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kie

Sizning foydalanuvchi tajribangizni yaxshilash uchun cookie-lardan foydalanamiz. Barchasini qabul qiling», bosing, cookie-lardan foydalanilishiga rozilik bildirishingiz talab qilinadi.

avatar

[메리츠 Tech 김선우, 양승수]

메리츠 Tech 섹터 애널리스트 김선우, 양승수입니다. 아래와 같은 내용이 본 방에서 공유됩니다. 언제든 질문 있으시면 따로 연락 주십시오. 1) 매일 아침 7시반 - 간밤의 뉴스를 정리한 Overnight Tech News 2) 수시 - 보고서 발간 직후 Summary 내용 3) 수시 - 주요 Dart 공시 사항 4) 수시 - 일간 올라오는 주목할 뉴스 감사합니다.

Ko'proq ko'rsatish
Reklama postlari
8 791
Obunachilar
+724 soatlar
+307 kunlar
+15130 kunlar
Post vaqtlarining boʻlagichi

Ma'lumot yuklanmoqda...

Find out who reads your channel

This graph will show you who besides your subscribers reads your channel and learn about other sources of traffic.
Views Sources
Nashrni tahlil qilish
PostlarKo'rishlar
Ulashishlar
Ko'rish dinamikasi
01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DRAMeXchange 5월 PC DRAM 고정가 발표] - 대부분 PC OEM과 DRAM 공급업체는 2Q24 공급 계약을 4월 하반월 완료. 가격은 15~20% QoQ 인상. 결과적으로 5월에는 PC OEM 업체로 납품이 진행되며 PC DRAM 가격은 대부분 보합세. 8GB DDR5 모듈 평균 가격은 5월말 기준 24달러 (+17% QoQ). 8GB DDR4 모듈 평균 가격은 19달러(+19% QoQ). DDR5 모듈의 가격 프리미엄은 26%로 1Q24(24%) 대비 소폭 확대 - 3Q24 PC DRAM 고정가는 DDR4, DDR5 모두 3~8% QoQ 상승 전망. TrendForce의 이전 추정치는 3Q24 DDR4 5~10% QoQ 상승, DDR5 0~5% QoQ 상승이었음. 이번 가격 전망치 조정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 따름 1) DRAM 공급업체들의 HBM 생산이 확대되며 DDR5 웨이퍼 투입량이 지속 감소 중. 하지만 DDR4 제품에는 HBM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음. 삼성전자는 1anm를 이용해 HBM3E를 생산할 계획이며 PC OEM들이 DDR5를 1anm에서 1bnm로 전환하도록 유도하고 있음. 결과적으로 1anm DDR5 공급은 1bnm 제품 인증 기간 동안 지속 타이트할 전망 2) PC OEM 평균 DRAM 재고 수준은 현재 12주 이상. DDR4 재고가 DDR5보다 더 많은 상황 3) 디바이스 수요의 뚜렷한 반등 신호가 부재 4) 3Q24E DDR5 모듈의 가격 프리미엄은 현재가 동일한 수준으로 격차 감소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 - 5월 현물 시장 내 DRAM 칩 가격은 완만한 하락세 보임. 구매자들은 추가적인 시장 상황을 기다리며 구매 문의를 줄이는 모습. 아래와 같은 요인으로 초과 공급이 발생하는 상황 1) 모듈 업체는 리테일 수요 약세 경험 중. OEM 업체들의 주문도 크게 개선되지 않음에 따라 칩 발주 물량 감소 2) 모듈 업체들은 리테일 시장에서 모듈 가격 인상에 어려움 겪고 있어 칩 원가가 모듈 가격보다 높은 상황. 모듈 업체들의 수익성이 악화 3) 모듈업체는 DRAM 공급업체와 칩 물량에 관해 MOU를 체결했음. 따라서 재고 관리를 위해 현물 시장에서 기존 재고 소진에 집중해야 하는 상황. - 8Gb DDR4 칩의 4월 고정가와 5월 하반월의 현물가의 평균 차이는 9%.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며 고정가 시장 내 거래량은 제한적인 모습. 5월 하반월 동안 DRAM 공급업체들은 여전히 칩 고정가 인상을 도모했지만 모듈업체의 수요는 업체마다 상이함. 이에 따라 고정가는 4월과 큰 차이 없이 보합세 (자료: DRAMeXchange)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 34224Loading...
02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DRAMeXchange 5월 서버 DRAM 고정가 발표] - 5월 전체 서버 DRAM 고정가는 임박한 HBM3E 양산과 선단 공정 생산능력 압박으로 4월과 동일하게 5~8% 상승. 대부분의 북미 CSP가 1Q24에 2개분기(1Q24~2Q24 통합 협상) 락인 딜을 체결했기 때문에 전반적인 거래량은 크게 증가하지 않음. 대부분 거래는 Tier-2와 중국 공급업체 사이에서 발생 - 2Q24 가격 협상에서 볼 때 가격은 분명히 상승하지만 실제 거래 규모는 공급업체의 예상치를 밑도는 수준. 이는 올해 AI 서버 투자 증가가 범용 서버 성장을 잠식하고, 이에 따라 전반적 서버 DRAM 소비량이 작년 대비 크게 증가하지 않았기 때문. AI 서버에서의 증가분 제외 시 범용 서버에서는 전년 대비 감소 수준. 또한 작년부터 누적된 DDR4 재고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 DDR5 전환을 준비 중인 고객사는 재고를 소진하는 것이 아니라 DDR5로 재고 비중을 전환하는 모습. 현재 재고는 10주 이상으로 여전히 건전한 수준 - 한국 업체들은 20~25% QoQ 가격 인상 추진하지만 대부분 고객사는 관망세 유지. 2Q24 고정가 전망은 15~20% QoQ 상승으로 유지. 5월 진행 중인 협상에 따르면, DDR5 5800MT/s 64GB 공식 견적가는 222~235달러. 일부 구매자는 해당 가격에 합의했지만 실제 거래는 여전히 공급업체의 기대에 못 미치는 상황. DDR4 64GB는 대부분 거래가 유통 채널에서 발생. 결과적으로 메인스트림 고정가는 평균 +8.6% MoM 상승. 대부분 거래가 DDR5 64GB에서 발생 - 1bnm 32Gb 성능 검증 상황을 보면 대체로 큰 문제 없이 고객사들이 선호하는 모습. 많은 공급업체들이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의 non-3DS 128GB RDIMM을 승인.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은 기존 3DS 128GB 제품 견적가를 가격 상승 전 수준으로 낮추기 시작함 - non-3DS 128GB 제품이 출시되면 AI 서버용 고용량 RDIMM은 특정 용량에 더욱 집중하게 될 것. 과도했던 가격 요인은 점차 안정화될 전망. 96GB RDIMM을 채택한 서버업체들도 non-3DS 128GB로 전환을 시작할 예정. 이를 통해 RDIMM 슬롯 사용량을 줄여 서버의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 - 가장 공격적으로 전환에 나서는 마이크론과 삼성전자는 모두 32Gb mono die에 1bnm 채택 중. 4Q24까지 비중은 15%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 삼성전자는 HBM3E 생산에 1anm 생산능력을 할당할 예정이며 기존 1anm 제품은 1bnm 16Gb mono die에 대체하기 위해 검증에 나서는 중. 마이크론은 1bnm에서 32Gb, 16Gb 외에도 24Gb까지 제공할 계획. 하지만 올해도 고용량 시장에서 마이크론의 주력 생산 제품은 1bnm 32Gb가 될 예정 - 요약하자면, HBM3E 대량 생산 및 출하가 기존 128GB RDIMM 시장 점유율, 특히 SK하이닉스의 점유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예정. 마이크론과 삼성전자는 2H24까지 SK하이닉스의 시장 점유율을 지속 뺏어올 전망. AI 수요는 견조하지만 전체 서버 DRAM 수요의 15%에 불과하며 전체 수요는 아직 완전히 회복하지 않음. 따라서 TrendForce는 기대 이상의 가격 상승이 있다면 실수요 기반이 아닌 기존 재고 가치를 우려할 구매자들의 결정에서 비롯될 것으로 예상 (자료: DRAMeXchange)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 09223Loading...
03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DRAMeXchange 5월 NAND 고정가 발표] - 5월 SLC NAND Flash 수요도 통신 네트워크 제품과 통신 모듈에서 발생. 가격은 큰 변화 없는 모습. MLC NAND Flash 역시 TV, STB, UPC, 드론 시장이 안정적인 상황으로 가격 변동 없음. SLC NAND Flash 1/2/4Gb 가격은 각각 0.98달러/1.21달러/1.69달러로 전월과 동일. MLC NAND Flash 64/128Gb 가격도 3.39달러/4.90달러로 전월과 동일 - SLC, MLC와 같은 작은 용량의 2D 제품은 공급업체들의 주력 제품이 아닌 만큼 매출액 영향도 적은 편. 현재 수요 약세에도 불구하고 시장 참여자 간 눈에 띄는 입장 차이가 없는 만큼 6월 내내 안정적인 가격 흐름 전망됨 - 중국의 3대 주요 통신 사업자는 매년 수백만대 수준의 STB 입찰을 실시함. 하지만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 둔화로 인해 2023년 입찰된 물량 일부가 5월 현재도 출하를 시작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됨. 소비자들의 교체 수요 약세와 이에 따른 출하 중단은 2025년 있을 입찰에 대한 공급업체의 참여 의지와 통신 사업자의 물량에 영향을 미치며 SLC, MLC NAND Flash 수요에 추가적인 변화로 이어질 전망 - 단기적인 수요 개선 가능성은 낮음. 공급업체들은 수익성을 확보해야 하지만 추가적인 비용 효율화가 어려운 성숙기의 제품(SLC, MLC)의 감산에 대해서는 소극적일 예정. 그 결과 고정가는 균형 상태를 이룰 것으로 예상 (자료: DRAMeXchange)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5215Loading...
04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장비 양승수] [2024년 연간전망 시리즈 10] 전기전자/IT부품 AI - '소비'의 영역으로 상반기 AI에 대한 주식시장의 관점은 AI 생산을 위한 기반 마련이었습니다 본격적으로 AI가 소비되고 있지 않는 상황에서 저희는 온디바이스 AI가 본격적인 AI '소비'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또한 다수의 세트업체가 온디바이스 AI 시장에 참여 중이나 전세계 15억명이 넘는 아이폰 사용자를 기반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연결하는 iOS 시스템을 보유한 애플이 헤게모니를 가져올 수 있는 영역이라 판단합니다 애플은 WWDC를 기점으로 1) 오픈 AI와의 Alliance 구성 2) 특정 기능 수행에 용이한 다수의 Multi Modal AI 출시 3) 온디바이스 AI 맞춤 하드웨어 구성을 통해 시장을 선점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특히 애플은 올해 공개할 iOS 18의 새로운 ‘Siri’에서는 Open AI와의 AI 연맹 구축을 통한 GPT4o 채택을 추진 중 입니다. MS-Open AI 연합에 새로운 Apple-Open AI 연합 탄생이 기대되는 시점입니다. AI 기능 탑재 아이폰16 출시는 1) AI 기능 구현을 위한 새로운 하드웨어 요구 + 2) 최소 아이폰15 이상부터의 AI 기능 지원 정책 등으로 인한 강제 교체수요 창출로  연초부터 이어져온 올해 부정적인 아이폰 출하 전망에 대한 추세 반전의 기회라고 판단됩니다 아이폰에 대한 눈높이가 상향 조정되는 흐름에 맞춰 WWDC 이후에도 관련주들의 주가 상승추세 지속을 전망합니다 애플 밸류체인 내 LG이노텍 최선호주, 비에이치 차선호주 의견 제시드립니다  2024년 하반기 주목할 이슈로는 1. 중화권의 시장 참여 확대 및 애플의 폴더블 제품 출시 가능성으로 인한 기대감 지속   → 최선호주 세경하이테크 2. 메타의 저가형 Quest 흥행과 함께 VR/AR 시장에 대한 기대감 재확산 기대 → 최선호주 뉴프렉스  3. AI 제외한 기판 업황 부진 지속이 지속  → 최선호주 이수페타시스 4. 업계 전반에 낮아진 재고를 기반으로한 MLCC 가동률 상승 Cycle 진입  → 대형주 차선호주 삼성전기  제시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리포트 참조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양승수 드림 [기업분석] - 이수페타시스(007660): Buy, 62,000원 - LG이노텍(011070): Buy, 330,000원 - 세경하이테크(148150): Buy, 15,000원 - 비에이치(090460): Buy, 31,000원 - 삼성전기(009150): Buy, 190,000원 - LG전자(066570): Buy, 130,000원 - 뉴프렉스(085670): Buy, 11,500원 - 아바텍(149950): Buy, 22,000원 - 파인엠텍(441270): Buy, 13,000원 - 티엘비(356860): Buy, 33,000원 - KH바텍(060720): Buy, 22,000원  (요약본): https://zrr.kr/Aonc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9 894201Loading...
05
Meritz Overnight Tech 2024.5.31 (금)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00%, 1W -0.57%, 1M -2.21%) 현물 시장 부진 지속. 삼성전자의 파업 소식이 수요 증가로 이어지지 않았고, 현물 재고 공급은 계속 증가해 가격 약세 흐름 이어짐. 전반적 거래 환경 및 거래량이 부진 NAND(MLC 64Gb: 1D 0.00%, 1W 0.00%, 1M 0.00%) ★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뉴스 플로우 Dell 1Q24 실적발표. AI 투자 확대로 서버 수요 증가하며 컨센서스 상회하는 실적 및 가이던스 제시. 하지만 시장기대에 못미친 상회 폭, 원가 부담 언급에 시간외 주가는 18% 하락 중 (Reuters) https://han.gl/ewewC Marvell 1Q24 실적발표. 기업들의 보수적 IT 지출과 재고 소진 이어지며 시장기대치 하회하는 실적 기록. 보다 우호적인 하반기 수요 환경 전망. 시간외 주가는 4% 하락 중 (Reuters) https://han.gl/zGoLO 구글, 말레이시아에 20억달러 규모 데이터센터 투자 예정 (Reuters) https://han.gl/i1pjk 삼성·SK "차세대 메모리 PIM, AI PC·스마트폰에 적용" (ZDNet) https://han.gl/awAlR SK하이닉스, HBM 고삐 죈다..."내년 공급 계획도 이미 논의 중" (ZDNet) https://han.gl/Jxrl1 가트너 "올해 세계 AI 반도체 매출 712억 달러로 33% 증가 전망" (비즈니스포스트) https://han.gl/IuQNZ MediaTek, 4nm 기반 Dimensity 7300 시리즈 공개 (TrendForce) https://han.gl/npFM7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등락 (2%p 이상) 삼성전자(-2.3%), SK하이닉스(-3.4%), Micron(-4.0%), Western Digital(-2.5%), LG전자(-3.8%), HPQ(+17.0%), Nvidia(-3.8%), TSMC(-2.2%), SMIC(+4.9%), Sharp(+2.5%), 원익 IPS(+2.7%), Tokyo Electron(-2.5%), 덕산네오룩스(+2.5%), 이녹스첨단소재(+5%), LG에너지솔루션(-4.1%) (자료: Bloomberg, DRAMeXchange,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8376Loading...
06
Media files
1 0363Loading...
07
Media files
1 0043Loading...
08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2024년 4월 일본 MLCC 수출 데이터 정리 글로벌 수출액 - 601.1억엔 (+8.8% YoY, +5.1% MoM) 글로벌 수출물량 - 817.2억개 (+19.4% YoY, +4.2% MoM) 글로벌 수출단가 - 0.74엔 (+0.8% YoY, +0.8% MoM) 중국향 수출액 - 211.3억엔 (+39.9% YoY, +8.8% MoM) 중국향 수출물량 - 313.2억개 (+24.6% YoY, +5.4% MoM) 중국항 수출단가 - 0.68엔 (+12.3% YoY, +3.2% MoM) 유의미한 상승세가 지속되는 모습입니다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9634Loading...
09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Blackwell Shipments Imminent, Total CoWoS Capacity Expected to Surge by Over 70% in 2025, Says TrendForce - H100 공급 부족은 1Q24 완화 중. H200 물량이 2Q24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Blackwell은 3Q24E 출시, 4Q24E 본격 확대 예상 - 그럼에도 2024년은 H100, H200 등 Hopper 플랫폼에 집중할 전망. Blackwell은 4Q24부터 증가해 올해 하이엔드 GPU 시장 내 점유율 10% 미만 예상 - Blackwell 플랫폼의 칩 크기는 H100의 두 배 수준 - TSMC CoWoS 총 생산능력은 2024년 150%, 2025년 70% 이상 증가 예상됨. 엔비디아는 이 중 약 50% 사용 예정 - H100이 HBM 80GB를 주로 탑재하는 반면, 2025년 B200은 HBM3E 288GB 탑재 에정 -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AWS는 가장 먼저 GB200 도입 예정. 세 기업으로의 출하량 합산은 2025년까지 30,000 랙 이상 - 구글은 TPU AI 인프라 확장을 우선으로 진행 중 - 엔터프라이즈 고객, 각 정부의 AI 클라우드, tier-2 데이터센터 업체들의 수요도 눈에 띄게 증가 중 - 2023년은 CoWoS, HBM 공급 부족으로 주요 CSP에 공급 집중됐지만(65%), 1H24 GPU 공급 증가와 함께 Dell, HPE 등 서버 브랜드 수요 비중 19%까지 확대 예상 - CoreWeave, Tesla 등 tier-2 업체와 정부 AI 클라우드 등의 수요 점유율도 31%까지 상승할 전망 https://han.gl/Kg1ni (TrendForce)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6 14359Loading...
10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Taiwan PCB makers gear up for AI PC era, replacement demand to emerge in 2H24 - 대만 PCB 제조업체, 2H24부터 2025년까지 출시될 AI PC 및 노트북 교체 수요 충족 - 인텔과 마이크로소프트는 AI PC의 조건으로 1) Copilot 실행 능력 2) NPU 탑재 3) Copilot 버튼 탑재를 꼽음 - 대만 PCB 협회 (TPCA)에 따르면 PCB 공급업체에 있어서는 AI PC 내 NPU가 핵심 요소 - 현재 주류인 AI PC 프로세서는 퀄컴, 애플, AMD, 인텔에서 제공되며 2026년까지 전체 절반 이상 차지할 전망 - HP, Dell, Lenovo, 삼성전자, Acer, ASUS 등은 6월부터 퀄컴 칩을 탑재한 새로운 AI PC 출시 예정 - AI PC 브랜드와 협력하고 있는 PCB 업체로는 Unimicron, GCE, Tripod, Hannstar Board, Compeq 등 - 차량용 PCB 중심이었던 Dynamic Electronics도 최근 AI PC향 제품을 소량 출하하기 시작 - GCE, 3Q24E AI PC 관련 제품 소규모 출하 예정 - Hannstar, 랩탑향 매출 비중이 현재 40%에서 AI PC 보급 증가에 따라 향후 상승 예상됨 https://han.gl/zdmkH (Digitimes)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2 59025Loading...
11
Meritz Overnight Tech 2024.5.30 (목)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16%, 1W -0.57%, 1M -2.21%) 현물 가격 하락세 유지되고 수요도 약세 지속. 일부 공장에서 RDIMM 부품 구매 문의 있었지만 대부분 가격 파악 목적에 그침. 전반적 구매 상황은 여전히 침체 NAND(MLC 64Gb: 1D 0.00%, 1W 0.00%, 1M 0.00%) ★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뉴스 플로우 HP FY2Q24 실적발표. 업그레이드 수요 기반 PC 시장 회복으로 시장기대치 상회하는 매출액 기록. 연간 가이던스는 컨센서스 소폭 상회. 시간외 주가는 2% 상승 중 (Reuters) https://han.gl/yK0DX Arm, 스마트폰 내 AI 구현 위한 새로운 칩 설계 디자인과 소프트웨어 발표 (Reuters) https://han.gl/eqk0G 1Q24 NAND 시장 +28% QoQ 성장, 2Q 성장 지속 전망 (TrendForce) https://han.gl/zOy07 엔비디아, 대만에 추가 R&D 센터 건설 예정 (조선비즈) https://han.gl/44wwL 애플 신형 OLED 아이패드 프로, 올해 최대 900만대 출하 예정 (전자신문) https://han.gl/LlZ9t 삼성, 시스템 반도체 AI로 설계한다 (전자신문) https://han.gl/Utq7u 삼성에 이어 SK하이닉스도 1c D램에 '인프리아 MOR' 적용한다 (The Elec) https://han.gl/nFRAc LG디스플레이, 델에 노트북용 '투 탠덤 OLED' 공급 (The Elec) https://han.gl/NyPQd 중국 화웨이와 SMIC '3나노 반도체' 개발 전망, 삼성전자 TSMC 공정기술 추격 (비즈니스포스트) https://han.gl/BTYEO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등락 (2%p 이상) 삼성전자(-3.1%), Intel(-3%), Qualcomm(-2.3%), TI(-2.3%), STMicro(-2.7%), Marvell(-3.3%), AMD(-3.8%), Magnachip(-2.2%), LG디스플레이(-3.1%), AP시스템(-2.6%), 솔브레인(-3.8%), UDC(-3.2%), 삼성SDI(-4.8%), LG에너지솔루션(-5%), BYD(+8.4%) (자료: Bloomberg, DRAMeXchange,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 1096Loading...
12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Arista Delivers Holistic AI Solutions in Collaboration with NVIDIA - 아리스타 네트웍스, 엔비디아와 협력하여 컴퓨팅 및 네트워크 도메인을 단일 관리 AI 개체로 정렬하기 위한 AI 데이터 센터 기술 시연 발표 - 이번 솔루션의 핵심은 네트워크와 호스트가 서로 통신하고 구성을 조정하여 AI 클러스터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는 'Arista EOS-based agent' - 원격 AI 에이전트를 사용하여 아리스타 스위치에서 실행되는 EOS를, 직접 부착된 NIC 및 서버로 확장하여 전체 솔루션으로 AI 데이터 센터 전체에서 단일 제어 지점과 가시성을 허용 - 아리스타는 NVIDIA 가속 컴퓨팅, NVIDIA SuperNIC 및 Arista 네트워크 인프라의 구성, 검증 및 모니터링을 통해 작업 완료 시간을 개선하여 네트워크와 GPU 연결간 통신 효율성 향상을 목표 - 아리스타는 오는 6월 5일 열리는 아리스타 IPO 10주년 기념행사에서 AI 에이전트 기술을 시연할 예정이며, 2H24 Customer trials 예정 https://buly.kr/2Ugo2oI (AristaNetworks)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6 07993Loading...
13
https://v.daum.net/v/20240529151622548
1 40113Loading...
14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Nan Ya PCB expects substantial demand recovery in 2H24 - 대만 IC 기판 공급업체 Nanya PCB, 상반기에 부진한 출발을 기록했으나 올해 하반기에는 상당한 수요 회복을 기대 - Nanya PCB는 지정학적 요인, 네트워크 통신 사업의 감소, 빅테크 업체들의 주문 감소로 1분기가 예상보다 낮은 실적을 기록했다고 언급 - 다만 1분기를 기점으로 2분기에 소폭 회복하고 3분기부터 상당한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 또한 지속적인 지정학적 우려로 동남아시아 증설을 논의 중이며, 공장 건설에는 최소 4억~5억 달러가 필요하다고 언급 - ABF 기판의 경우 4nm 고급 프로세서, AI GPU, AI 트랜시버 칩 모듈, 800G 스위치, 고속용 애플리케이션 기판을 개발 중 - BT 기판의 경우 이종집적 패키징 추세에 대응하여 차세대 모바일 장치용 마더보드, 카메라 모듈, 광 센서 및 터치 볼륨 제어 장치용 고급 기판을 개발할 예정 - 일반 PCB의 경우 데이터 센터 및 서버가 HDI(고밀도 상호 연결) ​​및 다층 PCB에 대한 수요를 주도하고 있으며 AI 서버 그래픽 카드, 차세대 서버 네트워크 통신 카드, 서버 SSD용 애플리케이션 제품을 개발하고 양산할 예정 링크: https://zrr.kr/XjM1 (Digitimes)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1 72810Loading...
15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837101?sid=105
1 33010Loading...
16
Meritz Overnight Tech 2024.5.29 (수)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16%, 1W -0.42%, 1M -2.05%) 현물 시장 활동 침체. 수요 약세 지속되는 가운데 공급업체들의 가격 인하 이어짐. 대부분 구매자들은 추가 가격 하락을 전망하며 보수적 태도 유지. 부진한 거래량 지속 NAND(MLC 64Gb: 1D 0.00%, 1W 0.00%, 1M 0.00%) ★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뉴스 플로우 OpenAI, 새로운 AI 모델 학습 시작하며 안전위원회 구성 (Reuters) https://han.gl/OvZRY 말레이시아 정부, 반도체 산업에 최소 1,070억달러 투자 목표 (Reuters) https://han.gl/Vz4Ln 엘리엇, Texas Instrument에 25억달러 투자하며 현금흐름 개선 촉구 (CNBC) https://han.gl/glvav 젠슨 황 엔비디아 CEO, TSMC 창업자·CEO 비공개로 만난다 (조선비즈) https://han.gl/e1CUO 삼성전자, 美서 3·4나노 고객사 'AMD·그로크' 알린다 (ZDNet) https://han.gl/rqKsW 삼성D·LGD, 애플 아이폰16프로 OLED 양산 승인받았다 (The Elec) https://han.gl/dOI23 마이크론 일본에 EUV 기반 D램공장 신설키로, HBM 생산 가능성도 거론 (비즈니스포스트) https://han.gl/dZBTM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등락 (2%p 이상) Micron(+2.5%), Nanya(+2.6%), LG전자(+13.4%), Asus(-2.4%), Nvidia(+7.0%), Marvell(+2.2%), AMD(+3.2%), Mediatek(+1.9%), Magnachip(+2%), BOE(-4.7%), LG디스플레이(+3.7%), Sharp(-2.9%), AP시스템(+2.5%), 솔브레인(+11.3%), Kanto Denka(+5.5%), 덕산네오룩스(+2.6%), UDC(+2.7%), Merck(-2.6%), 삼성SDI(-2.5%) (자료: Bloomberg, DRAMeXchange,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 2544Loading...
17
Media files
1 0362Loading...
18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중국 4월 스마트폰 출하량 코멘트: 6.18 앞둔 셀인 반등 아이디어 유효 - CAICT 중국 4월 핸드셋 출하량 약 2,407만대(+12.6% MoM, +28.8% YoY), 스마트폰 출하량 약 2,267만대(+12.1% MoM, +25.5% YoY) 발표 - Apple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는 Non-Local 핸드셋 출하량 350만대(-6.7% MoM, +51.9% YoY) 기록. 전체 출하량 내 점유율은 17.4% (2023년 4월 점유율 12.3%) - Apple의 중국 내 출하량은 1) 아이폰15 롱테일 수요 발생 2) 가격 할인 3)화웨이 스마트폰 대기시간 장기화 등의 이유로 3월 첫 성장세를 기록한 후 4월 큰 폭의 반등 기록 - Local 브랜드 핸드셋 출하량은 2,058만대(+16.7% MoM, +25.5% YoY) 기록. 전체 출하량 내 점유율은 83.8% 점유율(전년도 4월 점유율 87.7%) - 5G 핸드셋 출하량은 2,407만대(+14.1% MoM, +52.3% YoY) 기록. 전체 모바일 폰 중 5G 핸드셋 출하량 비중 84.1%(vs 최근 1년 평균 비중 83.9%) - 4월에 출시된 신모델은 핸드셋 33개, 스마트폰 28개, 5G 핸드셋 22개로 5G 스마트폰 신모델만 전월과 유사한 대수 유지(3월 각각 47, 29, 23개) - 스마트폰 신모델 내 5G 모델의 비중은 78.6%를 기록하며 일년 평균(67.5%)을 상회   - 중국 내 신모델 출시가 전월 대비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4월 출하량이 반등한 이유는 1) 화웨이의 5G 스마트폰 신모델인 ‘Pura 70’의 출하가 처음 반영되었고 2) Apple의 출하량이 전년 동기 때문에 큰 폭으로 증가했기 때문 - 화웨이의 출하 기조는 화웨이 벤더인 중국 카메라모듈 업체인 Q Tech의 출하량 데이터(그림12)에서 확인 가능 → 중국 내수 출하량을 화웨이가 주도함에 따라 유의미한 상관간계 기록 중 - 당사 채널체크에 의하면 4월 기준 화웨이를 제외한 다른 중화권 세트업체는 보수적인 출하 기조가 이어진 것으로 파악됨 - 중화권 세트업체의 6.18을 타겟한 셀인 물량 증가 아이디어는 여전히 유효다고 판단되며 4월에 이어 5월 추가적인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반등 기대 자세한 데이터는 리포트 참조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https://zrr.kr/lwNh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 0225Loading...
19
Media files
1 1251Loading...
20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China’s Foldables Sell-through Up ~50% in Q1 2024 as Book-type Sales Nearly Double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의 1분기 중국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 보고서 코멘트 공유 드립니다 - 1Q24 중국 폴더블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 같은 기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판매량은 2% 증가 - 같은 기간 폴드형 폴더블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한 반면, 클램셸형 폴더블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 - 1) 멀티태스킹 기능 2) 태블릿과 유사한 사용자 경험 제공 3) 더 얇고 가벼운 디자인 제공으로 폴드형 폴더블에 대한 선호도가 크게 증가 - Huawei가 폴드형 MateX5와 클램쉘형 Porket2 모두 흥행에 성공하면서 폴드 및 클램쉘형 폴더블 스마트폰 판매 상승을 주도 - 중국 OEM들이 공격적인 확장보다는 수익성에 중점을 둠에 따라 1Q24 신규 폴더블 스마트폰 출시 건수는 이전 분기에 비해 감소. 그럼에도 불구하고 폴더블 시장은 중국 스마트폰 시장 에서 여전히 밝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 링크: https://buly.kr/DaMXPGC (Counerpointresearch)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1 2086Loading...
21
Media files
1 1955Loading...
22
Media files
1 1715Loading...
23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중국 2024년 4월 스마트폰 출하량 데이터가 발표되었습니다. - 4월 2,267만대(+12.1% MoM, +25.5% YoY) - 전체 모바일 폰 중 5G 모바일 폰의 비중은 84.1% - 모바일 내 중국 로컬 브랜드 비중 83.8% - Non Local(애플) 4월 출하량 350만대(-6.7% MoM, +51.9% YoY) * 3월 2,022만대 (+44.0% MoM, -6.2% YoY) * 2월 1,404만대 (-52.4% MoM, -31.3% YoY) * 1월 2,951만대 (+10.0% MoM, +61.4% YoY) (출처: CAICT)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1 17214Loading...
24
Media files
1 0663Loading...
25
Media files
1 0583Loading...
26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MLCC Shipments Expected to Increase by 6.8% in Q2 Thanks to Strong AI Server Demand, Says TrendForce - Trendforce에 따르면 1Q24 MLCC 출하량은 3분기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2Q24 출하량은 강력한 AI 서버 수요 덕분에 전년 동기 대비 6.8% 증가한 1조 2,345억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 - 다만 AI 관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은 높은 가격 및 애플리케이션 부족으로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 - 예를 들어 미국 상업용 노트북 브랜드는 2분기에 출시 초기 월 평균 500,000개 대비 크게 감소한 월 평균 200,000~240,000개에 불과한 ODM 주문을 진행 중 -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화웨이만 신제품 Pura 70 시리즈 판매 호조로 안정적인 재고를 유지한 반면, 기타 브랜드의 재고가 둔화되면서 MLCC 주문은 전분기 대비 5~7% 감소 예상 - 변동없는 주문으로 인해 OEM, ODM 업체들은 MLCC 수주를 보수적으로 계획 중 - 이에 따라 MLCC 공급업체들은 주로 긴급, 단기, 재할당 주문에 초점을 맞춰 용량과 재고를 신중하게 관리 중 - ODM이 현재의 재고 속도를 유지할 경우 MLCC 공급업체의 2분기 평균 BB 비율이 0.92로 소폭 증가하여 전분기 대비 2.2% 성장할 것으로 예상 - 지난 5월 말 MLCC 공급업체들은 ODM업체들과 3분기 가격 협상을 시작. 소비자급 MLCC 가격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거나 가격 하락폭이 감소했으나 자동차급 MLCC는 중국 내 경쟁 심화에 직면 https://buly.kr/EzgbE0D (Trendforce)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1 15713Loading...
27
Meritz Overnight Tech 2024.5.28 (화)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26%, 1W -0.42%, 1M -1.90%) 현물 시장 분위기 침체. 공급업체들의 대규모 재고 소진 이어지고 있지만 구매자와 판매자 간 가격 예상치에 격차가 있음. 실제 구매 활동 약세, 가격은 하락세 지속 NAND(MLC 64Gb: 1D 0.00%, 1W 0.00%, 1M 0.00%) ★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뉴스 플로우 AMD 리사 수, AI 칩 전력효율 강화 위해 3nm GAA 공정 도입 언급 (Tom’s Hardware) https://han.gl/llYGH AWS, 이탈리아에 수십억유로 규모 클라우드 투자 협의 중 (Reuters) https://han.gl/5dUgd 소프트뱅크 "AI사업 강화…최소 90억 달러 투자" (ZDNet) https://han.gl/lJuYx "반도체 업황 회복세" 팹 평균 가동률 75%, 하반기 80% 전망 (ZDNet) https://han.gl/FwtV9 'AI 메모리 격차 더 벌린다'…SK하이닉스, 연산하는 HBM 개발 (전자신문) https://han.gl/jGGgd 애플, 내달 WWDC서 오픈AI와 협력 공식화 (전자신문) https://han.gl/eAf2w 삼성전자 파운드리서 구글도 이탈, 첨단 미세공정 개선 급선무로 떠올라 (비즈니스포스트) https://han.gl/GPwV7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전기전자/IT부품 주요 뉴스 플로우 삼성전자, 차기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S25 울트라 모델의 카메라 대규모 업그레이드 예정. 중국 IT 팁스터 아이스유니버스의 웨이보 보고서에 따르면 S24의 3배 10MP 망원카메라와 12MP 초광각카메라가 갤럭시S25 울트라에서 각각 3배 50MP 망원 카메라와 50MP 초광각 카메라가로 업그레이드 될 예정(케이벤치) https://buly.kr/AaneZzL 대만 PCB 회사 Compeq, 2024년 하반기에 소비자 가전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수요가 완만하게 반등할 것으로 예상하는 한편, 연중 저궤도(LEO) 위성향 주문 증가에 대해 낙관적인 입장을 유지. 또한 Compeq는 AI 서버 및 초고석 네트워크 디바이스 산업 진출 관련 HDI 제품 개발 및 인증을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내 태국 신규 공장의 대량 생산 시작을 목표 (Digitimes) https://buly.kr/EI1ZB9r 파인엠텍, 디일렉에 의하면 삼성전자 갤럭시Z플립용 힌지 '백업 승인'은 받았으나 올해 하반기 출시 예정인 갤럭시Z플립6용 힌지 승인은 아직 못받은 상황. 파인엠텍은 올해 매출에서 폴더블폰 힌지 비중을 10%로 높이겠다는 기존 목표는 유지 중. 외장 힌지에는 현재 국내 KH바텍, 에스코넥, 파인엠텍,에이유플렉스 및 중국 환리가 공급망에 참여 중 (디일렉) https://buly.kr/6Bui3g5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등락 (2%p 이상) Micron(+2.6%), LG전자(+2.4%), Lenovo(+8.9%), Asus(+4%), Intel(+2.1%), Qualcomm(+4.3%), Nvidia(+2.6%), Marvell(+2.2%), AMD(+3.7%), Mediatek(+7.5%), DB하이텍(-3.6%), UMC(+3.7%), SMIC(+7.4%), 원익 IPS(+4.7%), 원익머트리얼즈(+2.5%), Kanto Denka(-2%), 덕산네오룩스(+4.5%), Yageo(+2.5%), 삼성SDI(+3.5%), LG에너지솔루션(+2.4%) (자료: Bloomberg, DRAMeXchange,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 1377Loading...
28
📮[메리츠증권 중국 최설화] [중국, 반도체 국부펀드 3기 조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중국은 반도체 국부펀드 3기 조성. -규모는 3,440억 위안(약 65조원). 2014년에 설정된 1기 펀드규모 1,200억 위안, 2019년의 2기 펀드는 2,000억 위안이었음 -경영범위는 사모펀드, VC펀드로 반도체 밸류체인 기업 투자일 것으로 추정 https://mi.mbd.baidu.com/r/1jTpdVIo8SI?f=cp&u=ac5577d72fc0ba96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사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없이 제공합니다.
1 19512Loading...
29
Meritz Overnight Tech 2024.5.27 (월)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00%, 1W -0.36%, 1M -1.64%) 거래 심리는 침체됐고 매수세도 눈에 띄게 약한 상황. 공급업체의 호가는 소극적으로 변화했으며 전반적 시장 동향은 큰 가격 변동 없이 안정적 NAND(MLC 64Gb: 1D 0.00%, 1W 0.00%, 1M 0.00%) ★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뉴스 플로우 xAI, 최신 버전의 Grok 구동을 위해 슈퍼컴퓨터 투자 계획 (Reuters) https://han.gl/XSKxp 엔비디아의 中 판매용 H20, 화웨이 제품 대비 할인된 가격에 판매돼 (Reuters) https://han.gl/JumB0 엔비디아, CoWoS 생산능력 부족을 완화하기 위해 GB200의 FO-PLP 적용 가속화할 계획 (TrendForce) https://han.gl/g6Ji1 어플라이드, "HBM에 하이브리드 본딩 적용 필요"… 폼팩터·열방출 개선 가능 (The Elec) https://han.gl/Dsz5B "올해 전세계 디스플레이 장비투자 54% 반등" (The Elec) https://han.gl/AOCVN 삼성전자, 中업체 통한 JDM 스마트폰 생산량 2300만대 늘린다 (The Elec) https://han.gl/mnng3 원가 부담 확대되며 2H24 스마트폰 가격 인상 예상돼 (Digitimes) https://han.gl/5y7XJ OLED 모니터 패널 출하량 급증… 삼성D·LGD, 시장 공략 박차 (조선비즈) https://han.gl/2j9Rg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등락 (2%p 이상) 삼성전자(-3.1%), Micron(+2.6%), Lenovo(-2.3%), Intel(+2.1%), Qualcomm(+4.3%), Nvidia(+2.6%), Marvell(+2.2%), AMD(+3.7%), DB하이텍(-4.5%), UMC(-2.5%), 원익 IPS(-4.4%), 에스에프에이(-3.6%), AP시스템(-3.3%), Tokyo Electron(-2.8%), 솔브레인(-4.3%), Yageo(+2%), BYD(-2.6%) (자료: Bloomberg, DRAMeXchange,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 4714Loading...
30
Media files
1 6649Loading...
31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SK로 HBM 주문 밀려든다…최태원 "해외 생산도 검토" - 최태원 SK 회장, "국내 증산에 더해 추가 투자가 필요한 경우 일본, 미국 등 다른 나라에서 제조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고 밝힘 - SK하이닉스는 현재 HBM3에 이어 HBM3E도 사실상 엔비디아에 독점 납품 중으로 알려짐. 일각에서는 올해 HBM 물량 중 SK하이닉스 비중이 60%를 넘어갈 것으로 예상 - 앞서 최 회장은 국내 취재진에게 최근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SK하이닉스에 연구개발을 서둘러 달라고 말했다는 일화를 전하기도 함 - 반도체 R&D에 있어 일본 기업과의 제휴를 강화하겠다는 뜻도 밝힘. "새로운 R&D 시설 설치나 일본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 - 최 회장은 "투자자로서 키옥시아의 성장을 바라고 있다"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발언을 하고 싶다"고 발언 -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 관련해서는 "중국 사업은 효율적으로 유지할 것"이라며 "당분간 사업을 계속할 방침"이라고 밝힘 https://han.gl/okjNu (뉴시스)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1 83023Loading...
32
Meritz Overnight Tech 2024.5.24 (금)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00%, 1W -1.13%, 1M -1.64%) 현물 시장 모멘텀 약화. DDR4/DDR5 일부 산발적 구매 문의 있었지만 대부분 가격 탐색에 그침. 실제 구매는 보수적인 모습. 다양한 사양의 브랜드 칩 가격은 하락 추세 NAND(MLC 64Gb: 1D 0.00%, 1W 0.00%, 1M 0.00%) ★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뉴스 플로우 AMAT, 美 상무부로부터 중국 출하에 대한 추가 소환장 받았다고 발표 (Reuters) https://han.gl/0512C MSFT, UAE와 협력 과정에서 AI 칩과 기술의 해외 이전이 일어날 전망 (Reuters) https://han.gl/JRjeU 구글, 폭스콘과 협력해 인도 내 픽셀 스마트폰 생산 예정 (Reuters) https://han.gl/tABKp Lenovo 1Q24 실적발표. PC 시장 수요 둔화 마무리되며 시장기대치 상회하는 실적 발표 (Reuters) https://han.gl/sxDGY SMIC, 1Q24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내 점유율 3위 등극 (CNBC) https://han.gl/um0bv 정부, 국내 반도체 밸류체인 키운다…26조원 규모 지원책 발표 (The Elec) https://han.gl/trbPb 삼성디스플레이, '아이패드 미니' 패널 개발 착수…IT OLED 사업 확장 (ZDNet) https://han.gl/Avamq TSMC 올해 3나노 파운드리 물량 3배로 증가 전망, CoWoS 투자도 공격적 (비즈니스포스트) https://han.gl/GZ303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등락 (2%p 이상) Apple(-2.1%), Intel(-4.3%), TI(-2.6%), Nvidia(+9.3%), AMD(-3.1%), SMIC(-3%), BOE(-2.5%), AUO(-2.2%), Sharp(+2.0%), 원익 IPS(+2.8%), AP시스템(+9.1%), ASML(+2.6%), 덕산네오룩스(+2%), 이녹스첨단소재(-1.9%) (자료: Bloomberg, DRAMeXchange,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 3995Loading...
33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장비 양승수] ▶ Apple’s first foldable product — the full-screen foldable MacBook survey update Apple의 폴더블 맥북 출시 관련 궈밍치 코멘트 공유드립니다 - Apple은 폴더블 맥북을 위해 20.25인치 옵션 외에도 18.8인치 패널 사용을 고려 중이며 LGD가 패널 독점 공급업체 - 두 패널의 차이점은 각각 14~15인치 및 13~14인치 노트북의 디자인에 해당하는 접이식 폼 팩터라는 점 - 패널과 어셈블리의 양산 목표 양산 일정은 각각 25년 4분기, 26년 상반기로 해당제품은 M5 시리즈 프로세서를 사용할 전망 - 주름 없는 패널을 디자인 목표로 삼아 패널 및 힌지 비용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패널과 힌지 비용은 각각 약 600~650달러 및 200~250달러로 추정. 양산 시점까지 생산 수율이 향상이 목표 - LGD(패널)와 Amphen(힌지)은 현재 Apple의 독점 개발 파트너로 주름 문제를 해결하려면 패널과 힌지 간의 높은 수준의 통합이 필요 - 디스플레이와 힌지의 높은 가격을 고려하면 폴더블 맥북은 고가일 가능성이 높고 Apple이 대량 생산 전에 수율을 크게 개선하고 비용을 절감하지 않는 한 폴더블 MacBook의 BOM 비용은 현재 Vision Pro에 접근할 전망 - 하지만 폴더블 맥북의 제품 포지셔닝이 더욱 명확해지면서 출하량은 비전 프로보다 훨씬 높을 것으로 예상. 2026년에는 출하량이 100만개를 넘을 것으로 추정 https://zrr.kr/QPxO (링크)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4 41152Loading...
3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307993?sid=101
1 3616Loading...
35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안녕하세요 메리츠 전기전자/IT부품 담당하는 양승수 연구원입니다 작년 탐방노트에 이어서 디케이티 업데이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디케이티(290550): 2024년은 디케이티의 해 - 2024년 매출액 4,148억원(+48.0% YoY), 영업이익 262억원(+78.6% YoY)의 최대 실적 달성을 전망 - 이미 1Q24 매출액 1,158억원(+70.1% QoQ, +71.9% YoY), 영업이익 77억원(+142.3% QoQ, +197.7% YoY)의 분기 최고 실적을 기록, 긍정적인 체질 개선이 이뤄지고 있음을 입증 - 1Q24에 이어서 고객사의 견조한 수주잔ㄱ 기반 무선충전모듈 매출의 성장과 폴더블, S25 생산 Cycle 진입을 통해 2~4분기 지속적인 실적 호조를 예상 - 2024년은 실적 성장 외 매력도 높은 신사업으로 사업 다각화가 이뤄진다는 점도 주목 - 1) 올해 4분기 국내 및 북미업체향 IT OLED 관련 첫 매출 발생 예상 → 수요 성장이 막힌 스마트폰과 달리, IT OLED는 향후 제품군 확장을 통한 지속적인 매출 성장이 기대된다는 점에서 유의미 - 2) 기존 스마트폰 PCM 고객사와 동반 진행하는 ESS 파워모듈향 매출이 3분기에 처음으로 인식될 전망 - 인수 후 개발과제 수주금액이 증가(그림7)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양산으로 전환 과정에서 지속적인 실적 성장 기대 - 올해는 파일럿 라인을 통한 제품 첫 양산이라 미미한 매출 규모가 예상되나 내년부터 북미 시장 진출 및 고객사 확대를 통한 본격적인 매출 성장을 전망 - 이 외에 올해 실적 성장을 견인할 무선충전모듈 사업도 향후 완성차 고객사향 추가 인증 및 고객사의 수주 확대에 따른 추가적인 매출 성장 기대 - 동사 현 주가는 당사 추정치 기준 2024년 Per 8.4배에 거래되고 있어 최근 주가 상승에도 밸류에이션 부담은 낮은 상황 - IT OLED 및 전장, ESS 매출 확대를 통한 추가적인 멀티플 리레이팅으로 실적 성장과 사업체질 변화를 감안한 기업가치 재평가가 이뤄질 시점으로 기대 https://han.gl/gD7TN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 59315Loading...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DRAMeXchange 5월 PC DRAM 고정가 발표] - 대부분 PC OEM과 DRAM 공급업체는 2Q24 공급 계약을 4월 하반월 완료. 가격은 15~20% QoQ 인상. 결과적으로 5월에는 PC OEM 업체로 납품이 진행되며 PC DRAM 가격은 대부분 보합세. 8GB DDR5 모듈 평균 가격은 5월말 기준 24달러 (+17% QoQ). 8GB DDR4 모듈 평균 가격은 19달러(+19% QoQ). DDR5 모듈의 가격 프리미엄은 26%로 1Q24(24%) 대비 소폭 확대 - 3Q24 PC DRAM 고정가는 DDR4, DDR5 모두 3~8% QoQ 상승 전망. TrendForce의 이전 추정치는 3Q24 DDR4 5~10% QoQ 상승, DDR5 0~5% QoQ 상승이었음. 이번 가격 전망치 조정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 따름 1) DRAM 공급업체들의 HBM 생산이 확대되며 DDR5 웨이퍼 투입량이 지속 감소 중. 하지만 DDR4 제품에는 HBM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음. 삼성전자는 1anm를 이용해 HBM3E를 생산할 계획이며 PC OEM들이 DDR5를 1anm에서 1bnm로 전환하도록 유도하고 있음. 결과적으로 1anm DDR5 공급은 1bnm 제품 인증 기간 동안 지속 타이트할 전망 2) PC OEM 평균 DRAM 재고 수준은 현재 12주 이상. DDR4 재고가 DDR5보다 더 많은 상황 3) 디바이스 수요의 뚜렷한 반등 신호가 부재 4) 3Q24E DDR5 모듈의 가격 프리미엄은 현재가 동일한 수준으로 격차 감소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 - 5월 현물 시장 내 DRAM 칩 가격은 완만한 하락세 보임. 구매자들은 추가적인 시장 상황을 기다리며 구매 문의를 줄이는 모습. 아래와 같은 요인으로 초과 공급이 발생하는 상황 1) 모듈 업체는 리테일 수요 약세 경험 중. OEM 업체들의 주문도 크게 개선되지 않음에 따라 칩 발주 물량 감소 2) 모듈 업체들은 리테일 시장에서 모듈 가격 인상에 어려움 겪고 있어 칩 원가가 모듈 가격보다 높은 상황. 모듈 업체들의 수익성이 악화 3) 모듈업체는 DRAM 공급업체와 칩 물량에 관해 MOU를 체결했음. 따라서 재고 관리를 위해 현물 시장에서 기존 재고 소진에 집중해야 하는 상황. - 8Gb DDR4 칩의 4월 고정가와 5월 하반월의 현물가의 평균 차이는 9%.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며 고정가 시장 내 거래량은 제한적인 모습. 5월 하반월 동안 DRAM 공급업체들은 여전히 칩 고정가 인상을 도모했지만 모듈업체의 수요는 업체마다 상이함. 이에 따라 고정가는 4월과 큰 차이 없이 보합세 (자료: DRAMeXchange)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Hammasini ko'rsatish...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DRAMeXchange 5월 서버 DRAM 고정가 발표] - 5월 전체 서버 DRAM 고정가는 임박한 HBM3E 양산과 선단 공정 생산능력 압박으로 4월과 동일하게 5~8% 상승. 대부분의 북미 CSP가 1Q24에 2개분기(1Q24~2Q24 통합 협상) 락인 딜을 체결했기 때문에 전반적인 거래량은 크게 증가하지 않음. 대부분 거래는 Tier-2와 중국 공급업체 사이에서 발생 - 2Q24 가격 협상에서 볼 때 가격은 분명히 상승하지만 실제 거래 규모는 공급업체의 예상치를 밑도는 수준. 이는 올해 AI 서버 투자 증가가 범용 서버 성장을 잠식하고, 이에 따라 전반적 서버 DRAM 소비량이 작년 대비 크게 증가하지 않았기 때문. AI 서버에서의 증가분 제외 시 범용 서버에서는 전년 대비 감소 수준. 또한 작년부터 누적된 DDR4 재고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 DDR5 전환을 준비 중인 고객사는 재고를 소진하는 것이 아니라 DDR5로 재고 비중을 전환하는 모습. 현재 재고는 10주 이상으로 여전히 건전한 수준 - 한국 업체들은 20~25% QoQ 가격 인상 추진하지만 대부분 고객사는 관망세 유지. 2Q24 고정가 전망은 15~20% QoQ 상승으로 유지. 5월 진행 중인 협상에 따르면, DDR5 5800MT/s 64GB 공식 견적가는 222~235달러. 일부 구매자는 해당 가격에 합의했지만 실제 거래는 여전히 공급업체의 기대에 못 미치는 상황. DDR4 64GB는 대부분 거래가 유통 채널에서 발생. 결과적으로 메인스트림 고정가는 평균 +8.6% MoM 상승. 대부분 거래가 DDR5 64GB에서 발생 - 1bnm 32Gb 성능 검증 상황을 보면 대체로 큰 문제 없이 고객사들이 선호하는 모습. 많은 공급업체들이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의 non-3DS 128GB RDIMM을 승인.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은 기존 3DS 128GB 제품 견적가를 가격 상승 전 수준으로 낮추기 시작함 - non-3DS 128GB 제품이 출시되면 AI 서버용 고용량 RDIMM은 특정 용량에 더욱 집중하게 될 것. 과도했던 가격 요인은 점차 안정화될 전망. 96GB RDIMM을 채택한 서버업체들도 non-3DS 128GB로 전환을 시작할 예정. 이를 통해 RDIMM 슬롯 사용량을 줄여 서버의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 - 가장 공격적으로 전환에 나서는 마이크론과 삼성전자는 모두 32Gb mono die에 1bnm 채택 중. 4Q24까지 비중은 15%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 삼성전자는 HBM3E 생산에 1anm 생산능력을 할당할 예정이며 기존 1anm 제품은 1bnm 16Gb mono die에 대체하기 위해 검증에 나서는 중. 마이크론은 1bnm에서 32Gb, 16Gb 외에도 24Gb까지 제공할 계획. 하지만 올해도 고용량 시장에서 마이크론의 주력 생산 제품은 1bnm 32Gb가 될 예정 - 요약하자면, HBM3E 대량 생산 및 출하가 기존 128GB RDIMM 시장 점유율, 특히 SK하이닉스의 점유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예정. 마이크론과 삼성전자는 2H24까지 SK하이닉스의 시장 점유율을 지속 뺏어올 전망. AI 수요는 견조하지만 전체 서버 DRAM 수요의 15%에 불과하며 전체 수요는 아직 완전히 회복하지 않음. 따라서 TrendForce는 기대 이상의 가격 상승이 있다면 실수요 기반이 아닌 기존 재고 가치를 우려할 구매자들의 결정에서 비롯될 것으로 예상 (자료: DRAMeXchange)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Hammasini ko'rsatish...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DRAMeXchange 5월 NAND 고정가 발표] - 5월 SLC NAND Flash 수요도 통신 네트워크 제품과 통신 모듈에서 발생. 가격은 큰 변화 없는 모습. MLC NAND Flash 역시 TV, STB, UPC, 드론 시장이 안정적인 상황으로 가격 변동 없음. SLC NAND Flash 1/2/4Gb 가격은 각각 0.98달러/1.21달러/1.69달러로 전월과 동일. MLC NAND Flash 64/128Gb 가격도 3.39달러/4.90달러로 전월과 동일 - SLC, MLC와 같은 작은 용량의 2D 제품은 공급업체들의 주력 제품이 아닌 만큼 매출액 영향도 적은 편. 현재 수요 약세에도 불구하고 시장 참여자 간 눈에 띄는 입장 차이가 없는 만큼 6월 내내 안정적인 가격 흐름 전망됨 - 중국의 3대 주요 통신 사업자는 매년 수백만대 수준의 STB 입찰을 실시함. 하지만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 둔화로 인해 2023년 입찰된 물량 일부가 5월 현재도 출하를 시작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됨. 소비자들의 교체 수요 약세와 이에 따른 출하 중단은 2025년 있을 입찰에 대한 공급업체의 참여 의지와 통신 사업자의 물량에 영향을 미치며 SLC, MLC NAND Flash 수요에 추가적인 변화로 이어질 전망 - 단기적인 수요 개선 가능성은 낮음. 공급업체들은 수익성을 확보해야 하지만 추가적인 비용 효율화가 어려운 성숙기의 제품(SLC, MLC)의 감산에 대해서는 소극적일 예정. 그 결과 고정가는 균형 상태를 이룰 것으로 예상 (자료: DRAMeXchange)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Hammasini ko'rsatish...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장비 양승수] [2024년 연간전망 시리즈 10] 전기전자/IT부품 AI - '소비'의 영역으로 상반기 AI에 대한 주식시장의 관점은 AI 생산을 위한 기반 마련이었습니다 본격적으로 AI가 소비되고 있지 않는 상황에서 저희는 온디바이스 AI가 본격적인 AI '소비'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또한 다수의 세트업체가 온디바이스 AI 시장에 참여 중이나 전세계 15억명이 넘는 아이폰 사용자를 기반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연결하는 iOS 시스템을 보유한 애플이 헤게모니를 가져올 수 있는 영역이라 판단합니다 애플은 WWDC를 기점으로 1) 오픈 AI와의 Alliance 구성 2) 특정 기능 수행에 용이한 다수의 Multi Modal AI 출시 3) 온디바이스 AI 맞춤 하드웨어 구성을 통해 시장을 선점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특히 애플은 올해 공개할 iOS 18의 새로운 ‘Siri’에서는 Open AI와의 AI 연맹 구축을 통한 GPT4o 채택을 추진 중 입니다. MS-Open AI 연합에 새로운 Apple-Open AI 연합 탄생이 기대되는 시점입니다. AI 기능 탑재 아이폰16 출시는 1) AI 기능 구현을 위한 새로운 하드웨어 요구 + 2) 최소 아이폰15 이상부터의 AI 기능 지원 정책 등으로 인한 강제 교체수요 창출로  연초부터 이어져온 올해 부정적인 아이폰 출하 전망에 대한 추세 반전의 기회라고 판단됩니다 아이폰에 대한 눈높이가 상향 조정되는 흐름에 맞춰 WWDC 이후에도 관련주들의 주가 상승추세 지속을 전망합니다 애플 밸류체인 내 LG이노텍 최선호주, 비에이치 차선호주 의견 제시드립니다  2024년 하반기 주목할 이슈로는 1. 중화권의 시장 참여 확대 및 애플의 폴더블 제품 출시 가능성으로 인한 기대감 지속   → 최선호주 세경하이테크 2. 메타의 저가형 Quest 흥행과 함께 VR/AR 시장에 대한 기대감 재확산 기대 → 최선호주 뉴프렉스  3. AI 제외한 기판 업황 부진 지속이 지속  → 최선호주 이수페타시스 4. 업계 전반에 낮아진 재고를 기반으로한 MLCC 가동률 상승 Cycle 진입  → 대형주 차선호주 삼성전기  제시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리포트 참조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양승수 드림 [기업분석] - 이수페타시스(007660): Buy, 62,000원 - LG이노텍(011070): Buy, 330,000원 - 세경하이테크(148150): Buy, 15,000원 - 비에이치(090460): Buy, 31,000원 - 삼성전기(009150): Buy, 190,000원 - LG전자(066570): Buy, 130,000원 - 뉴프렉스(085670): Buy, 11,500원 - 아바텍(149950): Buy, 22,000원 - 파인엠텍(441270): Buy, 13,000원 - 티엘비(356860): Buy, 33,000원 - KH바텍(060720): Buy, 22,000원  (요약본): https://zrr.kr/Aonc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Hammasini ko'rsatish...

Meritz Overnight Tech 2024.5.31 (금)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00%, 1W -0.57%, 1M -2.21%) 현물 시장 부진 지속. 삼성전자의 파업 소식이 수요 증가로 이어지지 않았고, 현물 재고 공급은 계속 증가해 가격 약세 흐름 이어짐. 전반적 거래 환경 및 거래량이 부진 NAND(MLC 64Gb: 1D 0.00%, 1W 0.00%, 1M 0.00%) ★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뉴스 플로우 Dell 1Q24 실적발표. AI 투자 확대로 서버 수요 증가하며 컨센서스 상회하는 실적 및 가이던스 제시. 하지만 시장기대에 못미친 상회 폭, 원가 부담 언급에 시간외 주가는 18% 하락 중 (Reuters) https://han.gl/ewewC Marvell 1Q24 실적발표. 기업들의 보수적 IT 지출과 재고 소진 이어지며 시장기대치 하회하는 실적 기록. 보다 우호적인 하반기 수요 환경 전망. 시간외 주가는 4% 하락 중 (Reuters) https://han.gl/zGoLO 구글, 말레이시아에 20억달러 규모 데이터센터 투자 예정 (Reuters) https://han.gl/i1pjk 삼성·SK "차세대 메모리 PIM, AI PC·스마트폰에 적용" (ZDNet) https://han.gl/awAlR SK하이닉스, HBM 고삐 죈다..."내년 공급 계획도 이미 논의 중" (ZDNet) https://han.gl/Jxrl1 가트너 "올해 세계 AI 반도체 매출 712억 달러로 33% 증가 전망" (비즈니스포스트) https://han.gl/IuQNZ MediaTek, 4nm 기반 Dimensity 7300 시리즈 공개 (TrendForce) https://han.gl/npFM7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등락 (2%p 이상) 삼성전자(-2.3%), SK하이닉스(-3.4%), Micron(-4.0%), Western Digital(-2.5%), LG전자(-3.8%), HPQ(+17.0%), Nvidia(-3.8%), TSMC(-2.2%), SMIC(+4.9%), Sharp(+2.5%), 원익 IPS(+2.7%), Tokyo Electron(-2.5%), 덕산네오룩스(+2.5%), 이녹스첨단소재(+5%), LG에너지솔루션(-4.1%) (자료: Bloomberg, DRAMeXchange,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Hammasini ko'rsatish...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2024년 4월 일본 MLCC 수출 데이터 정리 글로벌 수출액 - 601.1억엔 (+8.8% YoY, +5.1% MoM) 글로벌 수출물량 - 817.2억개 (+19.4% YoY, +4.2% MoM) 글로벌 수출단가 - 0.74엔 (+0.8% YoY, +0.8% MoM) 중국향 수출액 - 211.3억엔 (+39.9% YoY, +8.8% MoM) 중국향 수출물량 - 313.2억개 (+24.6% YoY, +5.4% MoM) 중국항 수출단가 - 0.68엔 (+12.3% YoY, +3.2% MoM) 유의미한 상승세가 지속되는 모습입니다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Hammasini ko'rsatish...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Blackwell Shipments Imminent, Total CoWoS Capacity Expected to Surge by Over 70% in 2025, Says TrendForce - H100 공급 부족은 1Q24 완화 중. H200 물량이 2Q24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Blackwell은 3Q24E 출시, 4Q24E 본격 확대 예상 - 그럼에도 2024년은 H100, H200 등 Hopper 플랫폼에 집중할 전망. Blackwell은 4Q24부터 증가해 올해 하이엔드 GPU 시장 내 점유율 10% 미만 예상 - Blackwell 플랫폼의 칩 크기는 H100의 두 배 수준 - TSMC CoWoS 총 생산능력은 2024년 150%, 2025년 70% 이상 증가 예상됨. 엔비디아는 이 중 약 50% 사용 예정 - H100이 HBM 80GB를 주로 탑재하는 반면, 2025년 B200은 HBM3E 288GB 탑재 에정 -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AWS는 가장 먼저 GB200 도입 예정. 세 기업으로의 출하량 합산은 2025년까지 30,000 랙 이상 - 구글은 TPU AI 인프라 확장을 우선으로 진행 중 - 엔터프라이즈 고객, 각 정부의 AI 클라우드, tier-2 데이터센터 업체들의 수요도 눈에 띄게 증가 중 - 2023년은 CoWoS, HBM 공급 부족으로 주요 CSP에 공급 집중됐지만(65%), 1H24 GPU 공급 증가와 함께 Dell, HPE 등 서버 브랜드 수요 비중 19%까지 확대 예상 - CoreWeave, Tesla 등 tier-2 업체와 정부 AI 클라우드 등의 수요 점유율도 31%까지 상승할 전망 https://han.gl/Kg1ni (TrendForce)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Hammasini ko'rsatish...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Taiwan PCB makers gear up for AI PC era, replacement demand to emerge in 2H24 - 대만 PCB 제조업체, 2H24부터 2025년까지 출시될 AI PC 및 노트북 교체 수요 충족 - 인텔과 마이크로소프트는 AI PC의 조건으로 1) Copilot 실행 능력 2) NPU 탑재 3) Copilot 버튼 탑재를 꼽음 - 대만 PCB 협회 (TPCA)에 따르면 PCB 공급업체에 있어서는 AI PC 내 NPU가 핵심 요소 - 현재 주류인 AI PC 프로세서는 퀄컴, 애플, AMD, 인텔에서 제공되며 2026년까지 전체 절반 이상 차지할 전망 - HP, Dell, Lenovo, 삼성전자, Acer, ASUS 등은 6월부터 퀄컴 칩을 탑재한 새로운 AI PC 출시 예정 - AI PC 브랜드와 협력하고 있는 PCB 업체로는 Unimicron, GCE, Tripod, Hannstar Board, Compeq 등 - 차량용 PCB 중심이었던 Dynamic Electronics도 최근 AI PC향 제품을 소량 출하하기 시작 - GCE, 3Q24E AI PC 관련 제품 소규모 출하 예정 - Hannstar, 랩탑향 매출 비중이 현재 40%에서 AI PC 보급 증가에 따라 향후 상승 예상됨 https://han.gl/zdmkH (Digitimes)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Hammasini ko'rsat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