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kie

Utilizamos cookies para mejorar tu experiencia de navegación. Al hacer clic en "Aceptar todo", aceptas el uso de cookies.

avatar

개똥같은상훈이

Mostrar más
Publicaciones publicitarias
1 988
Suscriptores
Sin datos24 horas
+77 días
-330 días

Carga de datos en curso...

Tasa de crecimiento de suscriptores

Carga de datos en curso...

Repost from AI MASTERS
AI를 활용해 혼자 만든 게임이 세계 2위라고? 폴란드 게임 개발자 그렉 스텍젠이 만든 게임 '매너 로드'라는 게임 이야기인데요😉 AI의 발전으로 인해 이제 1인 개발자들의 엄청난 생상성 향상이 현실화 되고 있다는 이야기🫡 ✅ 주목할 만한 내용 1. (막대한 자본력과 인프라를 가진) 소니나 마이크로소프트가 공급하는 게임을 제치고 낸 성과 2. 중세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인 <매너 로드>는 지난달 23~30일 ‘스팀’에서 매출 순위 2위를 기록 3. 얼리 액세스 형태로 출시된 뒤 주간 집계에서 <카운터스트라이크>에 이어 가장 많은 매출을 내는 PC 게임이었음 4. 소니의 <헬다이버스2>, 마이크로소프트의 액티비전블리자드가 내놓은 <콜오브듀티: 모던워페어3> 등이 뒤로 밀렸다고 5. 엔비디아의 도움도 있었다고. 엔비디아는 그의 게임에 AI 딥러닝 기술로 저사양 컴퓨터에서 고품질 그래픽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인 ‘DLSS’을 지원 ✍️ 벌써 이런 결과물들이 나오기 시작했군요. 앞으로 AI의 도움을 받은 프로덕트들이 얼마나 많이 나올까요?👍👍 👉 매너로드 구경하기 👈
Mostrar todo...
Repost from N/a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Repost from N/a
[대신증권 유통/의류 유정현] GAP 1Q24 Earnins release GAP 오늘 새벽 호실적 기록하며 가이던스 세게 상향 조정 발표. 주가는 after market에서 20% 급등 최근 몇년내 GAP의 모든 브랜드가 positive comparable sales를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 한세실업이 GAP 수주가 세게 늘고 있다고 했는데 다 이유가 있었습니다. 2-4분기 실적도 기대해볼만 하네요! GAP(NYSE: GPS) 1Q24 Earnings Release * Net sales $3.4bn(3%), SSSG+3% - store sales +3%, Online sales +5% * GPM 41.2%(+410bps), OPM 6.1%(vs. 1Q23 -0.3%) - OP 흑자전환 * Inventory -15%(yoy), -2%(QoQ) - 2019년 1Q $2.241bn 대비해서도 -13% 수준 * 2024 outlook 상향 제시 - Net sales : 소폭 증가(기존 : flat) - GPM : at least 150bps 개선(기존 : at least 50bps 개선) - OP : mid 40% growth(기존 : low-mid teens 증가) * 2Q24 가이던스 - Net sales : low single digit growth - GPM : 약 300bps 개선 Gap shares pop 20% as earnings beat on sales growth at all four brands KEY POINTS Gap beat quarterly estimates on the top and bottom lines, leading the retailer to raise its full-year guidance. The apparel company’s CEO Richard Dickson told CNBC, “we’re delivering what we said we were going to deliver to our shareholders.” All four of Gap’s brands — its namesake banner, Old Navy, Athleta and Banana Republic — posted positive comparable sales for the first time in years. * Earnings per share: 41 cents vs. 14 cents expected * Revenue: $3.39 billion vs. $3.29 billion expected
Mostrar todo...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Ulta Beauty의 2024년 1분기 실적 - 매출: $27.3억 (예상치 $27.2억 초과) - 주당 순이익 (EPS): $6.47 (예상치 $6.26 초과) - 주요 제품 판매: 스킨케어, 메이크업, 향수, 헤어케어 제품 판매 호조 - 스킨케어: 매출 증가 주요 동력 - 메이크업: 색조 화장품 판매 증가 - 향수: 프리미엄 향수 판매 호조 - 헤어케어: 다양한 브랜드 제품 판매 상승
Mostrar todo...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Blackwell Shipments Imminent, Total CoWoS Capacity Expected to Surge by Over 70% in 2025, Says TrendForce - H100 공급 부족은 1Q24 완화 중. H200 물량이 2Q24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Blackwell은 3Q24E 출시, 4Q24E 본격 확대 예상 - 그럼에도 2024년은 H100, H200 등 Hopper 플랫폼에 집중할 전망. Blackwell은 4Q24부터 증가해 올해 하이엔드 GPU 시장 내 점유율 10% 미만 예상 - Blackwell 플랫폼의 칩 크기는 H100의 두 배 수준 - TSMC CoWoS 총 생산능력은 2024년 150%, 2025년 70% 이상 증가 예상됨. 엔비디아는 이 중 약 50% 사용 예정 - H100이 HBM 80GB를 주로 탑재하는 반면, 2025년 B200은 HBM3E 288GB 탑재 에정 -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AWS는 가장 먼저 GB200 도입 예정. 세 기업으로의 출하량 합산은 2025년까지 30,000 랙 이상 - 구글은 TPU AI 인프라 확장을 우선으로 진행 중 - 엔터프라이즈 고객, 각 정부의 AI 클라우드, tier-2 데이터센터 업체들의 수요도 눈에 띄게 증가 중 - 2023년은 CoWoS, HBM 공급 부족으로 주요 CSP에 공급 집중됐지만(65%), 1H24 GPU 공급 증가와 함께 Dell, HPE 등 서버 브랜드 수요 비중 19%까지 확대 예상 - CoreWeave, Tesla 등 tier-2 업체와 정부 AI 클라우드 등의 수요 점유율도 31%까지 상승할 전망 https://han.gl/Kg1ni (TrendForce)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Mostrar todo...
[ 미국 eSSD 기반 스토리지 기업인 Pure Storage 가 AI 수혜로 이번 분기에도 호실적을 발표하며 실적 발표 후 10% 넘게 상승중 ] - 퓨어스토리지는 기업향 / 데이터 센터향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대규모 스토리지 (eSSD 기반 스토리지) 를 선두 기업 - 이번 분기에도 흐름을 이어나가며 호실적 발표 후 7% 넘게 상승 이번 분기 실적 발표 - 매출 : 6.94억 달러 (YoY +17.7%, 컨센서스, 1259만 달러 상회) - 구독 서비스 매출 : 3억 4,610만 달러 (YoY 23% 증가) - 구독 연간 반복 매출 ARR 14억 달러 (YoY 25% 증가) - 잔여 이행 의무 (RPO) 23억 달러 (YoY 27% 증가) - GAAP GPM : 71.5% - Non-GAAP 영업 이익 : 1억 달러 / 영업 이익률 : 14.5% FY2025 가이던스 - 매출 : 31억 달러 (YoY 10.5% 성장) - 영업이익 : 5.32억 달러 (영업이익률 : 17%) 1분기 간략 코멘트 - 엔터프라이즈 AI 가속화 흐름 속 엔비디아와 플래시 메모리 스토리지 (eSSD) 협력 > 퓨어스토리지는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생성 AI 를 뒷받침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 스토리지 레퍼런스 아키텍처 획득 > 엔비디아의 고객들에게 검증된 플래시 메모리 스토리지 제공 - 다음달 동사가 개최하는 행사에서 플래시 메모리 스토리지가 어떻게 AI 와 사이버 보안에서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는지 설명하는 행사를 가질 것 🤗 관련한 생각 - 지난 분기 실적 발표부터 AI 발 eSSD 수요가 증가하며 주가 급등 - 작년 봄/여름 즈음 부터 AI 발 eSSD 수요가 살아나고 있는 점이 확인되기 시작하고 있음 - Trendforce 에 따르며 AI 학습 / 추론에서 플래시 메모리 스토리지 (eSSD) 가 전력 효율 개선 및 뛰어난 성능으로 AI 용 데이터 센터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코멘트 - 특히 북미 하이퍼 스케일러로부터의 수주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 - 특히 AI 추론에서 eSSD가 유의미한 성능 개선에 기여 - eSSD의 기본이 되는 NAND 기술은 QLC 인데 QLC 출하량은 올해 300% YoY 증가가 예상된다고 트렌드 포스는 코멘트 - 이러한 흐름 속에서 eSSD 를 기반으로 대규모 스토리지를 만드는 Pure Storage의 실적 개선세가 이어지고 있음 - 하반기부터 Blackwell 출하가 시작됨에 따라 출하되는 GPU의 Q가 더 폭발적으로 증가할 예정인데 이에 따라 eSSD 수요가 같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팔로우업 필요 - 자세한 내용은 컨콜 이후 추가적으로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BK TechInsight 텔레그램 채널 https://t.me/Barbarian_Global_Tech 바바리안 리서치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
Mostrar todo...
Repost from N/a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인텔과 AMD 역시 TOPS를 올려 AI PC에 최적화된 프로세서를 올해 하반기부터 출시할 예정이지만 AI PC에서의 주도권을 여전히 Qualcomm이 가져갈 것이라 생각됩니다. Qualcomm의 X Elite는 기존에 인텔/AMD의 x86이 아니라 애플이 사용하는 ARM 아키텍처 기반으로 설계되었는데, Microsoft가 PC에 X Elite를 채택한 것은 곧 x86을 버리고 ARM 아키텍쳐를 선택한 것과 같은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Microsoft가 AI PC 용으로 수십년 간 사용하던 x86 아키텍쳐를 버리고 ARM의 아키텍쳐를 선택한 이유는, 기존 PC 대비 NPU까지 사용해야되는 AI PC의 특성상 전력 소모와 발열 문제가 심해지는데, x86이 이 부분에 취약한 반면, ARM 아키텍쳐는 이 부분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애플 역시 같은 이유로 맥에서 x86이 아닌 ARM을 선택한 바 있습니다. 기존에 ARM이 아닌 x86을 사용했던 유일한 이유가 성능 차이 때문이었는데, 이번에 퀄컴의 X Elite 칩 발표 이후 뛰어난 성능이 검증되면서 이 부분의 격차 역시 해소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Mostrar todo...
Repost from N/a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AI PC에서 Qualcomm의 X Elite가 상징성을 갖는 이유는, Microsoft가 자사 PC에 수 십년 간 탑재하던 인텔 프로세서를 빼고 Qualcomm의 신규 프로세서인 X Elite를 탑재했기 때문입니다. 이는 어떻게 보면 당연한 흐름이었는데, AI PC의 정의 자체가 "40 TOPS(Trillion Operation Per Second) 이상의 성능을 가진 NPU가 탑재된 PC"인데, 현존하는 NPU 중 40 TOPS를 넘는 것은 Qualcomm의 X Elite가 유일하기 때문입니다. 인텔과 AMD의 프로세서는 아직 X Elite 대비 TOPS 2~30% 수준에 불과합니다. X Elite는 성능에 올인했다고 알려진 애플의 M칩보다도 훨씬 앞서있는 상황입니다(위 그림).
Mostrar todo...
Repost from N/a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Morgan Stanley에서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AI PC의 침투율이 올라갈 것이며, 올해 침투율 2%에서 시작해 내년에 바로 중요한 기점인 20%를 넘기고, 28년까지 침투율이 85%에 달할 것이라 코멘트한 바 있습니다. Microsoft와 OpenAI가 Copilot AI라는 킬러 컨텐츠를 앞세워 죽어가던 PC 시장에 AI PC라는 새로운 모멘텀을 불러 일으킨 것입니다. Morgan Stanley는 최근 미국과 유럽 주요 기업들의 CIO Survey에서 향후 AI PC에 대한 지출을 늘리고 싶다는 CIO들의 비율이 3Q23 40%에서 1Q24 75%까지 올라왔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렇듯 올해부터 Commercial PC부터 시작해서 향후에는 Consumer PC까지 AI PC의 본격적인 침투가 시작될 것입니다.
Mostrar todo...
[미래에셋 배터리 장비 박준서] 피엔티 (137400/매수): 목표주가 상향에 대한 근거 2가지 1. 목표주가 60,000원에서 84,000원으로 상향 조정 - 목표주가를 84,000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배터리 장비 섹터내 최선호주를 유지. 동사의 글로벌 입지와 기술력을 확인한 이후 멀티플 Peer를 국내 → 글로벌 피어로 재부각될 필요가 있는 상황. 이에 Target P/E를 국내 배터리 장비 업체 평균 11배에서 글로벌 평균 P/E 15배로 상향 조정. 신규 밸류에이션은 1) 종(種)의 확장, 2) 게임 체인저인 건식 장비 선점이 근거 2. 종(種)의 확장 - 동사의 멀티플이 글로벌 평균 대비 낮을 이유가 해소됐다 판단. 국내 셀 고객사 규모의 대형 해외 고객사와 거래를 시작한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 동사는 기존 SK온 향 점유율이 높다는 이유로 타 배터리 장비 업체보다 밸류에이션을 낮게 받았던 상황. 고객사의 증설 유무의 불확실성이 큰 리스크로 작용했기 때문. 여러 해외 고객사들을 비중 높게 두루 섭렵하고 있었으나, 기존 해외 고객사들의 투자 규모가 국내 고객사들의 규모만큼 크지 않다고 판단됐던 상황. 이러한 리스크는 해소됐으며, 향후 글로벌 출하 물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 3. 게임 체인저인 건식 장비 납품과 차기 비즈니스 모델 기대 - 동사는 해외 대형 고객사에게 건식 관련 장비를 발주 받은 것으로 파악. 일회성이 아닌 추후에 지속적인 공급 계약 체결이 기대되는 상황. 건식 공정은 공정 상에서 배터리의 가격을 혁신적으로 줄여줄 수 있는 장비. 건식 생산은 생산 비용이 17% 감소하며, 습식 코팅 대비 코터 비용이 14% 감소하고 전기 비용이 38% 감소하는 등 가격 면에서 이점이 있음 - 차기 비즈니스 모델인 LFP 배터리 생산, 소재 사업 진출도 시작될 것으로 전망. 24년까지 ESS용 LFP 배터리 라인 증설 완료 이후 25년 0.2Gwh 양산이 시작될 것으로 보이고 R2R 기반 소재 생산도 내년에 기대되는 상황. 또한 피엔티엠엔에스의 경영 정상화, 다양한 소재 장비 개발 등 추가적인 비즈니스 모델 확장도 기대 보고서 링크: https://han.gl/WGHBL 감사합니다
Mostrar todo...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