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kie

نحن نستخدم ملفات تعريف الارتباط لتحسين تجربة التصفح الخاصة بك. بالنقر على "قبول الكل"، أنت توافق على استخدام ملفات تعريف الارتباط.

avatar

SignalQuant

문의 @Signal_Quant_admin

إظهار المزيد
مشاركات الإعلانات
6 167
المشتركون
-124 ساعات
-37 أيام
-4030 أيام

جاري تحميل البيانات...

معدل نمو المشترك

جاري تحميل البيانات...

🔔 비트코인 현물 ETF 운용 자산 총량이 급증할 때 (Bitcoin Spot ETF Total Holdings 의 is_above_upper_bound_for_alert 값이 1 과 같을 때) [Ki Young Ju님의 설명] 비트코인 현물 ETF 상품의 전체 운용 자산 급증 시, 기관 투자자들의 자금이 대거 유입된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ETF 상품은 주중에만 거래가 되기 때문에 주말 데이터가 없으며, 운용사 측에서 데이터 업데이트가 지연될 시 업데이트가 늦어질 수 있습니다.) [현재 값] • date: 2024-06-07 • Holding bitcoin amount: 884,351.1176 • upper_bound: 883,735.4195 실시간 차트 보기
إظهار الكل...
🔥 2🐳 2
🔰이번주도, ‘주간 올인원 리포트’와 함께! “지루한 시장 이면에 가려져있는 진짜 흐름, 그리고 대응전략“ 지난주 올인원 리포트에서는 '매도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 포인트였습니다. 이후 비트코인 가격은 빠르게 $72k 도달과 조정이 발생하였죠. 많은 사람들이 갑작스러운 무빙이라고 말하지만 그렇진 않습니다. 지난 3주간 분석 내용이 크게 변하진 않았습니다 온체인에서도 유의미한 흐름이 확인됩니다. 특정 가격대에서 청산 풀이 두터워지고 있고, 공포탐욕지수 패턴을 볼때 비트코인 가격의 추가 상승폭 역시 도출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 중에는 소비자 물가지수가 발표됩니다. 여전히 강한 미국 고용때문에 이번 물가 발표가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예상치가 이미 지난 발표치보다 같거나 낮은데 과연 어떻게 나올까요.. ===== 차트와 온체인 분석 외에, 거시경제까지 모두 담은 올인원 리포트를 보면서 하루하루 시장에 휘둘리는 투자가 아닌 넓은 관점으로 여유로운 투자를 함께 해봅시다! 👉https://naver.me/xMjU28Lz #올인원리포트 #투자와일상의균형
إظهار الكل...
🫡 7🙏 2
Repost from N/a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디지털 자산'에 대한 "모든 퍼즐"이 맞춰지고있다! 중국, 러시아, 그리고 BRICS ㅎㄷㄷ 최근 제가 중국의 암호화폐 재개방에 대해 발 빠르게 전달해드렸지만, 암호화폐를 포함한 디지털 자산의 넓은 무대서 우리는 잠시 러시아에 눈길을 줄 필요가 있음ㅎ 왜냐면 현재 러시아가 추진해오고 있는 디지털 자산 정책이 과거 중국이 추진해왔던 그것과 매우 유사해보이며, 유사점들은 다음과 같음 ㅇ암호화폐 거래는 No, 하지만 채굴은 Yes - 중국 : '21.9월 암호화폐 거래를 원천 금지했지만 비슷한 시점에 채굴은 일시적으로 금지했을뿐 여태껏 지속 용인해오고 있음 - 러시아 : '24.4월 암호화폐 유통 금지 법안을 추진중이나 채굴은 금지 사항에서 제외됨 ㅇ자국 CBDC의 발빠른 대중 채택 추진 - 중국 : '14년 공산당 지시로 연구를 시작한 이래, '24년 현재 17개 성의 26개 지역에서 급여, 대출, 세금 등의 부문에서 디지털 위안이 시범 운영 중임 - 러시아 : '23년부터 11개 도시에서 디지털 루블 테스트가 진행되어왔고 '23년에만 최소 25,000건의 거래가 발생함. '24년 정식 출시 및 해당 법안 발의 예정 ㅇ타 국가와의 CBDC 시스템 연결 - 중국 : 중국 주도의 다자간 CBDC 프로젝트인 엠브릿지를 통해 아랍에미리트, 사우디, 태국, 홍콩 등과 자금 이체 초기 단계 돌입 - 러시아 : '23년부터 아랍에미리트와 디지털 루블 결제 시스템을 개발 추진해오고 있음. 남미에서도 '25년부터 디지털 루블이 활용될 예정 이렇듯 무슨 '평행이론설'처럼 두 국가는 디지털 자산을 규제하면서도 자국에 이익이 되는 것들은 용인해주는 정책 모드를 취하고 있음 그러면 이렇게 서로 수시로 소통하면서 유사한 디지털 자산 정책을 추진하는듯한 흐름이 나오는 "진짜 의도"는 뭘까 첫번째로, 'BRICS만의 국가 간 금융결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함임 BRICS 시스템 구축은 나만의 음모론 제기가 아닌, '23년 남아공에서 열린 BRICS정상회담의 실제 의제였음. 그리고 '24.2월 BRICS 재무장관과 중앙은행장들이 브라질에 모여 일명 'BRICS 브릿지'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음 결국, 과거 5개국에서 현재 10개국으로 늘어난 BRICS가 앞으로 정말 자기들만을 위한 국경 간 CBDC 브릿지를 만들겠다는 것임 두번째로, '비트코인은 국가적 전략 자산으로 간주'하여 보유하겠다는 것임 '21년에 중국이 자국 내 비트코인 채굴을 금지했다고 알려져있지만 지난 칼럼을 통해 오직 한달('21.4~5월)만 채굴을 하지 않았고 꾸준히 채굴해오고 있다고 팩트체크했음. 예상컨데, 중국은 10년 넘게 채굴을 해 왔기에 비공식적으로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한 국가라 추정됨 러시아 역시 다른건 몰라도 비트코인 채굴만큼은 허용하고있고 저렴한 에너지 비용과 추운 기후로 환경까지 적격임. 그리고 정부 차원에서 채굴자에게 채굴 물량을 해외에서 판매할 수 있는 권한 부여 등의 채굴 합법화를 추진할 정도로 매우 적극적임 결론적으로, 미국을 비롯한 서방은 물론 중국과 러시아의 BRICS 역시 디지털 자산 블록화를 빠르게 추진하고있고, 이념 진영과 상관없이 비트코인은 사실상 "글로벌 전략 자산"이 되었다는 것이 나만의 결론 (+그러나 진짜 칼을 가는 국가가 '미국'인 이유 등) 👉더보기
إظهار الكل...
👏 5👍 3 2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 ‘24.06.10. 크립토 시황 브리핑 < 전체시장동향 >   - BTC 가격은 $69,600대에서 종가 마감 - 도미넌스는, 비트 55.2%, 이더 17.9%, 알트 10.8% - 전체 코인 시총은 2.478조 달러, 알트 코인 시총은 1.11조 달러 < 상승코인동향 > - ‘상승율 탑5’는 $OM, $ROSE, $NOT, $CHZ, $PEPE. *지난 24시간, 시총 100위내 기준 < 공포탐욕지수 > - 현재 72로 ‘탐욕’ 수준 < 주요헤드라인 > - 비트코인매거진 CEO "트럼프, BTC 채굴 주제로 곧 원탁회의 개최할 것" - OKX "회원 자산 도난 사태 관련 플랫폼 책임 여부 조사 중" - 금융위, 금융산업국 내 ‘가상자산과’ 신설…8명 추가인력 확충 - 뉴욕멜론은행 "패밀리오피스 39%, 암호화폐에 투자 혹은 검토 중" - 비트코인 시총, 글로벌 3대 은행 시총보다 커 #브리핑
إظهار الكل...
👍 6
sticker.webp0.00 KB
sticker.webp0.00 KB
Repost from N/a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코인칼럼 설마 했는데 "중국인의 코인 투자가 이제 정말 가능"해졌다! 어떻게 가능해진걸까? 글로벌 탑급 코인거래소 바이비트가 며칠전 갑자기 중국인 사용등록과 고객인증을 개시하면서 '중국의 암호화폐 재개방'이 이슈화되었음 그런데 정작 고객인증 안내화면에서는 '중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에 인증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문구가 박제되어있어서 "뭐여, 바이비트가 홍콩 당국에 소심한 시위를 하는건가?!"라고 생각함 내가 '소심한 시위'라고 생각한 이유는 홍콩 SFC(증권선물위원회)가 바이비트 등 거래소들에게 1)암호화폐 거래 운영 등록 비용으로 수백만 홍콩달러(수억원)를 요구했고 2)중국 본토인이 거래소 이용 못하게 빡센 시스템 구축을 요구했기 때문임 결국 엄격한 규제 앞에서 '24.5월말에 바이비트 외에 바이낸스, OKX 등 코인 거래소들은 홍콩 내 거래 플랫폼(VATP) 라이선스 신청을 모두 철회(=사실상 사업 철수)하는 사태가 발생함ㄷㄷ 그런데 바이비트 임직원 중에 똘똘한 녀석이 있었고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냄. 즉, 홍콩에서 철수당한후, 일단 '해외 거주' 중국 사용자 등록과 고객 인증을 슬쩍 개시했을수 있음 여기서 더 나아가 중국으로부터 아무 제재가 없을거라고 각이 서자 바이비트는 곧바로 "중국 본토를 제외한 해외 거주 중국인을 위한 계좌 개설 및 사용자 등록을 개시했어요^ㅇ^"라고 공지를 때린게 아닐까 이렇게 당돌하면서도 창의적인 "바이비트 발 중국 암호화폐 재개방" 행보를 보고 나는 문득 '베를린장벽 붕괴' 해프닝이 떠올랐음 1989년 11월 9일 저녁, 일상적 정부 기자회견이 있었고 거기엔 이제 막 정부 대변인으로 임명된 귄터 샤보브스키가 배석함. 회견 막판에 한 기자가 그에게 "동독인들은 언제 서독으로 자유여행이 가능한가요?"라고 질문했는데, 개정된 여행법을 제대로 숙지 못한 그가 "여행법에 따르면 그들이 원하면 아무데나 갈수 있죠"라고 답함. 다시 기자가 "언제부터 그 법이 발효되죠?"라고 물으니 그는 "제가 알기로 지금 당장요"라고 답했고 이후 우리가 아는 역사가 펼쳐짐ㅋ; 바이비트의 어느 똘똘한 직원이 서독의 샤보브스키처럼 중국 공산당의 암호화폐 규제지침을 숙지 못 한건지 아니면 모른 척 한건지 모르겠지만 그 덕분에 '중국 본토 거주자를 제외한 모든 중국인(?)'에겐 코인투자가 가능해진셈! 만쉐이 만쉐이 만만쉐이~ 역사학자들은 베를린 장벽 붕괴가 한 공무원의 말실수 때문이거나 그로 인해 촉발된 시민혁명때문이라고 평가하지만, 나는 그것이 언제든 발생할 '필연적 결과'라고 생각함. 마찬가지로 '베이징 크립토 장벽'도 균열이 생기고 있고, "전세계 최강의 일당 독재 카트렐" 역시 코인뽕에 서서히 침식되는건 "필연적 결과"라는게 나만의 결론 (+바이비트 발 중국 암호화폐 재개방이 중국의 덫 일수도 있는 관점 등) 👉더보기
إظهار الكل...
Repost from N/a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코인칼럼 설마 했는데 "중국인의 코인 투자가 이제 정말 가능"해졌다! 어떻게 가능해진걸까? 글로벌 탑급 코인거래소 바이비트가 며칠전 갑자기 중국인 사용등록과 고객인증을 개시하면서 '중국의 암호화폐 재개방'이 이슈화되었음 그런데 정작 고객인증 안내화면에서는 '중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에 인증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문구가 박제되어있어서 "뭐여, 바이비트가 홍콩 당국에 소심한 시위를 하는건가?!"라고 생각함 내가 '소심한 시위'라고 생각한 이유는 홍콩 SFC(증권선물위원회)가 바이비트 등 거래소들에게 1)암호화폐 거래 운영 등록 비용으로 수백만 홍콩달러(수억원)를 요구했고 2)중국 본토인이 거래소 이용 못하게 빡센 시스템 구축을 요구했기 때문임 결국 엄격한 규제 앞에서 '24.5월말에 바이비트 외에 바이낸스, OKX 등 코인 거래소들은 홍콩 내 거래 플랫폼(VATP) 라이선스 신청을 모두 철회(=사실상 사업 철수)하는 사태가 발생함ㄷㄷ 그런데 바이비트 임직원 중에 똘똘한 녀석이 있었고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냄. 즉, 홍콩에서 철수당한후, 일단 '해외 거주' 중국 사용자 등록과 고객 인증을 슬쩍 개시했을수 있음 여기서 더 나아가 중국으로부터 아무 제재가 없을거라고 각이 서자 바이비트는 곧바로 "중국 본토를 제외한 해외 거주 중국인을 위한 계좌 개설 및 사용자 등록을 개시했어요^ㅇ^"라고 공지를 때린게 아닐까 이렇게 당돌하면서도 창의적인 "바이비트 발 중국 암호화폐 재개방" 행보를 보고 나는 문득 '베를린장벽 붕괴' 해프닝이 떠올랐음 1989년 11월 9일 저녁, 일상적 정부 기자회견이 있었고 거기엔 이제 막 정부 대변인으로 임명된 귄터 샤보브스키가 배석함. 회견 막판에 한 기자가 그에게 "동독인들은 언제 서독으로 자유여행이 가능한가요?"라고 질문했는데, 개정된 여행법을 제대로 숙지 못한 그가 "여행법에 따르면 그들이 원하면 아무데나 갈수 있죠"라고 답함. 다시 기자가 "언제부터 그 법이 발효되죠?"라고 물으니 그는 "제가 알기로 지금 당장요"라고 답했고 이후 우리가 아는 역사가 펼쳐짐ㅋ; 바이비트의 어느 똘똘한 직원이 서독의 샤보브스키처럼 중국 공산당의 암호화폐 규제지침을 숙지 못 한건지 아니면 모른 척 한건지 모르겠지만 그 덕분에 '중국 본토 거주자를 제외한 모든 중국인(?)'에겐 코인투자가 가능해진셈! 만쉐이 만쉐이 만만쉐이~ 역사학자들은 베를린 장벽 붕괴가 한 공무원의 말실수 때문이거나 그로 인해 촉발된 시민혁명때문이라고 평가하지만, 나는 그것이 언제든 발생할 '필연적 결과'라고 생각함. 마찬가지로 '베이징 크립토 장벽'도 균열이 생기고 있고, "전세계 최강의 일당 독재 카트렐" 역시 코인뽕에 서서히 침식되는건 "필연적 결과"라는게 나만의 결론 (+바이비트 발 중국 암호화폐 재개방이 중국 공산당의 덫 일수도 있는 관점 등) 👉더보기
إظهار الكل...
👏 12👍 5🫡 3🔥 1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 ‘24.06.09. 크립토 시황 브리핑 < 전체시장동향 >   - BTC 가격은 $69,300대에서 종가 마감 - 도미넌스는, 비트 55.2%, 이더 17.9%, 알트 10.8% - 전체 코인 시총은 2.47조 달러, 알트 코인 시총은 1.10조 달러 < 상승코인동향 > - ‘상승율 탑5’는 $XMR, $TRX, $ORDI, $UNI, $BGB. *지난 24시간, 시총 100위내 기준 < 공포탐욕지수 > - 현재 75로 ‘탐욕’ 수준 < 주요헤드라인 > - 21쉐어스 비트코인 ETP, 런던증권거래소에 상장 - 프렌드테크, 자체 블록체인 개발 - MSTR 공매도 규모 $69억...시총의 23% - 트럼프 후원 캠페인 $1200만 모금...크립토 관계자들 참여 - 거래소·채굴자 보유 BTC, 연초 이후 $130억 규모 감소 #브리핑
إظهار الكل...
👍 10
[#BTC Dot-Line Report] 급등과 급락 하지만 점점 더 불리시해지는 상황들 : 돌아봐야 보인다. 지난 주 $66k 이탈급이 아니라면 하락을 볼 이유가 없다는 이야기를 진행하였고 다행히 $72k 까지 상승이 발생하였습니다. 당시 근거는 '펀딩피의 패턴 및 FireChart' 그리고 차트분석이였습니다. 이번 주의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스테이블코인 MCAP의 상승 - 거시적인 흐름들 - 펀딩피 및 공포탐욕 지수의 단기과열 해소 - 블랙록과 그레이스케일의 ETF 흐름 아직까지도 저는 하락을 봐야할 이유를 못찾겠습니다. ($68k라던지 $66k라던지 여기를 하락이라 생각한다면 모르겠네요. 적어도 저는 하락이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사실 몇 주간의 분석에서 변화사항은 거의 없습니다. 다만, 몇 가지 포인트들의 디테일만 조금씩 수정할뿐 1. ㅇㅇk 이탈이 아니라면 홀딩한다. 2. 하락을 볼 이유가 없다. 의 무한 반복입니다. 그럼에도 돌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돌아보지 않았다면 저는 $60k 부터 지금까지 홀딩하지도 못했겠죠. 적어도 자신이 매수한 근거를 다시 생각하고 해당 관점이 맞는 경우, 틀리는 경우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돌아봐야 가능합니다. 대충 뭐 어떻게든 되겠지~ 하는 경우가 많을텐데... 그래서 보통 고점에 물리는거죠. 아무튼 이번 주도 운이 좋았으니 다음주도 좋았으면 좋겠네요 :) 닷라인 리포트 (일부 무료) https://naver.me/FeXSfcyW
إظهار الكل...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