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kie

Ми використовуємо файли cookie для покращення вашого досвіду перегляду. Натиснувши «Прийняти все», ви погоджуєтеся на використання файлів cookie.

avatar

Allround x HYBLOCK

Allround with HYBLOCK!! Allround : Crypto trading & investing firm in Korea. 📮contact : [email protected] HYBLOCK : 한양대학교 블록체인 학회 HYBLOCK 입니다. 📮contact : [email protected]

Більше
Рекламні дописи
288
Підписники
Немає даних24 години
Немає даних7 днів
+2630 днів

Триває завантаження даних...

Приріст підписників

Триває завантаження даних...

Фото недоступнеДивитись в Telegram
4pillars : Sei DB 리서치(2/2) ✅ Sei DB란? - 기존 Sei V1에서 상태를 저장하는 IAVL 트리 데이터 구조의 바닐라 데이터베이스의 상태 관리 한계로 인해 등장 -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과거 상태와 활성 상태 각각과 관련된 두 가지 레이어로 구분해 한계 개선 - 과거 상태 : 블록체인의 모든 과거 기록을 담고 있는 상태로 활성 상태보다 무거움 - 활성 상태 : 블록체인에 기록된 가장 최신의 정보 관련 상태 ✅ Sei DB 구조 1. SC Layer(State Commit Layer) - 활성 상태 담당 - Sei V1의 IAVL 트리 데이터 구조를 변형한 MemlAVL 데이터 구조를 도입하고 해당 구조의 메모리 매핑을 통해 상태 접근 속도 개선 2. SS Layer(State Storage Layer) - 과거 상태 담당 - 키와 값 구조의 데이터 구조로 빠른 접근 지원하고 동시에 저장하는 데이터 양을 감소시킴 - 여러 스토리지 백엔드를 지원해 노드의 니즈 충족 - 비동기화 프루닝을 통해 블록체인 작동에 악영향 제거 * 프루닝 : 블록체인에서 불필요하거나 오래된 데이터 제거 작업 ✅ Sei DB 테스트넷 환경 결과 - 활성 상태 크기 60% 감소 - 과거 상태 성장 속도 90% 감소 - 상태 싱크 시간 1200% 빨라짐 - 블록 싱크 시간 2배 빨라짐 - 블록 커밋 시간 287배 빨라짐 - TPS 2배 빨라짐 Source : 4pillars
Показати все...
Фото недоступнеДивитись в Telegram
4pillars : Sei DB 리서치 (1/2) ✅ 트랜잭션 병렬처리 현 상황 - Sei는 최초로 병렬 처리 가능한 EVM L1 - 현재까지 존재했던 문제점 : 같은 상태와 관련된 트랜잭션들 간의 충돌, 트랜잭션들의 순서 정렬 과정의 복잡성 - DB에서의 최적화가 일어나지 않을 시 트랜잭션 병렬처리를 통한 확장성에 한계 존재 ✅ 블록체인의 상태란? - 블록체인 내 모든 계정들에 대한 정보 - 트랜잭션 발생할 때마다 상태의 크기 증가 ✅ 블록체인 스토리지의 문제점 : 상태 팽창 1. 노드 운영 비용 증가 : 풀노드들이 블록체인의 상태 전체를 저장해야 해 스토리지 비용 증가 2. 블록체인 퍼포먼스 저하 : 상태의 크기가 커질수록 검증하는 데 걸리는 시간 증가 3. 노드 간의 싱크 문제 : 새로운 노드 참여 어렵고 싱크에 뒤쳐진 노드를 관리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 소요 Source : 4pillars
Показати все...
바이낸스가 저시총 프로젝트의 상장 신청을 받기 시작했는데, 예상되는 상장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커뮤니티 지표가 좋아야함 ⁃ 유저 성장률이 증가하거나 유지되고 있어야함 ⁃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과 MVP ⁃ 커뮤니티 리워드에 크게 할당된 토큰 알로케이션 - 기술이나 설계의 참신함 - 규제 표준을 따를 것 예상 프로젝트 1. Io.net -> AI 2. Lingocoins-> Gamefi, RWA 3. Peaqnetwork -> DePIN, RWA 4. Movement -> Modularity 5. Plumenetwork -> RWA 6. Grass -> AI, DePIN https://x.com/0x_gremlin/status/1796618015846314207
Показати все...

Deploy 10,000 GPU cluster in 10 seconds, The Decentralized GPU Cloud

1
Фото недоступнеДивитись в Telegram
토큰 런칭과 노드 세일 내러티브 (2/2) ✅ 토큰 런칭 관련 문제 해결 방안 - 유저들이 토큰 런칭 전과 후에 참여할 수 있는 접근성 최대화 - 높은 유동성과 통제된 인플레이션을 통해 시장 왜곡 최소화 - 단기 수익이 아닌 공정한 출시와 합리적인 가치 평가 구조를 통한 장기적인 관계 구축 필요 ✅ 노드 세일 장점 - 일반 유저들의 베스팅을 통한 가격 발견 - VC와 유사한 조건으로 일반 유저가 세일에 참여 가능 - 프로젝트에 장기적인 가치 제공 - 빠른 탈중앙화 달성 가능 - 유저가 화이트리스트 등의 방식을 통해 조기에 토큰 접근 - 커뮤니티에 토큰 런칭에 참여할 수 있는 옵션 제공 ✅ 노드 세일 개선점 - 긴 락업 기간 - 모든 프로젝트가 노드 세일이 필요한 것이 아니며, 새로운 체인, 인프라, DePIN 등의 프로젝트가 적합 - 유저가 노드를 운영하는 데 제한이 있을 수도 있어 노드 서비스 제공자들과의 협력 필요 Source : Calvin | Impossible is always BUIDLing
Показати все...
Фото недоступнеДивитись в Telegram
토큰 런칭과 노드 세일 내러티브 (1/2) ✅ 크립토시장의 성숙 - 초기 DeFi 시장은 100M TVL이였으나 현재는 96B TVL 도달 - 2017년에 시장은 성숙해졌으나 2018년 ERC-20 등장으로 인한 무분별한 토큰 런칭으로 다시 붕괴됨 - 시장이 성숙할수록 투자 난이도는 증가하고 장기적 유동성 구축이 어려워짐 ✅ 런치풀 - 런치풀은 높은 FDV에 대한 수요를 창출하였으나, 시장에서 많은 유동성을 흡수하여 투자자들의 수익이 한정됨 - 프라이빗 마켓에서는 투자자들에 의해 토큰의 가격이 조성되며 FOMO를 일으키고 많은 자본이 투자될 시 자본 회전율이 낮아짐 ✅ 10배의 원리 - 유저는 일정 기간 내의 몇 배의 수익을 달성을 원함 - 하지만 일반 유저는 프라이빗 마켓에 접근하지 못해 에어드랍과 온체인 활동에서만 수익을 창출 가능 - 포인트 시스템이 모든 프로젝트에 의해 사용될 시 포인트는 희석되어 유저는 실망 - 시장이 하락하면 에어드랍 유동성이 감소되어 프로젝트가 토큰 런칭을 딜레이하므로 유저의 불평 증가 - 투명하고 열린 시장(ex. OTC 거래)을 통해 락업된 토큰과 포인트 거래를 장려할 시 유저들의 불만을 잠재울 수 있음 Source : Calvin | Impossible is always BUIDLing
Показати все...
Allround daily updates - 6월 1일 📰 News - 일본 거래소 DMM, $304m 규모의 비트코인 해킹 피해 - Debank Social ranking badge 출시 - Berachain 생태계 맵 정리 - 바이비트 $NOT 입금 지연 이후 경영진 교체 - illuvium 에어드랍 포인트 프로그램 출시 - Fuel 마지막 퍼블릭 테스트넷 출시 - Blast Gold distribution 4 시작 📮Updates - $GAL : Galxe, L1 체인 출시 - $UNI : Uniswap 수수료 프로포절 연기 📕Reads - Key Crypto Lessons Learned Over the Years - 비탈릭 : Some reflections on the Bitcoin block size war - Stablecoins Are Defense Tech - Arweave, AO 스레드 - Pantera : Crypto Myopia and the Endgame for Airdrops - EIP-7702 소개 - Stacy Muur : Karak 전략 - Ansem : memetic analysis - 바빌론 스레드 - Farcaster 에어드랍 극대화 전략 - $PRIME, Wayfinder 스레드 💵 Funding - NexGami(eSprots), Seed, $2.5m, Metalpha lead - DuelNow(Sport betting), Seed - TRALA(Gamefi), $5m - Zentry(Gaming), Strategic Twitter/DM : @tony12450
Показати все...
Rekt - DMM Bitcoin - Rekt

DeFi / Crypto - Centralized Japanese crypto exchange DMM Bitcoin exploited for more than $304 million in Bitcoin. What could go down as one of the biggest heists in our industry, became another prime example of not your keys, not your crypto.

Фото недоступнеДивитись в Telegram
Accelxr : Crypto x AI Weekly #2Verification & Privacy OraProtocol – 온체인 AI 오라클 Gizatechxyz – 오픈 소스 모델 복잡성 리듀서(Reducer) ✅ Compute Hugginface – ZeroGPU 서비스 Flock_io – 탈중앙 트레이닝 플랫폼 Ionet- H100s를 시간당 $1.19에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 기타 인프라 PongGNN – 크립토 네이티브 기반 GNN 모델 배포 ✅ Gaming Ixtlanian – AI arena 우승 PlaySIPHER – 새 토큰 에코시스템 발표 ✅ Art Spawning – 이미지 학습에 대한 200TB 미디어 배포 ClaireSilver12 – AI 컨테스트 개최 CryptoPopPunk – 새로운 콜렉션 “Climbing Through My Brian” 발표 ✅ 포인트, 인센티브 & 에어드랍 AlloraNetwork – 포인트 프로그램 진행중 Imgn_ai – 스테이킹 & 수익 공유 프로그램 진행중 Synesis_one – Train2Earn 캠페인 진행중 CreatorBid – CreatorDrop 시즌1 진행중 Spns_ai – Galxe에서 claim and earn 캠페인 진행중 Source : Accelxr
Показати все...
Фото недоступнеДивитись в Telegram
Metamask, Opensea, Yearn Finance 현황 👉 Metamask, Opensea 및 Yearn Finance는 이번 사이클에서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는 중 ✅ Metamask - Metamask의 경우 최초의 지갑이지만 Rabby, Phantom 및 OKX Web3가 빠르게 성장 중 - Metamask의 UX/UI가 정체되어 있다는 것이 문제 ✅ Opensea - Blur에게 NFT 시장 점유율을 뺏겼고 Magic Eden이 그 뒤를 추격 중 ✅ Yearn Finance - 오래된 Yield Protocol이며 $YFI의 경우 가장 공정했던 토큰 런칭이라 할 수 있음 - 그러나 불장이 시작된 이후로 TVL 성장이 정체되었음 - 원인은 Pendle의 가파른 TVL 성장에 있으며 $YFI 가격 또한 $PENDLE이 오르는 동안 정체되었음 👉 그러나 세 프로젝트 모두 실패하지는 않았음 - Metamask는 0.875%의 스왑 수수료를 통해 $282M USD 스왑 수수료 수익을 창출해냄 - Opensea는 일일 수수료로 $50K-$100K USD를 창출하며 트레이딩 볼륨 2위를 기록 - Yearn Finance는 스테이블 코인에 대해 최대 30% APY를 제공하는 V3 및 Juiced vaults를 도입하였음 - 포인트 에어드랍 메타가 모멘텀을 잃는다면, Yield Farmer들은 Yearn Finance로 돌아올 것으로 기대 ✅ 결론 - 암호화폐 시장은 경쟁이 치열하고 트렌드가 빠르게 변함 - 한 때 해당 분야의 선두주자였던 세 프로젝트의 현 상황은 현실에 안주하지 말고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혁신을 추구해야함을 시사함 Source : Ignas
Показати все...
Фото недоступнеДивитись в Telegram
LayerZero의 OFT ✅ 블록체인 상호운용성 현황 - 상호운용성 부족은 매스어답션에 있어 방해 요소 - 현재 멀티 체인 지원 기능은 한계 존재 - 락 앤 민트 모델(Lock and Mint)은 중간 단계의 합의 레이어 필요(ex. Synapse의 n pools, Thorchain의 Rune 페어, AnySwap, Multi-chain) - 중간 단계의 합의 레이어의 복잡성으로 인해 브릿지 위험성, 효율성 문제, 유저의 신뢰성 문제 발생 가능 ✅ LayerZero란? - LayerZero는 크로스 체인 기능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 50개의 블록체인에서 옴니체인 애플리케이션 배포 가능 LayerZero의 OFT(Omnichain Fungible Token)란? - FT(Fungible Token)이 래핑, 미들체인, 유동성 풀 없이 다른 블록체인으로의 전송이 가능한 기준 - 작동 방식 1. 소각 후 민팅 : 소각된 토큰의 양만큼 다른 체인에서 민팅 2. OFT.sol : ERC-20의 내부 소각 및 민팅 기능 활용을 위해 _debit 및 _credit 메소드를 사용한 스마트 컨트랙트 3. OFT Adapter : 배포된 FT를 관리하기 위한 중간 스마트 컨트랙트 4. 보안 모듈 : 실제 토큰 전송 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안 문제 점검 - 활용 사례 1. 스테이블코인 : Angle, Abracadabra 2.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토큰 : Bitcoin, Metis 3. DeFi 토큰 : Trader Joe, Radiant Capital 4. LST : StakeStone, unshETH Source : DOLAK1NG
Показати все...
Фото недоступнеДивитись в Telegram
솔라나 스테이킹 현황은? (3/3) ✅ Solana의 유동성 스테이킹 현황 1. Solana - 약 6%의 LST 존재 - 대부분 $jitoSOL이 차지 2. Jito - Jito-Solana 클라이언트, $jitoSOL, Solana 스테이킹 풀 관리자인 StakeNet으로 구성 - $jitoSOL은 Solana 생태계의 최대 LST로 MEV 보호 가능 - StakeNET에서 밸리데이터의 기존 기록과 점수 확인 3. Marinade Finance - Marinade Native를 통해 SOL 홀더는 자동으로 밸리데이터 관리 - PSR(Protected Staking Rewards)는 SOL 스테이킹 유저의 보상 손실을 막기 위해 밸리데이터로부터 보증금을 받음 4. Sanctum - Infinity를 통해 여러 Solana LST의 유동성 풀 제공 - Validator LST를 위해 Sacntum의 예비 풀에서 충분한 유동성 제공 ✅ 리스테이킹이란? 1 .리스테이킹 - 스테이킹된 자산을 블록체인, 다른 프로토콜, 디앱을 보호하는 데 활용 - 해당 자산의 블록체인으로부터의 보안을 상속받아 별도의 밸리데이터 불필요 - 리스테이킹 유저는 추가적인 보상을 받을 수 있으나 추가적인 슬래싱 리스크에도 노출됨 - 적용 가능한 예시 : 데이터 가용성 레이어, 공유 시퀀서, 증명 어그리게이터, 오라클 2. 유동성 리스테이킹 - 리스테이킹된 자산에 대한 유동성 제공 - 현재 $10.5B의 LRT 존재 - 최초의 LRT는 $uniETH로 94%의 점유율 차지했으나 새로운 LRT에 계속된 출현으로 대부분의 점유율 상실 3. Karak - 기존 $ETH나 LST 뿐만 아니라 EigenLayer LRT, Pendle의 PT 토큰과 같은 다양한 자산들도 리스테이킹 가능한 프로토콜 Source : ASXN
Показати все...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