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kie

نحن نستخدم ملفات تعريف الارتباط لتحسين تجربة التصفح الخاصة بك. بالنقر على "قبول الكل"، أنت توافق على استخدام ملفات تعريف الارتباط.

avatar

Nihil's view of data & information

https://t.me/+MEDQGL-sFfIzNDg1

إظهار المزيد
مشاركات الإعلانات
8 316
المشتركون
+1024 ساعات
+1777 أيام
+57330 أيام

جاري تحميل البيانات...

معدل نمو المشترك

جاري تحميل البيانات...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 사용처별 미국 태양광 설치비용 (2023년 4분기 기준) 미국 주거용 태양광 설치비용 : USD 3.30/w 미국 상업용 태양광 설치비용 : USD 1.58/w 미국 유틸리티 태양광(고정형) 설치비용 : USD 1.02/w 미국 유틸리티 태양광(추적형) 설치비용 : USD 1.11/w 자료인용 : Guolian Securities 발간 “미국 동남아 태양광 우회수출 조사 영향” (2024. 05. 27)
إظهار الكل...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 미국과 중국의 태양광모듈 가격 격차 미국 시장에서의 태양광모듈 판매가격은 높은 프리미엄을 형성하고 있음. 2022년까지 미국과 중국의 태양광 모듈 가격차이는 20 – 40%선이었으나, 2022년 미국이 동남아 4개국 태양광 모듈 수입에 대한 우회수출 조사를 시작하면서 수입규모가 감소하였고, 중국의 태양광 모듈 생산증가로 중국산 모듈가격은 크게 하락하면서 미국과 중국의 태양광 모듈 가격격차가 확대되었음. 2024년 5월 기준, 미국 내 모듈 판매가격(0.3USD/W)이 중국보다 161% 높은 상태임. 자료인용 : Guolian Securities 발간 “미국 동남아 태양광 우회수출 조사 영향” (2024. 05. 27)
إظهار الكل...
※ 미국 태양광 설치용량 및 비중 태양광은 지난 수년간 미국에서 주요한 신규 전력 공급원이었음. SEIA에 따르면, 2023년 미국의 신규 태양광 설치용량은 32.4GW였으며, 2024년 예상 신규설치규모는 38GW임. 2023년 전체 신규설치 발전원 중 태양광발전의 비중은 53%를 차지하여 처음으로 50%를 넘어섰음. 자료인용 : Guolian Securities 발간 “미국 동남아 태양광 우회수출 조사 영향” (2024. 05. 27)
إظهار الكل...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 미국 동남아 태양광 모듈 수입 미국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3년 미국의 동남아 4개국으로부터의 태양광 모듈 수입규모는 각각 16.6GW(43.3억달러), 18.7GW(56.9억달러), 36.4GW(119.1억달러)였음. 2011년부터 미국은 중국에 대한 반덤핑, 반보조금 정책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중국의 주요 배터리 제조업체들은 동남아 지역에 생산라인을 건설하기 시작하였음. Infolink Consulting 통계에 따르면, 2023년 미국의 태양광 배터리 모듈 수요의 약 60%가 동남아로부터 수입되고 있음. 자료인용 : Guolian Securities 발간 “미국 동남아 태양광 우회수출 조사 영향” (2024. 05. 27)
إظهار الكل...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 동남아 우회수출 조사(반덤핑, 상계관세) ● 반덤핑조사 및 상계관세조사 스케줄 1. 2024년 4월 24일 : 미국 태양광 제조무역연맹 소속 업체 탄원서 제출 2. 2024년 5월 14일 : 미국 상무부 반덤핑 및 상계관세 조사 시작 3. 2024년 6월 10일 : ITC, 반덤핑(AD) 및 상계관세(CVD)에 대한 예비판정 4. 2024년 7월 18일 : DOC, 상계관세에 대한 예비판정 5. 2024년 10월 1일 : DOC, 반덤핑에 대한 예비판정 6. 2024년 10월 1일 : DOC, 상계관세에 대한 최종판정 7. 2024년 11월 15일 : ITC, 상계관세에 대한 최종판결 8. 2024년 11월 22일 : 상계관세 집행 9. 2024년 12월 16일 : DOC, 반덤핑에 대한 최종판정 10. 2025년 1월 30일 : ITC, 반덤핑에 대한 최종판정 11. 2025년 2월 6일 : 반덤핑 관세 집행 미국 상무부는 동남아 4개국에 대한 태양광전지 제품에 대한 이중조사(반덤핑, 상계관세)를 시작하였음. 2024년 4월 24일, 미국 태양광 제조무역연맹 위원회의 구성원인 First Solar, 한화큐셀, Mission Solar Energy 및 기타 업체들은 미국 상무부에 탄원서를 제출하였으며, 5월 15일 미국 상무부는 동남아 4개국에서 수입된 태양광전지에 대한 반덤핑(AD) 및 상계관세(CVD) 조사를 시작한다고 발표하였음. 동남아 4개국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서 의심하는 덤핑마진의 범위는 다음과 같음. 1) 베트남 271.28% 2) 캄보디아 125.37% 3) 말레이시아 81.22% 4) 태국 70.36% 상계율은 구체적으로 명확하지 않아 최저한도로 간주할 것으로 보임. 자료인용 : Guolian Securities 발간 “미국 동남아 태양광 우회수출 조사 영향” (2024. 05. 27)
إظهار الكل...
※ 미국, 동남아 태양광 우회수출 조사 ● 동남아 우회수출 판정 스케줄. 1) 2024년 6월 10일 ITC의 AD, CVD 예비판정 2) 2024년 12월 16일 DOC의 AD 최종판정 3) 2025년 1월 30일 ITC의 AD 최종판결 2024년 5월 15일 미국 상무부는 동남아시아 4개국(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에서 수입된 태양광 전지(조립 부품여부에 관계없음)에 대한 반덤핑(AD) 및 상계관세(CVD) 조사를 발표하였음. 반덤핑조사에서 의심되는 덤핑마진은 70.36-271.28%임. 조사기간 중 중국 부품업체들의 대미 판매 적극성도 조사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음. 미국의 동남아 4개국에 대한 반회피 관세면제가 조만간 만료되며, 새로운 정책이 발표될 예정으로 이는 중국 배터리 모듈 업체들의 대미 판매량에 영향을 미칠 것임. 추적가능성으로 인해 최종 판결 결과가 발표되기 전에 중국업체들은 동남아 생산라인을 통한 배터리 모듈의 미국수출에 더욱 더 신중을 기할 것이며 이는 해당 생산라인 출하량에 영향을 미칠 것임. ● 미국 태양광발전 설비 및 수요 SEIA에 따르면, 2023년 미국의 신규 태양광발전설비 설치규모는 32.4GW로 전체 발전설비용량의 53%를 차지하였음. 2024년의 신규 태양광발전설비 규모는 38GW로 추정됨. Infolink Consulting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미국 현지 태양광전지 생산능력은 약 7GW이며, 모듈 수요는 약 56GW로 미국 태양광설비가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움. 자료인용 : Guolian Securities 발간 “미국 동남아 태양광 우회수출 조사 영향” (2024. 05. 27)
إظهار الكل...
※ 중국 폴리실리콘 및 실리콘 웨이퍼 생산량 중국 실리콘산업협회 자료에 따르면, 2024년 3월 중국 폴리실리콘 생산량은 18.6만톤으로 전월대비 6.28% 증가하였음. 4월 생산량은 3월과 비슷하거나 약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2024년 4월 중국 실리콘 웨이퍼 생산량은 62.35GW로 전월대비 -10.6% 감소하였음. 자료인용 : Yongxing Securities 발간 “태양광 산업 주간보고서” (2024. 05. 27)
إظهار الكل...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 2024년 미국 ESS용 배터리 수요 예측 2023년 미국의 ESS용 배터리 수요는 60 – 70Gwh 였으며, 2024년 예상은 90 – 100Gwh로 전년대비 약 5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이 중 CATL의 ESS용 배터리의 점유율이 40%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이며, 그 다음으로 Sonnenschein(阳光), BYD, EVE 등의 업체들임. 자료인용 : Soochow Securities 발간 “전력설비 주간보고서” (2024. 05. 26)
إظهار الكل...
※ 2024년 5월 중국 전기차 판매량 CPCA(승련회)의 예측 데이터에 따르면, 5월 중국 승용차 소매판매량은 약 165만대로 전년동월대비 5.3% 감소하고, 전월대비 7.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이 중 전기차 소매판매량은 약 77만대로 전년동기대비 32.7% 증가하고, 전월대비 13.7%증가할 것으로 예상. 5월 전기차 침투율은 46.7% 추정. 4월 말 자동차에 대한 “이구환신” 정책이 시행되면서 일부 판매량 증가가 있었지만, 소비자가 폐차 후 신차구매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정책 영향은 앞으로 더 강해질 것임. https://auto.cnr.cn/yc/20240527/t20240527_526720102.shtml
إظهار الكل...
乘联会预测:5月乘用车零售约165万辆,新能源渗透率46.7%_央广网

近日,乘用车市场信息联席会发布预测数据:5月,国内狭义乘用车零售规模约165.0万辆,同比下滑5.3%,环比增长7.5%;新能源乘用车零售可达77.0万辆左右,环比增长13.7%,同比增长32.7%,渗透率预计可进一步提升至46.7%。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 2024년 1-3월, 미국 ESS 누적설치량 EIA의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3월까지의 미국 ESS 누적 설치량은 1.05GW로 전년동기대비 193% 증가하였습니다. EIA의 예측에 따르면, 2024년 4월, 5월, 6월, 12월의 ESS설치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2024년 미국의 ESS설치량은 매우 큰 폭의 성장세를 보여줄 것으로 추정됩니다. 자료인용 : Minmetal Securities 발간 “5월 신재생에너지 산업 월간보고서” (2024. 05. 27)
إظهار الك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