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kie

Ми використовуємо файли cookie для покращення вашого досвіду перегляду. Натиснувши «Прийняти все», ви погоджуєтеся на використання файлів cookie.

avatar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디스플레이/IT 데일리 뉴스, 발간 보고서와 기업 공시 등을 수시로 공유합니다.

Більше
Корея1 919Корейська1 255Бізнес36 064
Рекламні дописи
1 820
Підписники
+324 години
+127 днів
+5430 днів

Триває завантаження даних...

Приріст підписників

Триває завантаження даних...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5.31.) 1) 갤럭시S24 시리즈, 1Q24 GenAI 지원 스마트폰 시장 장악(Counterpoint) - 해당 부문에서 삼성 점유율 58%.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 중 AI 지원 스마트폰 점유율은 6%. 프리미엄 부문 내 AI 지원 스마트폰 점유율은 70% 이상 - https://me2.do/GDN3vKwj 2) 삼성전자, 2024년 국내 AI PC, 3대 중 2대 갤럭시북(THEELEC) - 갤럭시 북4 엣지 6월3일 예판. 북4 엣지는 Copilot+ PC. 14인치 출고가 215만원 - https://me2.do/xZGzmJT3 3) Huawei, 1Q24 5G 지원 글로벌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 1위 차지(Counterpoint) - 1Q24 글로벌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 +49%YoY. Huawei, Honor, Motorola가 주도 - https://me2.do/xNma7ruR 4) LG이노텍, AI 공정으로 '카메라모듈 불량률' 최대 90% 줄였다(ZDNETKorea) - 수익성고객 신뢰도 좌우하는 초기 수율 'AI 공정 레시피'로 해결. 주요 검사항목 불량률 최대 90% 감소. "AI, 반도체 기판 공정에도 확대 적용" 예정 - https://me2.do/FpZ8pKfg 5) AI 서버 사업 성장에도, 실적 발표 이후 Dell 주가 하락(CNBC) - 매출과 EPS 컨센서스 소폭 상회. PC 사업부(CSG) 매출액은 전년 대비 Flat. 상업용 클라이언트 매출 +3%YoY, 일반 소비자 매출 -15%YoY - https://me2.do/GB5tDeUS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Показати все...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5.30.) 1) HP, 2Q24 매출액 -0.8%YoY. PC 시장 회복 기대 뒷받침(MarketWatch) - 매출액 $12.8B 기록, 컨센서스 $12.6B 소폭 상회. PC 부문 매출액 3% 성장. 북미, 유럽 지역에서 상업용 PC 판매 증가 - https://me2.do/FC4ccbhC 2) 1H24 중국산 폴더블 OLED 출하량, 삼성디스플레이 추월 전망(Omdia) - 중국산 폴더블 OLED 출하량 640만대 전망. SDC의 570만대를 상회할 전망. 중국 스마트폰 브랜드들의 공격적인 폴더블폰 출시에 기인 - https://me2.do/x7BDDcyu 3) 中 BOE·비전옥스, 'IT용' OLED 韓 추격 고삐(ZDNETKorea) - 비전옥스, 8.6세대 OLED 공장 건설 발표. 월 32,000장 규모, 투자액 550억 위안(약 10조 3천억원) - https://me2.do/GI8OOzhT 4) LG디스플레이, 델에 노트북용 '투 탠덤 OLED' 공급(THEELEC) - 델 XPS13, 노트북 중 최초로 투 스택 탠덤 OLED 적용. LGD, 아이패드 OLED 만드는 E6-4 라인서 델 제품 제작 - https://me2.do/5rZyyTZZ 5) LG디스플레이, 신사업 '항공기용 OLED' 공략한다(ZDNETKorea) - 보잉·LIG넥스원과 세계 최대 항공기 인테리어 엑스포 'AIX 2024' 참가 - https://me2.do/x95ssZmx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Показати все...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하반기 산업 전망    : AI, IT 하드웨어의 New Normal 1) 1H24 리뷰: 전방 수요 바닥 통과, AI 스마트폰 시장 개화    1Q24 스마트폰과 PC 출하량은 각각 +6%YoY, +2% YoY 성장, TV는 -1% YoY 하락했으나 $2,500 이상의 프리미엄 제품은 +10% YoY 성장하며 전반적인 세트 수요는 바닥 통과 중    1Q24 세트, 부품 업체들의 실적은 낮아진 재고와 전방 수요 회복 효과가 맞물리며 시장 기대치를 충족하거나 상회하는 호실적 기록    1H24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S24 시리즈 출시와 함께 AI 스마트폰 시장 개화, 중국 OEM 업체들의 수요 강세 등이 IT 하드웨어 시장의 주요 모멘텀으로 작용. 한편 아이폰 중국 수요 부진 및 애플의 AI 전략 발표 부재로 인해 애플의 성장에 대한 우려 심화   2) 2H24 전망: 첫 AI 아이폰 및 AI PC 출시 확대로 IT 하드웨어 모멘텀 강화    2H24는 애플의 첫 AI 스마트폰 출시와 함께 정체된 아이폰 수요 반등 예상.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의 강자로서 높아진 시장 눈높이를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    더불어 AI PC의 춘추전국시대 개화. 마이크로소프트가 퀄컴의 Snapdragon X Elite 프로세서 탑재한 Copilot+ AI PC를 공개. 2H24 인텔과 AMD가 차세대 AI PC용 프로세서 출시를 계획 중이며, 올해 AI PC 침투율은 20%에 이를 전망 3) 투자전략    전기전자: 2H24 전반적인 IT 하드웨어 수요의 회복이 전망되는 가운데, AI가 IT 하드웨어의 New Normal로 자리매김 하며 AI 하드웨어 관련 서플라이 체인의 주가 강세 예상. 특히 애플의 첫 AI 스마트폰 출시와 AI PC 시장 확대가 주요 모멘텀으로 작용할 전망    디스플레이: 애플의 첫 AI 스마트폰 및 OLED 아이패드 출시에 힘입어 올해 OLED 업체들의 견고한 실적 성장 기대. 더불어 AI 하드웨어 시장 확대와 함께 OLED 패널의 저전력 경쟁력이 부각되며, 노트북/태블릿 중심의 OLED 침투율 확대 예상 4) 업종 Top Picks: 삼성전기, 이수페타시스, 덕산네오룩스    삼성전기:  주요 AI PC용 프로세서 업체들을 고객사로 확보 중이며, AI PC 시장 확대와 함께 패키지 기판의 수혜가 지속될 전망. 또한 4Q24부터 신규 하이퍼스케일러향 AI 가속기용 FC-BGA 공급이 시작되며 AI 모멘텀 강화 예상    이수페타시스: AI 가속기 및 네트워크용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체질 개선 지속. 특히 고객사의 제품 스펙 상향과 함께 요구되는 MLB 기술력이 높아지며 동사의 경쟁력 부각될 전망    덕산네오룩스: AI 하드웨어 시장 확대에 따른 저전력 OLED 패널의 수요 증가가 예상되며 폴더블 아이폰 또한 수혜 기대 ▶ 리포트 링크: https://bit.ly/3WYfSr2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Показати все...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5.29.) 1) 중국 스마트폰 수요 회복과 함께, 4월 아이폰 판매량 +52% YoY 성장(MacRumors) - 중국 내 4월 아이폰 출하량 350만대로 급증(23년 4월 230만대). 공격적인 가격 인하와 프리미엄 스마트폰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에 기인. 4월 중국 전체 스마트폰 판매량은 2,270만대, +25.5% YoY 성장 - https://me2.do/xfksp9Ue 2) TCL, Hisense의 높은 성장과 함께, 1Q24 고급 TV 시장 성장(DSCC) - 고급 TV 출하량 +16%YoY, 매출액 +11%YoY. OLED TV 출하량은 -6%YoY, LCD TV(MiniLED 포함) 출하량은 +24%YoY. Hisense, TCL의 출하량은 각각 141%, 69%YoY 성장. 대화면 TV도 강한 성장 지속 - https://me2.do/5Ea02g5r 3) 1Q24 중국 폴더블폰 판매량, +50%YoY 성장. Book-Type 판매량이 거의 2배 성장(Counterpoint) - Book-Type 폴더블폰 출하량 +91%YoY 성장. 플립형은 -1%YoY 감소 - https://me2.do/xRPouSuX 4) 2Q24 MLCC 출하량, +6.8%YoY 성장 전망. 강력한 AI 수요 덕분(TrendForce) - AI 서버 주문과 안정적인 ICT 제품 수요, 가동률 안정화에 도움. 2Q24 MLCC BB Ratio는 0.92로 소폭 상승 전망 - https://me2.do/5yBZFuor 5) BOE, OELD 패널 생산능력 50% 증설 루머(TrendForce) - Nikkei 보도. 향후 3년 안에 OLED 패널 생산 능력을 현재 수준의 절반 이상 확대 계획 - https://me2.do/xoYIPd1N 6) 美 뚫은 LG전자, 데이터센터에 칠러 공급(매일경제) - 미국 내 대형 데이터센터에 냉각시스템 공급 계약 체결. 이번 계약 규모는 칠러 100대 이상으로 수천만달러 이상 수준으로 확인 - https://me2.do/Fepa83w8 7) 삼성전자, 냉난방공조 레녹스와 합작법인 설립(전자신문) - 북미 지역 프리미엄 브랜드 레녹스와 파트너십을 통해, 북미 공조 시장 공략 및 HVAC 시장 내 입지 확대 목표 - https://me2.do/GPXeRboM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Показати все...

Repost from 디일렉(THEELEC)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애플 아이폰16프로 OLED 양산 승인을 받았다. 매번 양산 시기를 놓쳤던 LG디스플레이가 이번에는 제때 양산 승인을 받았다. LG디스플레이로선 아이폰 OLED 시장에서 삼성디스플레이와 격차를 좁힐 기회를 확보했다. 다만, 이번에 애플이 LG디스플레이 아이폰16프로 OLED 양산 승인 과정에서 일부 절차를 간소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폰16프로맥스 OLED 양산 승인 절차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곧 차례로 밟을 예정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모두 이달 애플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oJvstik
Показати все...
삼성D·LGD, 애플 아이폰16프로 OLED 양산 승인받았다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애플 아이폰16프로 OLED 양산 승인을 받았다. 매번 양산 시기를 놓쳤던 LG디스플레이가 이번에는 제때 양산 승인을 받았다. LG디스플레이로선 아이폰 OLED 시장에서 삼성디스플...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5.28.) 1) OLED 아이패드 프로, 24년 900만대 출하 전망(Digitimes) - 일부 기관의 전망치는 450~500만대 수준. 애플, LGD, SDC 등 관련 업체들은 기존 출하량 목표 고수하는 중. LGD의 OLED 패널 출하량 목표는 500만대, SDC의 목표는 400만대 이상 - https://me2.do/FkjQkvzH 2) 라틴아메리카 1Q24 스마트폰 출하량, 글로벌에서 가장 높은 YoY 성장 기록(Counterpoint) - 전년 동기 대비 23.3% 성장, 4Q21 이후 최고치 기록. 샤오미 출하량이 전년 대비 41% 성장하며, 점유율 3위 차지 - https://me2.do/xvti82YH 3) iOS 18용 Siri, Apple의 Ajax LLM을 통해 대규모 AI 업그레이드 제공(AppleInsider) - 다음달부터 Siri, Safari 등 여러 내장 시스템 앱에 AI 관련 개선 사항 도입 계획. iOS18에서는 통화 녹음, 요약 기능도 추가될 전망 - https://me2.do/Fl2LgQjh 4) AI폰 대세 굳힌다. 삼성, 7월 10일 파리서 Z시리즈 언팩(데일리안) - 작년 보다 보름 앞당겨 Z시리즈 언팩 행사 진행. 폴더블폰 외에 워치·버즈3·갤럭시링 공개 전망 - https://me2.do/x3q6wPOV 5) LGD AI 알고리즘으로 OLED 잠재력 극대화(전자신문) - '메타 테크놀로지 2.0' 기술, 현재 모든 모니터용 OLED에 적용 중. OLED TV 패널에는 현재 10% 정도 적용 중인데, 올해 15%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 - https://me2.do/5oXxym91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Показати все...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5.27.) 1) 애플, 상반기 '아이폰15 프로프로맥스'용 패널 구매 물량 LGD에 몰아줬다(Kipost) - LGD, 지난해 패널 양산 지연에 따른 안배. 작년에는 삼성디스플레이가 LGD 압도 - https://me2.do/5OcBQqCg 2) 삼성전자, 중국 JDM 스마트폰 생산량 2,300만대 확대 계획(THEELEC) - 올해 JDM 스마트폰 생산계획 4,400만→6,700만대. 올해 삼성전자 전체 스마트폰 생산계획 2.53억→2.7억대로 확대 - https://me2.do/xb7NAFZm 3) 비용 상승으로 2H24 스마트폰 가격 인상 예상(Digitimes) - 2H24 스마트폰 브랜드사들의 운영 압박이 더욱 커질 가능성 제기 - https://me2.do/FfAgePvp 4) OLED 패널 탑재한 신규 아이패드 미니, 2026년 출시 가능성(AppleInsider) - SDC의 패널 양산 목표 시점이 2H25라는 점 감안 시, 2026년 초 출시 가능할 전망 - https://me2.do/5wAwWpaf 5) LG전자, 기아 EV3에 웹OS 콘텐츠 플랫폼 공급. 전기차 최초 적용(전자신문) - 웹OS가 전기차에 탑재되는 것은 처음. 지난해 10월 2024년형 제네시스 GV80과 GV80 쿠페 신모델에 차량용 웹OS 최초 적용. 이후 제네시스 G80, 카니발 등으로 차종 확대 - https://me2.do/GrN8zPb3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Показати все...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5.24.) 1) 모바일 PC(노트북+태블릿)용 OLED, 2031년까지 CAGR 37% 성장 전망(Omdia) - 2024년 태블릿 OLED 수요는 전년 대비 3배 증가한 약 1,200만대 전망. 향후 아이패드 전체 라인업과 맥북 프로 모델에도 OLED 탑재에 따라, 고성장 지속 전망 - https://me2.do/Gl7r8OkW 2) FPD 공장 가동률, 2H24부터 회복 및 성장 전망(Omdia) - 2022~2023년 평균 가동률 약 74%. 3Q24에는 가동률이 90%까지 올라오며, 24년 연간 평균 가동률은 82%까지 회복 전망 - https://me2.do/xrcTwlR3 3) 삼성디스플레이, '아이패드 미니' 패널 개발 착수. IT OLED 사업 확장(ZDNETKorea) - 지난달부터 '아이패드 미니'용 샘플 개발 시작. 해당 패널은 천안 A2 라인에서 양산 예정. 양산 목표 시점은 2H25 - https://me2.do/5xLIfDJ4 4) 폴더블 MacBook, M5 프로세서 탑재와 다양한 패널 크기 옵션 제공 기대(AppleInsider) - 생산을 위한 공급망 준비 중. LGD가 패널 독점 공급 업체로 추정, 양산 시점은 4Q25, 1H26 예상. 기존 2027년 전망보다 앞당겨져 - https://me2.do/FHA4WMeO 5) 샤오미, 1분기 스마트폰 판매 호조로 YoY 27% 매출 성장(Reuters) - Canalys에 따르면, 샤오미의 1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은 33% 성장한 4,070만대. 시장 점유율 14%로 3위 차지. 중국에서도 출하량 8.6% 증가 - https://me2.do/FvFNvbg3 6) 美, SKC 자회사에 반도체 보조금 1000억원 확정(전자신문) - 국내 반도체 소재·부품 업체 중 최초. 1공장 완공 후 시운전 돌입. 1H25 제품 양산 계획. 4억 달러 투자해 2공장도 건설할 예정 - https://me2.do/IxWNMyti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Показати все...
Omdia forecasts OLEDs for mobile PC market to grow 37% CAGR by 2031

According to Omdia's latest research, demand for OLED displays in mobile PCs is set to soar with a projected 37% CAGR from 2023 to 2031 as more and more premium notebook and tablet brands integrate this cutting-edge technology into their devices.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5.23.) 1) 유럽 스마트폰 출하량, 1Q24에 성장 재개. 향후 1년에 대한 조심스러운 낙관론 제기(Counterpointl) - 1Q24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 3Q21 이후 처음으로 성장. 삼성전자 유럽 내 점유율 1위, 중부 및 동부 유럽에서도 샤오미로부터 1위 탈환 - https://me2.do/51aqIZ3q 2) 서유럽 TV 시장 회복세, 하반기 스포츠 이벤트로 출하량 증가 기대(Digitimes) - 1Q24 글로벌 TV 출하량은 감소했지만, 75인치 이상 대형 TV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견고 - https://me2.do/FXKUj2G8 3) 아이폰 AI 모멘텀에 대해 낙관적인 PCB 공급 업체. 화웨이 플래그십 스마트폰 칩은 공급 부족에 직면(Digitimes) - 2024년 전반적인 가전 시장 회복세 진입. 일부에서는 애플에 대한 암울한 전망도 공존 - https://me2.do/GzgPMOhY 4) Honor, 곧 출시될 스마트폰에 Gemini를 포함한 Google의 AI 기능 탑재 계획(CNBC) - Gemini와 텍스트-이미지 생성 도구인 Imagen2가 포함될 것이라 발표 - https://me2.do/FM1kFp3n 5) 대만 AUO 마이크로 LED 패널 출하 중…기회 온다(전자신문) - 애플의 개발 철회에도 마이크로 LED 패널 양산 및 출하 중. 향후 대량생산에 돌입 시, 제품 가격이 빠르게 낮아질 것이라 기대 - https://me2.do/5QuXJd5p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Показати все...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4.5.22.) 1) Microsoft Copilot+ PC, OLED 패널 탑재 옵션 제공(Windows Central) - MS 라인업 중 OLED를 탑재한 최초의 PC. 13인치 LCD와 OLED 중 선택 가능. 5/20일부터 선주문 시작, 6월 중순까지 배송될 예정 - https://me2.do/IFIBG19v 2) 5월 모바일 AMOLED 패널 가격 상승, LCD 가격 하락(Digitimes) - 휴대폰 수요 회복에 따라, AMOLED 패널 가격 소폭 상승. 모바일 LCD 패널 가격은 하락세 지속 - https://me2.do/5BkzwgNq 3) Meta와 LG의 XR 헤드셋 파트너십이 취소되었다는 의견 제기(Digitimes) - XR 헤드셋 제품 공동 개발 발표 이후 2달여만에 파트너십이 무산된 것으로 알려져 - https://me2.do/51aq7vpW 4) 1Q24 MEA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 대비 6% 성장. 삼성 1위 탈환(Counterpoint) - QoQ로는 16% 감소. 삼성전자 점유율 22%로 1위. 샤오미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하며, 점유율 3위 기록 - https://me2.do/xTbaszRT 5) 애플, 618 쇼핑 페스티벌 앞두고 가격 인하 발표(Shine) - 일부 모델은 최대 2,300위안(319달러)까지 인하. 애플 차이나 역사상 가장 큰 할인이 될 전망 - https://me2.do/GG8cC6Kb 6) LG전자, 1분기 세계 OLED TV 왕좌. 점유율 52%(아시아투데이) - Omdia 집계. 1분기 LG OLED TV 출하량 약 63만대, 출하량 기준 점유율 약 52%. 70인치 이상 초대형 OLED TV 출하량 비중은 YoY +4.6%P 상승한 14.1% - https://me2.do/Ga2vCv5S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Показати вс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