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kie

Utilizamos cookies para mejorar tu experiencia de navegación. Al hacer clic en "Aceptar todo", aceptas el uso de cookies.

avatar

글로벌 바이오헬스케어 뉴스

Mostrar más
Publicaciones publicitarias
2 953
Suscriptores
+1724 horas
+307 días
+20630 días

Carga de datos en curso...

Tasa de crecimiento de suscriptores

Carga de datos en curso...

(텐센트가 투자한 중국 AI 기반 신약 개발 회사, >$120mil. 홍콩 IPO) ============ 중국 AI 기반 신약 개발사 QuantumPharm(구 XtalPi)가 HK$989.3 mil.(US$126.8 mil.)의 공모자금을 모집하며 홍콩 시장에 상장하였다. 공모가는 주당 HK$5.28이고, 금요일 종가는 HK$5.40이며, 현재 기업가치는 HK$18.4bil.(US$2.4bil.)이다. 이 회사는 AI와 자동화 로봇을 활용하여, 신약 후보물질을 효율적이고 빠르게 발굴한다. 2023년 매출은 174 mil. 위안(US$24mil.)으로 전년 대비 30% 증가하였으나, 순손실 1.9 bil.위안 (US$268 mil.)이다. 현재 중국 내 매출이 60% 정도인데, 미국/유럽으로 진출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작년에 일라이 릴리와 체결한 $250mil. 규모의 딜을 포함하여,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들과 파트너쉽을 체결한 바 있다. 이 회사는 2014년에 설립되었고, 2020년에 $318mil. Series C, 2021년에 $400mil. Series D 투자를 유치하며 주목받았으며, 텐센트도 투자를 하였다. 본사는 중국 심천이고, 중국 상하이, 베이징, 미국 보스턴 지역에 연구소와 비지니스 센터가 위치해 있다. =============== (written by 심수민,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텔레그램 채널: https://t.me/global_biohealthcare_news https://www.scmp.com/business/companies/article/3266182/quantumpharm-becomes-hong-kongs-third-largest-ipo-2024-after-pricing-shares-hk528
Mostrar todo...
Hong Kong IPO: QuantumPharm prices shares at HK$5.28 apiece

The Tencent-backed AI drug researcher raised HK$989.3 million (US$126.8 million) after setting the offer price towards the low end of the HK$5.03 to HK$6.03 range.

👍 1
(골드만 삭스에 이어 JPM도 바이오 전용 펀드 결성) ============= 연초에 골드만 삭스가 회사 역사상 최초(first-ever)의 바이오 펀드를 결성하더니, 이번에는 JPM Private Capital이 첫번째 바이오 펀드인 270 Life Sciences Private Capital Fund I를 결성했다는 소식을 알렸다. JPM 바이오 펀드 규모는 $500mil. 이상이고, 자금 모집하는데 1년 넘게 걸렸다고 한다. 투자 대상은 기존 포트를 포함한 비상장 바이오텍이며, 모든 단계의 다양한 치료제 모달리티, 질환 분야에 걸쳐 넓은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참고로 기존에 이미 투자한 분야는 심혈관/대사질환, 암, 면역질환, 유전자 치료제 등이다. JPM Private Capital 는 JPM 자산운용의 대체투자 파트인 JPM Global Alternative 소속이며, 비상장 회사들 대상 그로쓰 투자와 파이낸싱 솔루션을 제공한다. ================== (written by 심수민,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텔레그램 채널: https://t.me/global_biohealthcare_news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jp-morgans-private-financing-arm-closes-inaugural-500m-biotech-fund
Mostrar todo...

👍 2 1
(아밀로이드 타겟 ‘경구용’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사 $100mil. 투자유치) =============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사, Alzheon가 $100 mil. Series E 투자유치를 완료하였다. FDA 승인을 받은 알츠하이머 치료제는 아밀로이드 베타 타겟 항체 치료제이며, 주사로 투여한다. 한편 이 회사의 ALZ-801는 경구용 아밀로이드 베타 타겟 약물이고, 신경독성이 있는 수용성 아밀로이드 베타 올리고머(oligomers) 형성을 억제한다. 현재 고위험군인 APOE4/4 유전형 초기 알츠하이머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3상이 진행 중이다. 6,000명 이상의 환자를 스크리닝하여, 325명의 환자가 임상에 등록하였고, 올 하반기에 임상이 완료될 예정이다. 이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되었고, 매사추세츠 프레이밍햄에 위치해 있다. ============= (written by 심수민,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텔레그램 채널: https://t.me/global_biohealthcare_news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40612246496/en/Alzheon-Raises-100-Million-Series-E-Financing-Round-to-Advance-Development-and-Commercialization-of-Oral-Tablet-ALZ-801Valiltramiprosate-for-Treatment-of-Alzheimer%E2%80%99s-Disease
Mostrar todo...

👍 3
(ADC확장판: 항체-사이토카인 접합체 개발사, Bright Peak 사, $90mil. 투자유치) ============= 항체와 사이토카인을 결합한 형태의 변형 ADC를 개발하는 Bright Peak Therapeutics가 $90mil. Series C 투자유치를 완료하였다. 이번 투자는 J&J Innovation-JJDC가 리드하고 Venrock, KB Investment 등의 신규 투자자와 Versant, Fidelity, RA Capital 등의 기존 투자자들이 참여하였다. Bright Peak는 원래 IL-2 제품을 주력으로 개발했으나, 현재는 IL-18을 ADC의 약물처럼 링커로 기존 항체에 결합시키는 Antibody-Cytokine Conjugate을 주요 기술로 내세우고 있다. 리드 제품 BPT567은 PD1 타겟 항체에 IL-18을 결합한 제품이고, 전임상 동물 모델에서 시너지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번 자금으로 임상 1/2상까지 진입하고자 한다. 이 회사는 2017년에 설립되었고 스위스 바젤과 미국 샌디에고에 위치해 있다. ============= (written by 심수민,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텔레그램 채널: https://t.me/global_biohealthcare_news https://finance.yahoo.com/news/bright-peak-therapeutics-announces-90-080000288.html?fr=sycsrp_catchall
Mostrar todo...

1
(비만 수술(!) 효과를 내는 경구용(!) 비만약 개발사 등장) ================= GLP-1 이후로 다양한 비만 치료제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또다른 새로운 기전의 비만치료제 개발사, Syntis Bio 가 등장하였다. 이 회사의 SYNT-101는 하루에 한번씩 복용하는 경구용 약물이고, 소화기관을 코팅하여 음식물 흡수를 줄이는 방식인데, 위의 크기를 줄여서 음식물 섭취를 제한하는 비만 수술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이 제품은 MIT에서 개발된 SYNthetic Tissue-lining 기술에 기반한다. 수분을 흡수하는 홍합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서 개발되었는데, 십이지장 벽을 일시적으로 폴리머(polydopamine) 라이닝(코팅)을 함으로써 음식물이 흡수되는 것을 막는다. 폴리머 라이닝은 최대 24시간 정도 유지된 후 생분해된다. 돼지에서 100건 이상의 전임상 시험을 실시하였고, 현재 임상을 진행 중이다. 이 회사는 2022년에 설립되었고, 매사추세츠 밀턴에 위치해 있다. ============= (written by 심수민,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텔레그램 채널: https://t.me/global_biohealthcare_news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move-over-glp-1s-syntis-launches-clinical-stage-obesity-pill-mimic-gastric-bypass
Mostrar todo...
Move over, GLP-1s. Syntis launches with clinical-stage obesity pill to mimic gastric bypass surgery

GLP-1 agonists and their next-gen successors may still be center stage in the red-hot obesity space, but newly launched Syntis Bio is taking a different approach. | GLP-1 agonists and their next-gen successors may still be center stage in the red-hot obesity space, but newly launched Syntis Bio is taking a different approach.

👍 4
(옥스포드대 스핀오프 '신경자극 기기' 회사, 유럽 메드텍 최대 규모 $100mil. Series A 투자유치) =========== 신경자극 기기 개발사, Amber Therapeutics가 $100mil. Series A 투자유치를 완료하였다. 이는 Series A 라운드로는 유럽 메드텍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이다. 이번 투자는 New Enterprise Associates 가 리드하고, F-Prime Capital, Lightstone Ventures, Intuitive Ventures, Oxford Science Enterprises, 8VC가 참여하였다. 이 회사의 주력 제품은 요실금 치료를 위한 최소 침습(minimally invasive) 신경자극 기기이다. 이식형(implant)이며 전기자극으로 신경을 조절한다. 현재 13명 여성 대상 임상 중인데, 임상을 완료한5명 중 4명이 증상에서 요실금 에피소드가 완전히 없어지는 좋은 결과를 보였다. 전체 임상 결과는 연말에 나올 예정이다. 이 회사는 2021년에 옥스포드대 스핀아웃해서 설립되었고, 영국에 위치해 있다. ============= (written by 심수민,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텔레그램 채널: https://t.me/global_biohealthcare_news https://www.fiercebiotech.com/medtech/urinary-incontinence-neuromod-newcomer-amber-therapeutics-nets-100m
Mostrar todo...

👍 4 1
설립 2년된 신경질환 치료제 개발사 Rapport, $154mil. 규모 IPO) ================= 정밀의학 기반 신경질환 치료제 개발사, Rapport Therapeutics가 지난 주에 $122mil. 규모 IPO를 하겠다고 밝혔는데, $154mil.로 공모규모를 늘려서 금요일(7일)에 상장하였다. 공모가는 예상범위 $16-$18의 중간값인 $17였고, 금요일 종가는 20%이상 상승한 $20.80이다. 현재 기업가치는 $736mil.이다. TARPg8 AMPAR 제품은 임상 1상을 완료하였고, 국소 뇌전증, 말초신경병증, 양극성 장애(조울증)에 대한 임상 2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 회사는 2022년에 설립되었고, 보스턴에 위치해 있다. 2023년 3월에 $100mil. Series A를 Third Rock, Arch, J&J Innovation-JJDC 으로부터 받으며 등장하였고, 2023년 8월에는 $150mil. Series B 투자를 유치하였다. ============= (written by 심수민,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텔레그램 채널: https://t.me/global_biohealthcare_news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third-rocks-rapport-reveals-upsized-154m-ipo
Mostrar todo...
👍 3
핫한 방사선의약품 분야: 대규모 IPO 준비 중인 방사선의약품 개발사) ================= 호주 방사성의약품 개발사, Telix Pharmaceutical가 $183mil. 규모로 나스닥에 상장할 계획이다. 주관사가 옵션을 행사하면 공모 규모는 $211 mil. 까지 증가하게 된다. 이 회사의 주력 제품, TLX591는 PMSA 타겟 항체에 루테시움 (Lu177)을 결합한 형태이며, 전립선암 치료제로 임상 2/3상 중이다. Telix는 2015년에 설립되었고, 호주 멜버른에 위치해 있으며, 2017년에 호주에서 상장하였다. ============= (written by 심수민,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텔레그램 채널: https://t.me/global_biohealthcare_news https://www.globenewswire.com/news-release/2024/06/05/2893759/0/en/Telix-Announces-Launch-of-Proposed-Initial-Public-Offering-in-the-United-States.html
Mostrar todo...
👍 3
(두 달 사이 3번째 딜 체결하는 입센;: 면역항암제 개발사 Marengo와 $1.2bil 규모. 딜 체결) =============== 프랑스 제약사 입센이 Marengo Therapeutics와 $1.2bil. 규모의 공동개발 딜을 체결하고, T 세포 인게이저(T cell engager) 기술인 TriSTAR 기반 면역 항암 항체 치료제를 개발한다. 양사는 2022년에도 1.6bil. 규모(업프론트 $45mil.) 딜을 체결한 바 있다 당시에는 T 세포를 활성화하는 T 세포 공동자극 신호(costimulatory signals)을 이용한 소위 STAR 기술 기반 항체 제품 2개를 도입하였다. Marengo는 2015년에 설립되었고, 매사추세츠 케임브리지에 위치해 있다. ================== 입센은 4월에 RNA 를 조절하는 저분자 약물을 개발하는 Skyhawk Therapeutics와도 $1.8bil. 규모 딜을 체결하였고, Sutro Biopharma와는 ROR1 타겟 ADC 제품을 도입하는 $900mil. 규모 딜도 체결하였다. ============= (written by 심수민,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텔레그램 채널: https://t.me/global_biohealthcare_news https://www.ipsen.com/press-releases/ipsen-and-marengo-therapeutics-announce-second-strategic-partnership-to-advance-precision-t-cell-engagers-from-marengos-tri-star-platform/
Mostrar todo...

(제약사 가용 자금 $1 trillon!! 언제 쓸까?) =================== Ernst & Young 리포트에 의하면 제약사들이 딜에 쓸 수 있는 자금이 기록적으로 많은 $1trillion에 이른다. 그러나 금리 인하가 현실화되어야 본격적으로 쓸 듯 하다. 그래도 금리 압박만 줄어들면 바이오 분야는 다시 좋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제약사들은 $300bill 규모의 특허 만료되는 제품들을 대체할 제품을 찾아야 하고, 이를 위해 바이오텍에서 개발된 혁신 제품들을 도입해야 하기 때문이다. =================== 바이오텍 분야 펀딩은 지난 2년간 매우 어려웠고, 아직도 쉽지 않다. 벤처 투자는 $18.9bil.으로 2022년과 비슷한 수준이고, 몇년 전 바이오 붐일 때의 $47.5bil.보다는 현저히 적다. 2023년에는 2022년보다 초기단계 투자가 8.7%나 감소한 것도 특징이다. (초기 회사가 더 어렵다는 얘기) 벤처 투자보다는 제약사와의 파트너쉽 딜은 상황이 좀 나은 듯 하다. 2023년 파트너쉽 딜 규모 기준 $125.3bil에 이른다. 파트너쉽을 통해 제약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험을 지면서 혁신 신약에 대한 권리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M&A 딜도 증가 추세이다. ============ (written by 심수민,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텔레그램 채널: https://t.me/global_biohealthcare_news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pharma-awaits-fed-relief-1t-firepower-spend-biotech-innovation-report
Mostrar todo...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