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kie

Sizning foydalanuvchi tajribangizni yaxshilash uchun cookie-lardan foydalanamiz. Barchasini qabul qiling», bosing, cookie-lardan foydalanilishiga rozilik bildirishingiz talab qilinadi.

avatar

[한투증권 김명주] 유통/화장품

국내외 유통/화장품 트렌드와 상장/비상장 기업에 대한 뉴스와 의견을 공유 합니다. 상장 기업 뿐 아니라 비상장 기업 투자에도 도움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하겠습니다.

Ko'proq ko'rsatish
Reklama postlari
5 975
Obunachilar
+724 soatlar
+1837 kunlar
+40830 kunlar

Ma'lumot yuklanmoqda...

Obunachilar o'sish tezligi

Ma'lumot yuklanmoqda...

[한투증권 유통/화장품 김명주] 24년 5월 1~31일 화장품 수출 데이터(잠정치) 텔레그램: https://t.me/kmj_retailcosmetics 1. 국가별 수출액 증감(% YoY) - 전체: 8억 5,356만달러(+13.5% YoY) - 중국 -19.6%, 미국 +69.7%, 일본 +21.2%, 베트남 +14.0%, 홍콩 -22.3%, 대만 +46.4%, 태국 +15.5%, 네덜란드 +44.2% 2. 국가별 수출액 증감(% MoM) - 전체: 8억 5,356만달러(+3.3% MoM) - 중국 +19.6%, 미국 -1.3%, 일본 -6.8%, 베트남 -4.6%, 홍콩 -12.5%, 대만 -1.8%, 태국 -7.3%, 네덜란드 -16.4% 3. 국가별 비중(%) - 중국 26.9%, 미국 19.0%, 일본 9.2%, 베트남 5.0%, 홍콩 5.2%, 대만 2.6%, 태국 2.1%, 네덜란드 0.8% 4. 국가별 비중 전월대비 증감률(%p) - 중국 +3.7%p, 미국 -0.9%p, 일본 -1.0%p, 베트남 -0.4%p, 홍콩 -0.9%p, 대만 -0.1%p, 태국 -0.2%p, 네덜란드 -0.2%p * HS Code 33: 향료·화장품 기준 ** 관련해서 원본 데이터 필요하신 분은 저나 전예원 연구원에게 편하게 말씀해주세요! 감사합니다. 김명주 드림
Hammasini ko'rsatish...
[한투증권 김명주] 유통/화장품

국내외 유통/화장품 트렌드와 상장/비상장 기업에 대한 뉴스와 의견을 공유 합니다. 상장 기업 뿐 아니라 비상장 기업 투자에도 도움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하겠습니다.

한투증권 김명주]   울타뷰티 실적에서 눈여겨 볼만한 부분은 1) Prestige 부분에서의 경쟁 심화 2) 재고 Shrink(타겟처럼 제품 절도로 추정…..) 3) 이커머스 매출의 한자릿수 초반 증가(오프라인은 flat으로 추정)입니다. 울타뷰티가 입점해있는 타겟이 오랜 기간 조직적인 절도(Organized retail crime)을 겪었는데, 울타뷰티 또한 영향을 받는 듯 합니다. 조직적인 절도가 일어나는 근본적인 요인은 미국 경기의 둔화이기 때문에, 좀 크게 보면 미국 소비자의 Trading down 현상의 원인입니다.   울타뷰티의 전체 실적은 인라인이었지만, 한국 화장품 섹터에 주는 임플리케이션은 1) Trading down 지속에 따른 중저가 한국 화장품 수혜 2) 스킨케어의 구조적 성장 지속 3) 울타뷰티가 처한 경쟁 심화는 아마존의 성장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한국 화장품에 긍정입니다.   다만 주의해야 되는 부분은 울타뷰티의 메이크업 카테고리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1% 감소했다는 점입니다. 회사가 2분기 기존점 신장을 1분기와 유사하게 보기 때문에(1분기 1.6%), 메이크업 카테고리(특히 Prestige)의 둔화는 당분간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김명주 드림
Hammasini ko'rsatish...
[한투증권 유통/화장품 김명주/전예원] 울타뷰티 1QFY24 Review: 바닥은 다졌으나, 경계는 필요 텔레그램: https://t.me/kmj_retailcosmetics ★ 낮은 기대에 부합 - 1QFY24(24년 2월~4월) 매출은 27억달러(+3.5% YoY), GAAP 기준 EPS는 6.47달러(-6.0% YoY, OPM 14.7%) 기록 - 매출은 시장 기대치에 부합, EPS는 2.8% 상회 - 1분기 기존점 신장은 1.6%로 지난 분기의 2.5%보다 둔화되었으나, 이는 시장에서 예상되었던 부분 - 스킨케어 카테고리의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25% 증가했지만, 메이크업(Cosmetics) 카테고리 매출은 1% 감소 - 또한, 이번 실적 발표에서도 Prestige 부문에서 경쟁 심화를 겪고 있다고 언급 ★ 양호한 스킨케어 매출 증가에 주목 - 지난 4분기 실적 발표에서 메이크업 카테고리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기 때문에, 메이크업 카테고리의 매출 감소는 이미 주가에 반영 - 미국 화장품 산업 내 스킨케어 비중이 낮기 때문에 울타뷰티의 스킨케어 카테고리 매출 또한 양호한 성장을 이어갈 전망, 이는 한국 화장품 기업에 매우 긍정적 ★ 가이던스 하향보다 옆 동네 실적에 주목한 시장 - FY2024 가이던스 하향에도, 울타뷰티 주가는 실적 발표 후 시간외에서 상승 - 지난 4월 미국의 한 증권사 컨퍼런스에서 경쟁 심화에 대해 언급, 시장은 이미 가이던스 하향 가능성을 고려 - 단기적으로 주가는 바닥을 다지며 회복할 전망이나, 여전히 경계는 필요하다고 판단 보고서: https://vo.la/aAOBl 감사합니다. 김명주 드림
Hammasini ko'rsatish...
[한투증권 김명주] 유통/화장품

국내외 유통/화장품 트렌드와 상장/비상장 기업에 대한 뉴스와 의견을 공유 합니다. 상장 기업 뿐 아니라 비상장 기업 투자에도 도움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하겠습니다.

전일(5/30) 발간한 위클리 자료와 금주 화요일날 드린 메일링 서비스 내용 참고 부탁드립니다! [한투증권 유통/화장품 김명주/전예원] 유통/화장품 Weekly: Charts of the week(5/30) 텔레그램: https://t.me/kmj_retailcosmetics ★ 울타뷰티 실적에 쏠린 눈 - 한국시간 기준 31일 새벽 미국의 뷰티 리테일러 기업인 울타뷰티가 실적 발표를 진행할 예정 - 울타뷰티는 4월 3일(현지 시간) 미국의 한 증권사 컨퍼런스에 참석해서 회사의 상황에 대해 공유 - 당시 이 내용은 한국 화장품 섹터의 주가 조정 요인으로 작용 - 컨퍼런스에서 소비자의 신용카드 부채 증가, 학자금 대출 상환 등으로 인해 매크로 불확실성이 높고, 이에 따라 전체 카테고리의 매출 둔화가 확인된다고 언급 - 이번 실적 발표에서 FY2024 가이던스 수정 여부와 스킨케어 카테고리의 매출 증가율, 그리고 미국 소비에 대한 회사의 생각 등을 주목 ★ 관련 기업: 실리콘투, 아모레퍼시픽 - 월마트와 타겟 등의 실적을 봤을 때, 울타뷰티가 언급한 것처럼 매크로 불확실성에 따른 미국 소비자의 소비여력 감소는 분명 - 미국 소비자의 소비여력 감소는 아이러니하게도 가격 경쟁력이 높은 한국 중저가 기초 화장품 브랜드사들의 매출 증가에 기여하는 중 - 다만 주가가 단기에 급등했기 때문에, 작은 잡음과 리스크 요인 부각에도 주가는 조정 받을 수 있음에 유의 보고서: https://vo.la/RiHFU 감사합니다. 김명주 드림
Hammasini ko'rsatish...
[한투증권 김명주] 유통/화장품

국내외 유통/화장품 트렌드와 상장/비상장 기업에 대한 뉴스와 의견을 공유 합니다. 상장 기업 뿐 아니라 비상장 기업 투자에도 도움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하겠습니다.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한투증권 유통/화장품] 김명주 금일 화장품 섹터의 주가가 매우 양호합니다. 미국 소비재의 양호한 실적이 이어지며, 미국향 화장품 기업들의 밸류에이션/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논리에서 가장 중요한 건 미국 화장품 산업에서 한국 화장품의 점유율인데, 23년 기존 아직 1%수준(스킨케어 내에서 3%)입니다. 미국 소비자의 Trading down과 스킨케어 산업의 구조적인 성장이 이끄는 스토리는 지속될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
Hammasini ko'rsatish...
[한투증권 유통/화장품] 금일 화장품 섹터의 주가가 매우 양호합니다. 미국 소비재의 양호한 실적이 이어지며, 미국향 화장품 기업들의 밸류에이션/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논리에서 가장 중요한 건 미국 화장품 산업에서 한국 화장품의 점유율인데, 23년 기존 아직 1%수준(스킨케어 내에서 3%)입니다. 미국 소비자의 Trading down과 스킨케어 산업의 구조적인 성장이 이끄는 스토리는 지속될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
Hammasini ko'rsatish...
금일 화장품 대형주 중에서 아모레퍼시픽의 주가 흐름이 양호합니다. 어제 아침 발간한 자료 참고부탁드립니다!
Hammasini ko'rsatish...
[한투증권 김명주]   금일 새벽에 울타뷰티 실적(1QFY24)이 발표되었습니다. 실적 자체는 기대치 부합 수준이엇고, FY24 가이던스 또한 소폭 하향했으나 주가는 시간외에도 상승 중입니다. 그 이유는 최악은 지났다는 시장의 판단과 함께 다른 생활 소비재 기업의 실적 서프라이즈(아베크롬비/GAP)가 영향을 미친 걸로 판단합니다. 1QFY24 기준 스킨케어는 전년동기대비 25% 매출 증가(일부 카테고리 변경, Bath -> skincare), 메이크업은 -1% 매출 감소입니다.  기본적으로 한국 화장품들이 미국에서 강점이 있는 카테고리는 스킨케어라서 얼타의 실적은 대부분의 한국 화장품 기업한테는 긍정/혹은 중립이나, 메이크업 매출이 빠진 부문은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합니다.   감사합니다.   김명주 드림
Hammasini ko'rsatish...
[한투증권 유통/화장품 김명주] 유통/화장품 5/31 Daily 뉴스 업데이트 텔레그램: https://t.me/kmj_retailcosmetics ★ 전일 주요 뉴스 1) 산업 - 청주 골목상권 상인도 “마트 일요일에 문 여니, 유동인구 많아졌다” https://zrr.kr/L5oT - 무신사, '뷰티 페스타' 거래액 지난해 대비 2배 신장 https://zrr.kr/Rb8O - 미 백화점 체인 콜스, 깜짝 손실 기록, 주가 26% 급락 https://zrr.kr/e1H3 2) 커버리지 기업 - BGF리테일(전일주가 -1.52%): CU, 1인분 소포장 쌀 선봬, "휴대성 좋고 조리도 간편" https://zrr.kr/u5d5 - GS리테일(전일주가 +0.10%): GS25, ‘청년다방·응떡’ 간편식 2종 출시 https://zrr.kr/OiU9 - 롯데쇼핑(전일주가 -0.91%): 익일배송 ‘내일온다’ 덕분에, 롯데온 매출 쑥↑ https://zrr.kr/2RxZ - 롯데쇼핑(전일주가 -0.91%): 롯데온, 인력재배치 등 군살빼기, “기존 인력서 300명 축소” https://zrr.kr/RJnV - 롯데쇼핑(전일주가 -0.91%): 롯데百수원점 '타임빌라스'로 새단장, "백화점과 쇼핑몰의 결합" https://zrr.kr/4AtN - 신세계(전일주가 +1.30%): 신세계百 '신백멤버스' 출범 1년 만에 가입자 130만명 돌파 https://zrr.kr/AGFO - 코스맥스(전일주가 -0.36%): 中 테마 전시 눈길, 코스맥스, 상하이 뷰티 박람회 참여 https://zrr.kr/6ihH
Hammasini ko'rsatish...
[한투증권 김명주] 유통/화장품

국내외 유통/화장품 트렌드와 상장/비상장 기업에 대한 뉴스와 의견을 공유 합니다. 상장 기업 뿐 아니라 비상장 기업 투자에도 도움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하겠습니다.

Photo unavailableShow in Telegram
[한투증권 유통/화장품 김명주] 얼타뷰티(ULTA US) 1QFY24 실적 업데이트 텔레그램: https://t.me/kmj_retailcosmetics ★ 1QFY24 실적 - 매출액: 27억달러(+3.5% YoY, 컨센서스 대비 +0.1%) - 영업이익: 4억달러(-9.3% YoY, 컨센서스 대비 +1.8%) - GAAP EPS: 6.47달러(-6.0% YoY, 컨센서스 대비 +2.8%) ★ FY2024 가이던스 변경 내역 - 매출액: $11.5bn~$11.6bn (+3.1% YoY, 기존 대비 -1.7%) - 영업이익률: 13.7~14.0% (-1.1%p YoY, 기존 대비 -0.3%p) - EPS: $25.20~$26.00 (-1.7% YoY, 기존 대비 -3.8%) * 전년대비 증가율, 기존 가이던스 대비 변화율은 가이던스 중간값 기준 감사합니다. 김명주 드림
Hammasini ko'rsatish...