, 경고서한, 수입경보'에 대한 웨비나를 개최했다.이날 웨비나에는 미국에서 품질 보증과 국제 규정 준수 분야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는 칼 게프켄(Carl Geffken) 대표가 연사로...

👍 12 1
26년 스케쥴로 맥북이 준비되어야 한다면 필요한 케파와 증설이 이루어지고 있는 곳은 SDC밖에 없네요.
Hammasini ko'rsatish...
👍 40 1
Repost from IH Research
26년에는 맥북에도 OLED 채택 가능성 높다 https://9to5mac.com/2024/05/28/oled-macbook-pro-launch-2026/
Hammasini ko'rsatish...
OLED MacBook Pro 'highly likely' to launch in 2026 – Omdia

Tech analyst Omdia has said that Apple is “highly likely” to launch its first OLED MacBook Pro models in 2026....

9👍 1
그동안 더불어민주당을 포함한 야권에서는 금융투자소득세가 5000만원 이상의 투자 수익에 대해서만 과세하기 때문에 개미 투자자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며 적극 추진해 왔다. 윤석열 정부가 금융투자소득세 폐지를 추진할 때도 야당은 부자 감세라는 프레임으로 비판했다. 하지만 당장 직장인 ‘13월의 월급’으로 통하는 연말정산과 건강보험료에까지 금융투자소득세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나타나며 야당의 부자 감세 논리는 설득력을 잃을 것으로 예상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4/0000089369?rc=N&ntype=RANKING&sid=001
Hammasini ko'rsatish...
[단독] 금투세가 부자과세? ‘국장’서 100만원만 벌어도 인적 공제 사라져

금투세 도입 시 부양가족 인적공제 요건 中 ‘소득’으로 국내 주식 투자 수익 등 포함 국세청 “소득 체계 변화에 따른 당연한 흐름” 금융투자소득세 시행을 앞두고 금투세가 국내 증시에 미칠 전망 등에 대해 갑론을박이

🔥 45👍 9 7
11
3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